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식 “북한, 러시아 수출용 군수공장 풀가동…포탄 등 수백만 발 넘겨”
입력 2024.02.27 (12:01)
수정 2024.02.27 (1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24/02/27/20240227_lhlAlO.jpg)
북한이 포탄 등 무기 수백만 발을 러시아에 넘기고 식량과 생필품 등을 들여오고 있다는 군 당국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신원식 국방장관은 어제(26일)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지난해 8월 말부터 현재까지 (북한에서 러시아로) 6,700여 개 컨테이너가 갔다"면서 "대략적인 (무기)량을 추정해 볼때 152mm 포탄이면 300만 발 이상, 122mm 방사포탄이면 50만 발 이상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개의 포탄 종류가 섞여서 갈 가능성이 많으니 적어도 수백만 발이 건너갔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북한의 열악한 원자재와 전기 사정을 고려할때 군수공장 가동률은 30% 정도 수준으로 평가한다"라면서도 "러시아로 제공되는 무기 공장들은 풀가동 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신 장관은 "러시아에서 북한으로 들어오는 컨테이너가 30% 이상 많다"면서 "식량이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그래서 아마 북한 지역에 식량값은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또, "생필품도 있고, 소재나 부품 일부는 나중에 완성체로 생산돼서 다시 러시아로 가기 위한 것들이 (러시아에서)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신 장관은 오는 4월 첫째 주 미 플로리다 공군 기지에서 군 정찰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이보다 앞서 4차 정찰 위성을 발사할 가능성도 있는데, 무기 거래를 대가로 러시아에 위성 관련 기술을 계속 이전받는 북한의 기술 수준은 4차 위성 발사 결과에 따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신 장관은 지난해 발사한 북한의 군 정찰위성 '만리경-1호'는 "궤도를 돌며 신호는 정상 수신하고 있지만 일을 하는 징후는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 한미가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데, 북한 정찰위성이 지상과 통신 중계를 하거나 정찰 임무를 수행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최근 투발 수단 다양화를 꾀하고 있는 북한이 유엔안보리 결의 제재 대항이 아닌 순항미사일 개발에 일단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은 최근 지대함 순항 미사일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는데, 이는 러시아에 수출용을 포함해 전선 일대에서 도발하기 위한 용도로도 보여 우리 군 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대지, 지대함, 공대지 순항미사일을 포함해 종국적으로 핵 탑재를 위한 것은 분명하고, 미래의 목표로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의 김군옥함이 특별한 동향은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군 관계자는 지난해 9월 진수한 김군옥 잠수함은 밖으로 나오지 않았고, 내부적으로 장치 장착 활동만 할 뿐 특별한 활동은 포착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신원식 국방장관은 어제(26일)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지난해 8월 말부터 현재까지 (북한에서 러시아로) 6,700여 개 컨테이너가 갔다"면서 "대략적인 (무기)량을 추정해 볼때 152mm 포탄이면 300만 발 이상, 122mm 방사포탄이면 50만 발 이상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개의 포탄 종류가 섞여서 갈 가능성이 많으니 적어도 수백만 발이 건너갔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북한의 열악한 원자재와 전기 사정을 고려할때 군수공장 가동률은 30% 정도 수준으로 평가한다"라면서도 "러시아로 제공되는 무기 공장들은 풀가동 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신 장관은 "러시아에서 북한으로 들어오는 컨테이너가 30% 이상 많다"면서 "식량이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그래서 아마 북한 지역에 식량값은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또, "생필품도 있고, 소재나 부품 일부는 나중에 완성체로 생산돼서 다시 러시아로 가기 위한 것들이 (러시아에서)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신 장관은 오는 4월 첫째 주 미 플로리다 공군 기지에서 군 정찰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이보다 앞서 4차 정찰 위성을 발사할 가능성도 있는데, 무기 거래를 대가로 러시아에 위성 관련 기술을 계속 이전받는 북한의 기술 수준은 4차 위성 발사 결과에 따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신 장관은 지난해 발사한 북한의 군 정찰위성 '만리경-1호'는 "궤도를 돌며 신호는 정상 수신하고 있지만 일을 하는 징후는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 한미가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데, 북한 정찰위성이 지상과 통신 중계를 하거나 정찰 임무를 수행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최근 투발 수단 다양화를 꾀하고 있는 북한이 유엔안보리 결의 제재 대항이 아닌 순항미사일 개발에 일단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은 최근 지대함 순항 미사일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는데, 이는 러시아에 수출용을 포함해 전선 일대에서 도발하기 위한 용도로도 보여 우리 군 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대지, 지대함, 공대지 순항미사일을 포함해 종국적으로 핵 탑재를 위한 것은 분명하고, 미래의 목표로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의 김군옥함이 특별한 동향은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군 관계자는 지난해 9월 진수한 김군옥 잠수함은 밖으로 나오지 않았고, 내부적으로 장치 장착 활동만 할 뿐 특별한 활동은 포착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원식 “북한, 러시아 수출용 군수공장 풀가동…포탄 등 수백만 발 넘겨”
