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이틀째 ‘친이란’ 세력 보복 공습…EU “깊은 우려”

입력 2024.02.04 (21:09) 수정 2024.02.04 (21: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이 친이란 세력에 대한 보복 공습을 이틀째 이어갔습니다.

이번엔 후티 반군 시설을 타격했습니다.

사태를 지켜보던 유럽연합이 걱정스럽다고 입을 열었습니다.

안다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영국군 전투기 여러 대가 어둠을 뚫고 날아오릅니다.

현지시각 3일, 미국이 영국, 호주 등과 함께 예멘 후티 반군의 무기 저장고와 미사일·방공 시스템 등 36개 시설을 대대적으로 공습했습니다.

요르단 기지 미군 사망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이 이라크와 시리아의 친이란 민병대를 공격한 지 하루만입니다.

홍해 발 물류 위기 해소를 위해 지난달 11일 후티 반군을 처음 공습한 이후 두 번째로 강력한 공격입니다.

[존 커비/미국 백악관 NSC 전략소통조정관 : "이번 공격의 목표는 이란 혁명수비대와 그들이 후원하고 지원하는 단체의 역량을 약화시키고 그들을 혼란에 빠뜨리기 위한 것입니다."]

후티 반군은 긴장 고조에는 고조로 대응할 것이라며 반격을 예고했습니다.

이처럼 중동 전역에서 긴장이 고조되자, 유럽연합은 깊은 우려를 표했습니다.

EU 각국 외교수장들은 일련의 공격과 반격이 더 큰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이를 피하기 위해 모든 당사자들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조셉 보렐/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 : "우리는 중동이 폭발할 수 있는 '화약고'라고 몇 번이고 반복해서 말해 왔습니다. 확전을 피하기 위해 우리가 모두에게 연락하는 이유입니다."]

러시아의 요청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현지시각 5일, 미국의 이라크와 시리아 공격 문제를 논의할 예정입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영상편집:이웅/그래픽:임홍근/자료조사:오지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이틀째 ‘친이란’ 세력 보복 공습…EU “깊은 우려”
    • 입력 2024-02-04 21:09:29
    • 수정2024-02-04 21:43:14
    뉴스 9
[앵커]

미국이 친이란 세력에 대한 보복 공습을 이틀째 이어갔습니다.

이번엔 후티 반군 시설을 타격했습니다.

사태를 지켜보던 유럽연합이 걱정스럽다고 입을 열었습니다.

안다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영국군 전투기 여러 대가 어둠을 뚫고 날아오릅니다.

현지시각 3일, 미국이 영국, 호주 등과 함께 예멘 후티 반군의 무기 저장고와 미사일·방공 시스템 등 36개 시설을 대대적으로 공습했습니다.

요르단 기지 미군 사망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이 이라크와 시리아의 친이란 민병대를 공격한 지 하루만입니다.

홍해 발 물류 위기 해소를 위해 지난달 11일 후티 반군을 처음 공습한 이후 두 번째로 강력한 공격입니다.

[존 커비/미국 백악관 NSC 전략소통조정관 : "이번 공격의 목표는 이란 혁명수비대와 그들이 후원하고 지원하는 단체의 역량을 약화시키고 그들을 혼란에 빠뜨리기 위한 것입니다."]

후티 반군은 긴장 고조에는 고조로 대응할 것이라며 반격을 예고했습니다.

이처럼 중동 전역에서 긴장이 고조되자, 유럽연합은 깊은 우려를 표했습니다.

EU 각국 외교수장들은 일련의 공격과 반격이 더 큰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이를 피하기 위해 모든 당사자들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조셉 보렐/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 : "우리는 중동이 폭발할 수 있는 '화약고'라고 몇 번이고 반복해서 말해 왔습니다. 확전을 피하기 위해 우리가 모두에게 연락하는 이유입니다."]

러시아의 요청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현지시각 5일, 미국의 이라크와 시리아 공격 문제를 논의할 예정입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영상편집:이웅/그래픽:임홍근/자료조사:오지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