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청년층 아파트 매수 증가…서울 영향 확대

입력 2024.02.21 (20:18) 수정 2024.02.21 (20: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 청년층의 아파트 매수 비중이 가격 변동과 관계없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 아파트 가격 변동이 부산에 미치는 영향도 최근 10년 사이 훨씬 커졌습니다.

최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30대 직장인 남두현 씨는 2022년, 아파트 가격의 70%를 대출받아 처음으로 내 집을 마련했습니다.

이른바 '영끌'을 통해 '똘똘한 한 채' 마련에 적극 나선 겁니다.

[남두현/직장인 : "아파트 가격이 점점 오를 거로 생각했고, 저축만으로는 이제 아파트를 사기 좀 힘들 거로 생각해서 부득이 대출을 끼더라도 사야 된다고 판단을 해서 구매하게 됐습니다."]

한국은행 부산본부 보고서를 보면 최근 부산지역 아파트 시장의 첫 번째 특징은 2, 30대 청년층 매수 비중이 가격 변동과 관계없이 꾸준히 늘었다는 겁니다.

청년층 매수 비중은 2019년 27.2%에서 지난해 32.2%까지 확대됐습니다.

가격 상승기인 2022년까지 44.6%까지 축소됐다 가격이 하락한 지난해 46.8%로 확대된 4, 50대 매수 비중과 대조를 이룹니다.

[백승휘/한국은행 부산본부 과장 : "실제로 대출 같은 경우에도 특례보금자리론의 청년층 비중이 굉장히 높았고 그런 것들이(대출) 여건들이 좀 완화가 되면서 청년층들의 매수 비중이 증가했는데요."]

두 번째 특징은 신규·고가 아파트 선호 현상입니다.

15억 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2019년 0.15%에서 지난해 0.9%까지 늘었습니다.

또 서울 아파트 가격 변동이 부산에 미치는 영향은 지난 10년간 그 이전보다 더 크게 확대됐으며 특히 해·수·동이라 불리는 부산 3구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의 부산에 대한 영향력은 지난 20년 동안 부산 3구와 기타 지역에 각각 9.3%, 2.3%지만 최근 10년간은 24.6%, 22.6%로 크게 확대됐습니다.

한국은행은 소득대비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위험 관리와 서울-부산 간 아파트 가격 전이효과를 고려한 부동산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최재훈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김소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 청년층 아파트 매수 증가…서울 영향 확대
    • 입력 2024-02-21 20:18:07
    • 수정2024-02-21 20:32:47
    뉴스7(부산)
[앵커]

부산 청년층의 아파트 매수 비중이 가격 변동과 관계없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 아파트 가격 변동이 부산에 미치는 영향도 최근 10년 사이 훨씬 커졌습니다.

최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30대 직장인 남두현 씨는 2022년, 아파트 가격의 70%를 대출받아 처음으로 내 집을 마련했습니다.

이른바 '영끌'을 통해 '똘똘한 한 채' 마련에 적극 나선 겁니다.

[남두현/직장인 : "아파트 가격이 점점 오를 거로 생각했고, 저축만으로는 이제 아파트를 사기 좀 힘들 거로 생각해서 부득이 대출을 끼더라도 사야 된다고 판단을 해서 구매하게 됐습니다."]

한국은행 부산본부 보고서를 보면 최근 부산지역 아파트 시장의 첫 번째 특징은 2, 30대 청년층 매수 비중이 가격 변동과 관계없이 꾸준히 늘었다는 겁니다.

청년층 매수 비중은 2019년 27.2%에서 지난해 32.2%까지 확대됐습니다.

가격 상승기인 2022년까지 44.6%까지 축소됐다 가격이 하락한 지난해 46.8%로 확대된 4, 50대 매수 비중과 대조를 이룹니다.

[백승휘/한국은행 부산본부 과장 : "실제로 대출 같은 경우에도 특례보금자리론의 청년층 비중이 굉장히 높았고 그런 것들이(대출) 여건들이 좀 완화가 되면서 청년층들의 매수 비중이 증가했는데요."]

두 번째 특징은 신규·고가 아파트 선호 현상입니다.

15억 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2019년 0.15%에서 지난해 0.9%까지 늘었습니다.

또 서울 아파트 가격 변동이 부산에 미치는 영향은 지난 10년간 그 이전보다 더 크게 확대됐으며 특히 해·수·동이라 불리는 부산 3구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의 부산에 대한 영향력은 지난 20년 동안 부산 3구와 기타 지역에 각각 9.3%, 2.3%지만 최근 10년간은 24.6%, 22.6%로 크게 확대됐습니다.

한국은행은 소득대비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위험 관리와 서울-부산 간 아파트 가격 전이효과를 고려한 부동산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KBS 뉴스 최재훈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그래픽:김소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