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차 타이어 이탈 잇따라…아찔한 사고 속출

입력 2024.02.05 (19:19) 수정 2024.02.06 (1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달리던 화물차에서 갑자기 타이어가 빠지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화물차 타이어는 크고 무거워 사고가 났을 때 심각한 2차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충북 청주의 국도입니다.

반대 차선을 달리던 대형 트럭에서 타이어가 빠져나옵니다.

맞은 편에서 달리던 운전자가 미처 피할 틈도 없이 승용차를 덮칩니다.

다행히 타이어가 승용차 밑으로 빨려 들어가 큰 사고는 피할 수 있었지만, 운전석을 덮쳤다면 자칫 인명 피해로 이어질 뻔 했습니다.

[경찰 관계자/음성변조 : "(화물차) 바퀴가 빠져가지고 뒤의 차를 치고 간 건데, (타이어가) 빠지면서 (화물차 운전자가) 인지 못 하고 간 것 같은데…."]

차량들이 더 빠르게 달리는 고속도로에서는 위험도 더 커집니다.

지난해 고창 담양 고속도로에선 갑자기 바퀴가 빠지면서 옆으로 넘어진 화물차를 뒤에 오던 승용차가 들이받았습니다.

이 사고로 화물차 기사는 숨졌고 5명이 다쳤습니다.

또 다른 고속도로에서도 달리던 화물차에서 빠진 바퀴를 피하려던 차량 넉 대가 추돌해 2명이 숨졌습니다.

[소방 관계자 : "(맨 앞차에) 낙하된 타이어가 충격했고요. 탱크로리, 쏘렌토, 화물차가 연쇄적으로 추돌했는데…."]

이렇게 화물차 바퀴가 빠지는 사고가 끊이지 않는 건 많은 짐을 실을 경우 하중 때문에 타이어 변형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입니다.

화물차 운전자는 평소 공기압을 다소 높여 운행하고 저품질의 재생 타이어를 쓰지 않는 등 안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또 일반 차량 운전자들은 돌발 상황에서 핸들을 급히 조작하면 오히려 차량 전복의 위험이 커지는 만큼 핸들을 서서히 조작하면서 갓길로 대피하는 게 중요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영상편집:오진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화물차 타이어 이탈 잇따라…아찔한 사고 속출
    • 입력 2024-02-05 19:19:13
    • 수정2024-02-06 19:51:17
    뉴스 7
[앵커]

달리던 화물차에서 갑자기 타이어가 빠지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화물차 타이어는 크고 무거워 사고가 났을 때 심각한 2차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충북 청주의 국도입니다.

반대 차선을 달리던 대형 트럭에서 타이어가 빠져나옵니다.

맞은 편에서 달리던 운전자가 미처 피할 틈도 없이 승용차를 덮칩니다.

다행히 타이어가 승용차 밑으로 빨려 들어가 큰 사고는 피할 수 있었지만, 운전석을 덮쳤다면 자칫 인명 피해로 이어질 뻔 했습니다.

[경찰 관계자/음성변조 : "(화물차) 바퀴가 빠져가지고 뒤의 차를 치고 간 건데, (타이어가) 빠지면서 (화물차 운전자가) 인지 못 하고 간 것 같은데…."]

차량들이 더 빠르게 달리는 고속도로에서는 위험도 더 커집니다.

지난해 고창 담양 고속도로에선 갑자기 바퀴가 빠지면서 옆으로 넘어진 화물차를 뒤에 오던 승용차가 들이받았습니다.

이 사고로 화물차 기사는 숨졌고 5명이 다쳤습니다.

또 다른 고속도로에서도 달리던 화물차에서 빠진 바퀴를 피하려던 차량 넉 대가 추돌해 2명이 숨졌습니다.

[소방 관계자 : "(맨 앞차에) 낙하된 타이어가 충격했고요. 탱크로리, 쏘렌토, 화물차가 연쇄적으로 추돌했는데…."]

이렇게 화물차 바퀴가 빠지는 사고가 끊이지 않는 건 많은 짐을 실을 경우 하중 때문에 타이어 변형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입니다.

화물차 운전자는 평소 공기압을 다소 높여 운행하고 저품질의 재생 타이어를 쓰지 않는 등 안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또 일반 차량 운전자들은 돌발 상황에서 핸들을 급히 조작하면 오히려 차량 전복의 위험이 커지는 만큼 핸들을 서서히 조작하면서 갓길로 대피하는 게 중요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영상편집:오진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