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종이빨대 업체…“가압류까지 내몰렸다”

입력 2024.02.21 (21:41) 수정 2024.02.22 (10: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는 지난해 말, 친환경 정책으로 추진하던 플라스틱 빨대 사용 금지를 전격 유예했는데요.

이 때문에 정부의 일회용품 사용 규제 정책을 믿고 대체용품으로 종이 빨대 제조에 나섰던 업체들이 판로가 막혀 폐업 위기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정재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종이 빨대를 만드는 공장입니다.

직원 한 명 없는 텅 빈 공장에 빨간 가압류 딱지가 붙어있습니다.

은행 경고문도 눈에 띕니다.

설비투자에만 쏟아 부은 돈이 15억 원, 이 중 일부를 감당하지 못해 압류와 청산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환경부가 플라스틱 빨대 사용 금지를 무기한 연기한다는 발표를 하자마자 주문이 급격히 줄어든 탓입니다.

[한지만/종이 빨대 제조업체 대표 : "갓길에 차를 세워두고서 1시간 정도를 앉아서 울었어요. 우리 아이들, 직원들 생각에 진짜…."]

인근의 또 다른 업체도 생산을 멈춘 지 오랩니다.

장비엔 먼지만 쌓여 갑니다.

[이상길/종이 빨대 제조업체 대표 : "(정부가) 시행 일자라도 지정해 주면 저희가 믿고 친환경 사업에 종사하면서 준비를 할 수 있을 텐데…."]

전국 종이 빨대 제조업체는 17곳, 이중 충남지역 업체 5곳은 모두 폐업 기로에 서 있습니다.

이렇게 팔리지 못하고 쌓인 종이 빨대, 충남지역에서만 4,900만 개에 이르고 있습니다.

보다 못한 자치단체가 경영안정자금 상환을 늦춰주고 수요처도 뚫고 있습니다.

[정도영/충청남도 자원재활용팀장 : "환경부에 플라스틱 빨대 사용금지 시행을 촉구하고, 커피전문점과 도내 휴게음식점 8천여 곳에 종이 빨대 구매를 협조…."]

자영업자 부담을 덜기 위해 플라스틱 빨대 사용금지를 유예했다고 정부는 밝혔지만, 정부 정책을 믿고 설비 투자를 했던 종이 빨대 업체들은 이제 누구를 믿어야 하느냐고 반문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벼랑 끝’ 종이빨대 업체…“가압류까지 내몰렸다”
    • 입력 2024-02-21 21:41:02
    • 수정2024-02-22 10:38:30
    뉴스9(대전)
[앵커]

정부는 지난해 말, 친환경 정책으로 추진하던 플라스틱 빨대 사용 금지를 전격 유예했는데요.

이 때문에 정부의 일회용품 사용 규제 정책을 믿고 대체용품으로 종이 빨대 제조에 나섰던 업체들이 판로가 막혀 폐업 위기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정재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종이 빨대를 만드는 공장입니다.

직원 한 명 없는 텅 빈 공장에 빨간 가압류 딱지가 붙어있습니다.

은행 경고문도 눈에 띕니다.

설비투자에만 쏟아 부은 돈이 15억 원, 이 중 일부를 감당하지 못해 압류와 청산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환경부가 플라스틱 빨대 사용 금지를 무기한 연기한다는 발표를 하자마자 주문이 급격히 줄어든 탓입니다.

[한지만/종이 빨대 제조업체 대표 : "갓길에 차를 세워두고서 1시간 정도를 앉아서 울었어요. 우리 아이들, 직원들 생각에 진짜…."]

인근의 또 다른 업체도 생산을 멈춘 지 오랩니다.

장비엔 먼지만 쌓여 갑니다.

[이상길/종이 빨대 제조업체 대표 : "(정부가) 시행 일자라도 지정해 주면 저희가 믿고 친환경 사업에 종사하면서 준비를 할 수 있을 텐데…."]

전국 종이 빨대 제조업체는 17곳, 이중 충남지역 업체 5곳은 모두 폐업 기로에 서 있습니다.

이렇게 팔리지 못하고 쌓인 종이 빨대, 충남지역에서만 4,900만 개에 이르고 있습니다.

보다 못한 자치단체가 경영안정자금 상환을 늦춰주고 수요처도 뚫고 있습니다.

[정도영/충청남도 자원재활용팀장 : "환경부에 플라스틱 빨대 사용금지 시행을 촉구하고, 커피전문점과 도내 휴게음식점 8천여 곳에 종이 빨대 구매를 협조…."]

자영업자 부담을 덜기 위해 플라스틱 빨대 사용금지를 유예했다고 정부는 밝혔지만, 정부 정책을 믿고 설비 투자를 했던 종이 빨대 업체들은 이제 누구를 믿어야 하느냐고 반문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