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뉴스K] 빠진 타이어에 ‘쾅’…공포의 화물차 ‘타이어 이탈’

입력 2024.02.06 (12:40) 수정 2024.02.06 (13: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달리는 화물차에서 갑자기 타이어가 빠지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화물차 타이어 사고의 실태와 이유, 예방법을 친절한 뉴스에서 전해드립니다.

김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화물차 타이어 무게는 100kg 안팎으로 일반 승용차 타이어보다 훨씬 크고 무겁습니다.

그런데 달리는 화물차에서 타이어가 갑자기 빠지는 사고가 종종 일어나고 있습니다.

타이어 무게에 차량 속도까지 더해지면 충격은 훨씬 커지겠죠.

빠진 타이어를 피하려다 2차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대 차선을 달리던 대형 트럭에서 타이어가 빠져나옵니다.

맞은 편에서 달리던 운전자가 미처 피할 틈도 없이 차 밑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운전석 쪽으로 덮쳤다면 인명 피해로 이어질 뻔했습니다.

[경찰 관계자/음성변조 : "(화물차) 바퀴가 빠져서 뒤에 (오던) 차를 이렇게 치고 간 건데... (바퀴가) 빠지면서 (화물차 운전자가) 인지 못 하고 간 것 같은데..."]

차량이 더 빠르게 달리는 고속도로에서는 위험도 더 커집니다.

승용차가 옆으로 넘어져 있던 화물차를 그대로 들이받습니다.

갑자기 타이어가 빠지며 쓰러진 화물차를 미처 확인하지 못해 벌어진 사고입니다.

2021년, 경북 상주의 한 고속도로에서는 달리던 화물차에서 빠진 타이어를 피하려다 뒤따라가던 차량 4대가 추돌했습니다.

이 사고로 2명은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고 1명은 다쳤습니다.

2년 전 경남 남해고속도로에서도 화물차의 타이어가 빠지면서 연쇄 추돌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빠진 타이어가 뒤따르던 차량과 충돌하면서 일어난 사고였습니다.

주행 중인 화물차에서 타이어가 빠지는 가장 큰 이유는 무거운 짐 때문입니다.

하중을 견디지 못해 타이어가 찢어지거나 터진 채로 계속 달리다가 결국엔 빠지게 되는 겁니다.

[화물차 운전기사/음성변조 : "운행하다 터지는 타이어는 '뻥'하면서 터지는 경우가 잘 없어요. 어디가 찢어져 (공기가) 새고 있는 거예요."]

특히 대형 화물차는 좌우에 타이어가 2개씩 달려 있는데 둘의 공기압이 조금만 차이 나도 나사가 풀려 타이어가 빠질 수 있습니다.

일교차가 큰 겨울이나 봄철에는 타이어 공기압이 쉽게 낮아질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공기압이 떨어져 물러진 타이어가 화물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 갈라지거나 터지며 차에서 빠지게 됩니다.

[양일모/한국교통안전공단 충북본부 안전관리처 차장 : "적정 공기압에서 10~15% 정도 높여서 운행해주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외측 타이어와 내측 타이어의 접지력을 보시면 쉽게 육안으로 (불균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교차가 심할 때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한 달에 한 번 이상 점검하고, 재생 타이어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과적하지 않도록 주의도 해야겠죠.

화물차에 실은 짐도, 함께 주행 중인 차들도 안전하게 지켜야겠습니다.

KBS 뉴스 김세희입니다.

영상편집:신선미/그래픽:민세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친절한 뉴스K] 빠진 타이어에 ‘쾅’…공포의 화물차 ‘타이어 이탈’
    • 입력 2024-02-06 12:40:52
    • 수정2024-02-06 13:03:06
    뉴스 12
[앵커]

달리는 화물차에서 갑자기 타이어가 빠지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화물차 타이어 사고의 실태와 이유, 예방법을 친절한 뉴스에서 전해드립니다.

김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화물차 타이어 무게는 100kg 안팎으로 일반 승용차 타이어보다 훨씬 크고 무겁습니다.

그런데 달리는 화물차에서 타이어가 갑자기 빠지는 사고가 종종 일어나고 있습니다.

타이어 무게에 차량 속도까지 더해지면 충격은 훨씬 커지겠죠.

빠진 타이어를 피하려다 2차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대 차선을 달리던 대형 트럭에서 타이어가 빠져나옵니다.

맞은 편에서 달리던 운전자가 미처 피할 틈도 없이 차 밑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운전석 쪽으로 덮쳤다면 인명 피해로 이어질 뻔했습니다.

[경찰 관계자/음성변조 : "(화물차) 바퀴가 빠져서 뒤에 (오던) 차를 이렇게 치고 간 건데... (바퀴가) 빠지면서 (화물차 운전자가) 인지 못 하고 간 것 같은데..."]

차량이 더 빠르게 달리는 고속도로에서는 위험도 더 커집니다.

승용차가 옆으로 넘어져 있던 화물차를 그대로 들이받습니다.

갑자기 타이어가 빠지며 쓰러진 화물차를 미처 확인하지 못해 벌어진 사고입니다.

2021년, 경북 상주의 한 고속도로에서는 달리던 화물차에서 빠진 타이어를 피하려다 뒤따라가던 차량 4대가 추돌했습니다.

이 사고로 2명은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고 1명은 다쳤습니다.

2년 전 경남 남해고속도로에서도 화물차의 타이어가 빠지면서 연쇄 추돌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빠진 타이어가 뒤따르던 차량과 충돌하면서 일어난 사고였습니다.

주행 중인 화물차에서 타이어가 빠지는 가장 큰 이유는 무거운 짐 때문입니다.

하중을 견디지 못해 타이어가 찢어지거나 터진 채로 계속 달리다가 결국엔 빠지게 되는 겁니다.

[화물차 운전기사/음성변조 : "운행하다 터지는 타이어는 '뻥'하면서 터지는 경우가 잘 없어요. 어디가 찢어져 (공기가) 새고 있는 거예요."]

특히 대형 화물차는 좌우에 타이어가 2개씩 달려 있는데 둘의 공기압이 조금만 차이 나도 나사가 풀려 타이어가 빠질 수 있습니다.

일교차가 큰 겨울이나 봄철에는 타이어 공기압이 쉽게 낮아질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공기압이 떨어져 물러진 타이어가 화물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 갈라지거나 터지며 차에서 빠지게 됩니다.

[양일모/한국교통안전공단 충북본부 안전관리처 차장 : "적정 공기압에서 10~15% 정도 높여서 운행해주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외측 타이어와 내측 타이어의 접지력을 보시면 쉽게 육안으로 (불균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교차가 심할 때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한 달에 한 번 이상 점검하고, 재생 타이어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과적하지 않도록 주의도 해야겠죠.

화물차에 실은 짐도, 함께 주행 중인 차들도 안전하게 지켜야겠습니다.

KBS 뉴스 김세희입니다.

영상편집:신선미/그래픽:민세홍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