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종·쓰레기도 방치…위기의 장항습지

입력 2024.02.02 (19:33) 수정 2024.02.03 (08: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2일)은 세계 습지의 날입니다.

생태계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습지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국제사회가 지정한 날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습지로는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한강 하구의 장항습지 등이 꼽히는데, 이 장항습지가 외래종 등의 위협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이슬기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바다와 강물이 만나는 한강 하구에 자리 잡은 장항습지.

금개구리 등 멸종위기종을 비롯해 수백 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 생태계의 보고입니다.

[김석원/고양시청 : "버드나무와 말똥게가 공생하고, 겨울철에는 재두루미, 기러기 등 많은 철새들이 서식하는…"]

그 가치를 인정받아 3년 전 람사르 습지에 등록됐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곳곳에서 외래종 가시박이 눈에 띕니다.

습지 생태계를 보호하는 버드나무를 휘감아 고사시키고 있습니다.

[김창환/전북대 생태조경디자인학과 교수 : "자연 식생들을 덮고 있으면 고사가 돼요. 그것들이 죽어서 퇴적되고 광합성도 잘 안 되고 그러면 습지 기능이 변할 거 아니에요."]

습지의 젖줄인 갯골에는 강에서 밀려온 쓰레기가 가득합니다.

습지가 훼손되면서 한때 60여 마리까지 늘었던 천연기념물 재두루미는 10여 마리로 줄었습니다.

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지 불과 한 달 만에 유실지뢰가 터지는 사고가 나면서, 안전 관리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기관들끼리 다투고 있기 때문입니다.

[박평수/사회적협동조합 '한강' 지부장 : "여러 형태의 관리가 이뤄지다가 지뢰 폭발 사고 이후에는 모든 게 정지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습지를 관리하는 한강유역환경청은 안전 문제는 관할 지자체인 고양시가 챙겨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고양시는 안전 문제까지 포함한 관리 책임이 한강유역환경청에 있다고 맞서고 있습니다.

두 기관의 갈등 속에 장항습지는 날이 갈수록 훼손되고 있고, 국비 등 47억 원을 들여 지은 생태관은 1년 넘게 문을 열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고응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외래종·쓰레기도 방치…위기의 장항습지
    • 입력 2024-02-02 19:33:52
    • 수정2024-02-03 08:14:24
    뉴스 7
[앵커]

오늘(2일)은 세계 습지의 날입니다.

생태계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습지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국제사회가 지정한 날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습지로는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한강 하구의 장항습지 등이 꼽히는데, 이 장항습지가 외래종 등의 위협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이슬기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바다와 강물이 만나는 한강 하구에 자리 잡은 장항습지.

금개구리 등 멸종위기종을 비롯해 수백 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 생태계의 보고입니다.

[김석원/고양시청 : "버드나무와 말똥게가 공생하고, 겨울철에는 재두루미, 기러기 등 많은 철새들이 서식하는…"]

그 가치를 인정받아 3년 전 람사르 습지에 등록됐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곳곳에서 외래종 가시박이 눈에 띕니다.

습지 생태계를 보호하는 버드나무를 휘감아 고사시키고 있습니다.

[김창환/전북대 생태조경디자인학과 교수 : "자연 식생들을 덮고 있으면 고사가 돼요. 그것들이 죽어서 퇴적되고 광합성도 잘 안 되고 그러면 습지 기능이 변할 거 아니에요."]

습지의 젖줄인 갯골에는 강에서 밀려온 쓰레기가 가득합니다.

습지가 훼손되면서 한때 60여 마리까지 늘었던 천연기념물 재두루미는 10여 마리로 줄었습니다.

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지 불과 한 달 만에 유실지뢰가 터지는 사고가 나면서, 안전 관리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기관들끼리 다투고 있기 때문입니다.

[박평수/사회적협동조합 '한강' 지부장 : "여러 형태의 관리가 이뤄지다가 지뢰 폭발 사고 이후에는 모든 게 정지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습지를 관리하는 한강유역환경청은 안전 문제는 관할 지자체인 고양시가 챙겨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고양시는 안전 문제까지 포함한 관리 책임이 한강유역환경청에 있다고 맞서고 있습니다.

두 기관의 갈등 속에 장항습지는 날이 갈수록 훼손되고 있고, 국비 등 47억 원을 들여 지은 생태관은 1년 넘게 문을 열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영상편집:고응용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