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이 부족해서”…소아·중환자 치료 ‘면역글로불린’ 품귀 비상

입력 2024.01.31 (19:28) 수정 2024.01.31 (19: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소아나 난치병 환자 치료에 쓰이는 특정 혈액제제가 몇 달째 품귀 상태입니다.

백혈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인 '면역글로불린'이라는 의약품인데, 이 의약품이 꼭 필요한 위중한 환자들은 원정 진료까지 다니고 있습니다.

이자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선천성 면역결핍 증후군에 걸린 아들을 돌보고 있는 보호잡니다.

아들은 한 달에 한 번 충북 제천의 병원에서 면역글로불린 주사를 맞아왔는데 올해 초 약을 구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수소문 끝에 결국 40km 떨어진 다른 지역 병원까지 가야 했습니다.

[환자 보호자/음성변조 : "약이 없어서 별수 없이 3차 기관인 원주까지 가서 주사를 맞고 있는 형편입니다."]

면역글로불린은 혈액의 백혈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자가면역질환 치료 효과가 탁월합니다.

가와사키병을 앓는 소아나 면역결핍 환자용 필수 의약품이지만 지난해 6월부터 품절되기 시작했습니다.

[최용재/대한아동병원협회 회장 : "어디에서 구해도 없고... 이 치료를 하면 살고, 치료를 못하면 죽고, 이런 상황도 갈 수가 있기 때문에 일단 이 환자가 의심될 때 겁이 나요."]

면역글로불린의 원료인 혈장 공급량이 5년 새 10만ℓ나 줄면서 공급에 차질이 빚어진 겁니다.

급한 대로 미국에서 혈장을 수입하고는 있지만 국내보다 2배 이상 비쌉니다.

제약사로서는 수지 타산이 맞지 않다 보니 면역글로불린을 충분히 생산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지적입니다.

[정현철/식약처 바이오의약품정책과장 : "(수입 혈장은) 미국에서만 수입하고 있어서 혈장 수입을 다변화하기 위해서 유럽 등 여러 국가를 지금 현재 타진하고 있고요."]

보건 당국은 위중한 환자를 살릴 면역제제 수급 안정을 위해 헌혈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이자현입니다.

촬영기자:박용호/영상편집:조의성/그래픽:김선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혈액이 부족해서”…소아·중환자 치료 ‘면역글로불린’ 품귀 비상
    • 입력 2024-01-31 19:28:22
    • 수정2024-01-31 19:43:29
    뉴스 7
[앵커]

소아나 난치병 환자 치료에 쓰이는 특정 혈액제제가 몇 달째 품귀 상태입니다.

백혈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인 '면역글로불린'이라는 의약품인데, 이 의약품이 꼭 필요한 위중한 환자들은 원정 진료까지 다니고 있습니다.

이자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선천성 면역결핍 증후군에 걸린 아들을 돌보고 있는 보호잡니다.

아들은 한 달에 한 번 충북 제천의 병원에서 면역글로불린 주사를 맞아왔는데 올해 초 약을 구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수소문 끝에 결국 40km 떨어진 다른 지역 병원까지 가야 했습니다.

[환자 보호자/음성변조 : "약이 없어서 별수 없이 3차 기관인 원주까지 가서 주사를 맞고 있는 형편입니다."]

면역글로불린은 혈액의 백혈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자가면역질환 치료 효과가 탁월합니다.

가와사키병을 앓는 소아나 면역결핍 환자용 필수 의약품이지만 지난해 6월부터 품절되기 시작했습니다.

[최용재/대한아동병원협회 회장 : "어디에서 구해도 없고... 이 치료를 하면 살고, 치료를 못하면 죽고, 이런 상황도 갈 수가 있기 때문에 일단 이 환자가 의심될 때 겁이 나요."]

면역글로불린의 원료인 혈장 공급량이 5년 새 10만ℓ나 줄면서 공급에 차질이 빚어진 겁니다.

급한 대로 미국에서 혈장을 수입하고는 있지만 국내보다 2배 이상 비쌉니다.

제약사로서는 수지 타산이 맞지 않다 보니 면역글로불린을 충분히 생산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지적입니다.

[정현철/식약처 바이오의약품정책과장 : "(수입 혈장은) 미국에서만 수입하고 있어서 혈장 수입을 다변화하기 위해서 유럽 등 여러 국가를 지금 현재 타진하고 있고요."]

보건 당국은 위중한 환자를 살릴 면역제제 수급 안정을 위해 헌혈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이자현입니다.

촬영기자:박용호/영상편집:조의성/그래픽:김선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