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윤찬 티켓’ 1만 원→78만 원…‘디지털 암표 전쟁’ 시대에 ‘나루터 거래’ 처벌?

입력 2024.01.29 (09:15) 수정 2024.01.29 (09: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문화예술계가 암표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표를 자동으로 사들이는 '매크로' 수법은 날로 진화하고, 이에 맞서 불법 거래를 막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동원한 티켓도 등장하는 등 그야말로 '디지털 암표 전쟁'인데요.

정작 관련 법은 50년 전에 머물러 있습니다.

문예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피아니스트 임윤찬 콘서트장, 입장을 기다리는 사람들로 북적입니다.

이 공연 입장표는 예매 시작 1분 만에 매진됐습니다.

[한들/서울 서초구 : "(표 어떻게 구하셨어요?) 컴퓨터 두 대랑 저희 모바일 가지고 있는 가족들 것 다 동원해가지고…."]

[임두윤/전북 전주시 : "(예매 사이트에) 15분 전에 들어갔는데도 마우스를 손가락으로 잡는 데 손이 떨리더라고요."]

경쟁이 치열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암표 때문입니다.

공연장 주변에 대기하던 암표상을 찾아 만나봤습니다.

2장에 20만 원인 표를 사겠다고 하자 60만 원을 부릅니다.

[암표 판매자/음성변조 : "저희가 제일 싸요. 지금은 티켓이 없어요. 원래 이것보다 많이 붙긴 해요. 지금 티켓 거래사이트 보시면 한 장에 A석이 74만 원."]

온라인 암표 거래는 더 기승입니다.

중고 거래 어플마다 암표 판매글이 수두룩한데, 만 원짜리 티켓이 78만 원까지 치솟습니다.

이렇게 암표 매매가 조직화 되고 규모도 커지면서, 매년 암표 신고 건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암표 규제 관련 법은 50년 전 만들어진 그대로여서, 암표 매매 금지 장소에 '역, 나루터, 정류장'은 있지만 암표 매매의 온상인 '온라인 공간'은 없습니다.

이마저도 적발시 벌금이 최대 20만 원에 불과합니다.

[배성희/국회 입법조사관 : "수익이 벌금보다 크면 당연히 벌금은 내고 이런 범죄는 계속 일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죠. 몰수까지 하는 이 정도의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

공연업계는 암표 신고 시 티켓으로 포상해주거나 양도가 불가능한 NFT 티켓 등 자체 대응에 나섰지만 역부족입니다.

21대 국회엔 암표 매매 금지 관련 법안 7건이 현재 계류 중입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촬영기자:김현민/영상편집:최정연/그래픽:이근희 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임윤찬 티켓’ 1만 원→78만 원…‘디지털 암표 전쟁’ 시대에 ‘나루터 거래’ 처벌?
    • 입력 2024-01-29 09:15:52
    • 수정2024-01-29 09:20:26
    아침뉴스타임
[앵커]

최근 문화예술계가 암표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표를 자동으로 사들이는 '매크로' 수법은 날로 진화하고, 이에 맞서 불법 거래를 막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동원한 티켓도 등장하는 등 그야말로 '디지털 암표 전쟁'인데요.

정작 관련 법은 50년 전에 머물러 있습니다.

문예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피아니스트 임윤찬 콘서트장, 입장을 기다리는 사람들로 북적입니다.

이 공연 입장표는 예매 시작 1분 만에 매진됐습니다.

[한들/서울 서초구 : "(표 어떻게 구하셨어요?) 컴퓨터 두 대랑 저희 모바일 가지고 있는 가족들 것 다 동원해가지고…."]

[임두윤/전북 전주시 : "(예매 사이트에) 15분 전에 들어갔는데도 마우스를 손가락으로 잡는 데 손이 떨리더라고요."]

경쟁이 치열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암표 때문입니다.

공연장 주변에 대기하던 암표상을 찾아 만나봤습니다.

2장에 20만 원인 표를 사겠다고 하자 60만 원을 부릅니다.

[암표 판매자/음성변조 : "저희가 제일 싸요. 지금은 티켓이 없어요. 원래 이것보다 많이 붙긴 해요. 지금 티켓 거래사이트 보시면 한 장에 A석이 74만 원."]

온라인 암표 거래는 더 기승입니다.

중고 거래 어플마다 암표 판매글이 수두룩한데, 만 원짜리 티켓이 78만 원까지 치솟습니다.

이렇게 암표 매매가 조직화 되고 규모도 커지면서, 매년 암표 신고 건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암표 규제 관련 법은 50년 전 만들어진 그대로여서, 암표 매매 금지 장소에 '역, 나루터, 정류장'은 있지만 암표 매매의 온상인 '온라인 공간'은 없습니다.

이마저도 적발시 벌금이 최대 20만 원에 불과합니다.

[배성희/국회 입법조사관 : "수익이 벌금보다 크면 당연히 벌금은 내고 이런 범죄는 계속 일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죠. 몰수까지 하는 이 정도의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

공연업계는 암표 신고 시 티켓으로 포상해주거나 양도가 불가능한 NFT 티켓 등 자체 대응에 나섰지만 역부족입니다.

21대 국회엔 암표 매매 금지 관련 법안 7건이 현재 계류 중입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촬영기자:김현민/영상편집:최정연/그래픽:이근희 김지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