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물린 줄 알았는데 백반증?…겨울철 주의 피부 질환

입력 2024.02.05 (06:41) 수정 2024.02.05 (06: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피부에 하얀 반점이 생기는 백반증 환자. 국내에도 제법 많은데요.

비타민 D가 백반증 상태를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밖에 겨울 피부건강을 위해 주의할 점 김현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이 여성은 얼마 전부터 다리에 하얀 반점이 생겼습니다.

알고 보니 백반증이었습니다.

[고민숙/서울시 영등포구 : "처음에는 모기한테 물려서 손으로 긁어서 딱지가 떨어졌나 싶었어요. 목욕하다 때를 너무 많이 밀어서 그런가 생각을 했는데."]

백반증은 특정 면역세포가 멜라닌 세포를 파괴해 생깁니다.

하얀 반점이 어깨 목 얼굴 등 다양한 부위에 나타납니다.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도 이 질환을 앓았던 걸로 전해집니다.

국내에선 매년 6만 명 안팎이 진료를 받습니다.

유전적 요인과 항산화 기능 감소 스트레스 등 여러 요인으로 생깁니다.

상태가 나빠지면 미용상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엔 비타민 D가 상태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정보영/한림대 강남성심병원 피부과 교수 : "백반증 환자를 대상으로 근육주사로 비타민 D를 투여했고요. 투여를 하지 않은 군과 비교를 했습니다. 비타민 D 투여를 한 군에서 더 유의미하게 치료 효과가 더 좋은 것을 확인했습니다."]

상태에 따라 광선치료를 받기도 하고 바르는 약, 먹는 약을 쓰기도 합니다.

꾸준히 치료받는 게 중요합니다.

춥고 건조한 겨울엔 피부 상태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찬 바람은 땀과 피지 분비를 줄이고 난방은 피부를 건조하게 합니다.

특히 피부가 하얗게 일어나는 건선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정보영/한림대 강남성심병원 피부과 교수 : "겨울철에 건조한 기후 때문에 피부 자체도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건선도 악화될 수 있습니다. 보습도 잘해주시는 게 중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온도가 너무 높거나 습도가 너무 낮은 환경은 피부건강을 위해 피하는 게 좋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촬영기자:방세준/영상편집:양다운/그래픽:임홍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모기 물린 줄 알았는데 백반증?…겨울철 주의 피부 질환
    • 입력 2024-02-05 06:41:37
    • 수정2024-02-05 06:46:43
    뉴스광장 1부
[앵커]

피부에 하얀 반점이 생기는 백반증 환자. 국내에도 제법 많은데요.

비타민 D가 백반증 상태를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밖에 겨울 피부건강을 위해 주의할 점 김현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이 여성은 얼마 전부터 다리에 하얀 반점이 생겼습니다.

알고 보니 백반증이었습니다.

[고민숙/서울시 영등포구 : "처음에는 모기한테 물려서 손으로 긁어서 딱지가 떨어졌나 싶었어요. 목욕하다 때를 너무 많이 밀어서 그런가 생각을 했는데."]

백반증은 특정 면역세포가 멜라닌 세포를 파괴해 생깁니다.

하얀 반점이 어깨 목 얼굴 등 다양한 부위에 나타납니다.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도 이 질환을 앓았던 걸로 전해집니다.

국내에선 매년 6만 명 안팎이 진료를 받습니다.

유전적 요인과 항산화 기능 감소 스트레스 등 여러 요인으로 생깁니다.

상태가 나빠지면 미용상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엔 비타민 D가 상태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정보영/한림대 강남성심병원 피부과 교수 : "백반증 환자를 대상으로 근육주사로 비타민 D를 투여했고요. 투여를 하지 않은 군과 비교를 했습니다. 비타민 D 투여를 한 군에서 더 유의미하게 치료 효과가 더 좋은 것을 확인했습니다."]

상태에 따라 광선치료를 받기도 하고 바르는 약, 먹는 약을 쓰기도 합니다.

꾸준히 치료받는 게 중요합니다.

춥고 건조한 겨울엔 피부 상태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찬 바람은 땀과 피지 분비를 줄이고 난방은 피부를 건조하게 합니다.

특히 피부가 하얗게 일어나는 건선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정보영/한림대 강남성심병원 피부과 교수 : "겨울철에 건조한 기후 때문에 피부 자체도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건선도 악화될 수 있습니다. 보습도 잘해주시는 게 중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온도가 너무 높거나 습도가 너무 낮은 환경은 피부건강을 위해 피하는 게 좋습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촬영기자:방세준/영상편집:양다운/그래픽:임홍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