‘경제학 박사’ 알고 보니 배우…가짜 전문가 앞세운 유사수신 주의

입력 2024.01.25 (21:27) 수정 2024.01.25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SNS에서 신기술에 투자하면 매달 고수익을 낼 수 있다는 자칭 경제 전문가들의 광고가 많은데, 주의하셔야겠습니다.

금감원 조사 결과, 광고 속 주인공 상당수가 가짜 전문가였고, 유망 기업이라던 회사는 실제 회사를 사칭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유령 업체였습니다.

손서영 기잡니다.

[리포트]

큰돈 없이도 월 8% 수익을 안정적으로 낼 수 있다며 경제학 박사라는 사람이 천연가스 사업 투자를 권유합니다.

[유사수신 피해자/음성변조 : "경제학 박사란 사람이 나와서 주식 선물이나 현물 (가격) 차이를 이용해서 투자하면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식으로..."]

이 투자자가 돈을 넣은지 보름도 안 돼 사이트는 온데간데없이 사라졌습니다.

업체 측도 잠적했습니다.

경제학 박사라던 사람은 재연 배우였습니다.

유망 업종, 고수익, 원금 보장도 주의해야 할 문구입니다.

인공지능 기반으로 유망 종목을 추천해준단 말에 속아 8백만 원을 투자한 이 남성.

[유사수신 피해자/음성변조 : "사기가 아닌가 의심은 했는데, 수익률이랑 원금 보장 이런 게 나와 있어서..."]

해지를 요구하자 말이 달라지며 15%나 수수료를 요구했고, 끝내 돈을 다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지난해 금융감독원에 접수된 유사수신 관련 신고 건수는 328건에 달합니다.

금감원은 이 가운데 구체적인 혐의가 포착된 47건을 수사 의뢰했는데, 신기술·신사업으로 투자를 유인한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가상자산과 금융상품 투자 빙자가 뒤를 이었고, 노인들의 은퇴 자금을 노린 조합 가장 사기도 꾸준합니다.

[정윤미/금감원 불법사금융대응팀장 : "SNS를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원금을 보장하면서 고수익 정보를 준다고 홍보하는 업체는 불법 업체이므로 어떠한 금융거래도 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불법 업체들은 실제 있는 회사를 사칭하거나 각종 증명서를 위조하는 만큼 반드시 금융소비자정보포털 등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노경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제학 박사’ 알고 보니 배우…가짜 전문가 앞세운 유사수신 주의
    • 입력 2024-01-25 21:27:12
    • 수정2024-01-25 22:06:28
    뉴스 9
[앵커]

요즘 SNS에서 신기술에 투자하면 매달 고수익을 낼 수 있다는 자칭 경제 전문가들의 광고가 많은데, 주의하셔야겠습니다.

금감원 조사 결과, 광고 속 주인공 상당수가 가짜 전문가였고, 유망 기업이라던 회사는 실제 회사를 사칭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유령 업체였습니다.

손서영 기잡니다.

[리포트]

큰돈 없이도 월 8% 수익을 안정적으로 낼 수 있다며 경제학 박사라는 사람이 천연가스 사업 투자를 권유합니다.

[유사수신 피해자/음성변조 : "경제학 박사란 사람이 나와서 주식 선물이나 현물 (가격) 차이를 이용해서 투자하면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식으로..."]

이 투자자가 돈을 넣은지 보름도 안 돼 사이트는 온데간데없이 사라졌습니다.

업체 측도 잠적했습니다.

경제학 박사라던 사람은 재연 배우였습니다.

유망 업종, 고수익, 원금 보장도 주의해야 할 문구입니다.

인공지능 기반으로 유망 종목을 추천해준단 말에 속아 8백만 원을 투자한 이 남성.

[유사수신 피해자/음성변조 : "사기가 아닌가 의심은 했는데, 수익률이랑 원금 보장 이런 게 나와 있어서..."]

해지를 요구하자 말이 달라지며 15%나 수수료를 요구했고, 끝내 돈을 다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지난해 금융감독원에 접수된 유사수신 관련 신고 건수는 328건에 달합니다.

금감원은 이 가운데 구체적인 혐의가 포착된 47건을 수사 의뢰했는데, 신기술·신사업으로 투자를 유인한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가상자산과 금융상품 투자 빙자가 뒤를 이었고, 노인들의 은퇴 자금을 노린 조합 가장 사기도 꾸준합니다.

[정윤미/금감원 불법사금융대응팀장 : "SNS를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원금을 보장하면서 고수익 정보를 준다고 홍보하는 업체는 불법 업체이므로 어떠한 금융거래도 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불법 업체들은 실제 있는 회사를 사칭하거나 각종 증명서를 위조하는 만큼 반드시 금융소비자정보포털 등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

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노경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