-
- 입력 2024-02-27 12:01:45
- 수정2024-02-27 12:05:59
![](/data/news/2024/02/27/20240227_lhlAlO.jpg)
북한이 포탄 등 무기 수백만 발을 러시아에 넘기고 식량과 생필품 등을 들여오고 있다는 군 당국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신원식 국방장관은 어제(26일)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지난해 8월 말부터 현재까지 (북한에서 러시아로) 6,700여 개 컨테이너가 갔다"면서 "대략적인 (무기)량을 추정해 볼때 152mm 포탄이면 300만 발 이상, 122mm 방사포탄이면 50만 발 이상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개의 포탄 종류가 섞여서 갈 가능성이 많으니 적어도 수백만 발이 건너갔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북한의 열악한 원자재와 전기 사정을 고려할때 군수공장 가동률은 30% 정도 수준으로 평가한다"라면서도 "러시아로 제공되는 무기 공장들은 풀가동 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신 장관은 "러시아에서 북한으로 들어오는 컨테이너가 30% 이상 많다"면서 "식량이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그래서 아마 북한 지역에 식량값은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또, "생필품도 있고, 소재나 부품 일부는 나중에 완성체로 생산돼서 다시 러시아로 가기 위한 것들이 (러시아에서)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신 장관은 오는 4월 첫째 주 미 플로리다 공군 기지에서 군 정찰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이보다 앞서 4차 정찰 위성을 발사할 가능성도 있는데, 무기 거래를 대가로 러시아에 위성 관련 기술을 계속 이전받는 북한의 기술 수준은 4차 위성 발사 결과에 따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신 장관은 지난해 발사한 북한의 군 정찰위성 '만리경-1호'는 "궤도를 돌며 신호는 정상 수신하고 있지만 일을 하는 징후는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 한미가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데, 북한 정찰위성이 지상과 통신 중계를 하거나 정찰 임무를 수행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최근 투발 수단 다양화를 꾀하고 있는 북한이 유엔안보리 결의 제재 대항이 아닌 순항미사일 개발에 일단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은 최근 지대함 순항 미사일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는데, 이는 러시아에 수출용을 포함해 전선 일대에서 도발하기 위한 용도로도 보여 우리 군 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대지, 지대함, 공대지 순항미사일을 포함해 종국적으로 핵 탑재를 위한 것은 분명하고, 미래의 목표로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의 김군옥함이 특별한 동향은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군 관계자는 지난해 9월 진수한 김군옥 잠수함은 밖으로 나오지 않았고, 내부적으로 장치 장착 활동만 할 뿐 특별한 활동은 포착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신원식 국방장관은 어제(26일)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지난해 8월 말부터 현재까지 (북한에서 러시아로) 6,700여 개 컨테이너가 갔다"면서 "대략적인 (무기)량을 추정해 볼때 152mm 포탄이면 300만 발 이상, 122mm 방사포탄이면 50만 발 이상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개의 포탄 종류가 섞여서 갈 가능성이 많으니 적어도 수백만 발이 건너갔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북한의 열악한 원자재와 전기 사정을 고려할때 군수공장 가동률은 30% 정도 수준으로 평가한다"라면서도 "러시아로 제공되는 무기 공장들은 풀가동 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신 장관은 "러시아에서 북한으로 들어오는 컨테이너가 30% 이상 많다"면서 "식량이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그래서 아마 북한 지역에 식량값은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또, "생필품도 있고, 소재나 부품 일부는 나중에 완성체로 생산돼서 다시 러시아로 가기 위한 것들이 (러시아에서)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신 장관은 오는 4월 첫째 주 미 플로리다 공군 기지에서 군 정찰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이보다 앞서 4차 정찰 위성을 발사할 가능성도 있는데, 무기 거래를 대가로 러시아에 위성 관련 기술을 계속 이전받는 북한의 기술 수준은 4차 위성 발사 결과에 따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신 장관은 지난해 발사한 북한의 군 정찰위성 '만리경-1호'는 "궤도를 돌며 신호는 정상 수신하고 있지만 일을 하는 징후는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 한미가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데, 북한 정찰위성이 지상과 통신 중계를 하거나 정찰 임무를 수행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최근 투발 수단 다양화를 꾀하고 있는 북한이 유엔안보리 결의 제재 대항이 아닌 순항미사일 개발에 일단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은 최근 지대함 순항 미사일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는데, 이는 러시아에 수출용을 포함해 전선 일대에서 도발하기 위한 용도로도 보여 우리 군 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대지, 지대함, 공대지 순항미사일을 포함해 종국적으로 핵 탑재를 위한 것은 분명하고, 미래의 목표로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의 김군옥함이 특별한 동향은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군 관계자는 지난해 9월 진수한 김군옥 잠수함은 밖으로 나오지 않았고, 내부적으로 장치 장착 활동만 할 뿐 특별한 활동은 포착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송금한 기자 email@kbs.co.kr
송금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