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금융사 직원들도 중고차 사기 대출 가담…17명 무더기 송치

입력 2024.02.27 (17:34) 수정 2024.02.27 (17: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각종 서류를 위조해 수억 원의 중고차 대출 사기를 벌인 일당과 이에 가담하고 방조한 금융사 직원들이 무더기로 검찰에 송치됐습니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최근 사기와 사기방조, 사문서위조 등의 혐의로 임 모 씨 등 17명을 검찰에 송치했다고 오늘(27일) 밝혔습니다.

사건에 연루된 금융사는 모두 7곳인데, 송치된 피의자 중에는 금융사의 정식 직원도 5명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들은 2021년 2월부터 3월까지 중고차 12대를 이용해 대출금 5억여 원을 받아놓고는 고객에게 전달하지 않고 가로챈 혐의를 받습니다.

먼저 완파 혹은 반파돼 운행이 불가능한 폐차를 구한 뒤 성능점검표 등을 위조해 멀쩡한 차량으로 고객들을 속여 인적사항을 받아냈습니다.

이후 고객의 동의 없이 매매계약서와 차량인수증 등을 위조해 금융사에 제출했습니다.

원칙대로라면 금융사가 위조 서류를 확인해 대출을 내주지 않았어야 했지만, 사건에 연루된 금융사 직원들은 직접 서류를 위조하거나 위조 서류인 것을 알면서도 묵인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A 캐피탈사는 핵심 피의자들이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중고 자동차 대출 계약서 일체를 위조했습니다.

B 카드사도 고객의 동의를 받지 않고 할부금융 약정서 중 차량 정보란 등을 직원이 직접 써넣었습니다.

이들 금융사 측은 자신들도 사기 일당에게 속아 대출금을 내준 피해자라고 주장해왔지만, 경찰 조사 결과 직접 범행에 가담하거나 방조한 것으로 드러난 겁니다.

이 밖에도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금융사의 불법과 약관 위반은 대출 심사 과정에서 단계별로 이뤄졌습니다.

대출 착수 단계에선 핵심 피의자들이 대출금이 많이 나오는 금융사를 찾기 위한 목적으로 신용조회를 요청하자 불법으로 신용 정보를 제공하는 등 신용법을 위반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또 피의자들이 제공한 정보로 대출계약서 등의 심 서류를 고객의 동의를 받지 않은 채 대신 썼습니다.

대출금을 전달할 때도 자격이 있는 중고차 매매업자인지 확인하지 않는 등 중고차 대출 약관을 위반 소지가 있었습니다.

피해자들이 사기 피해를 호소해도 금융사들은 모르쇠로 일관하며 채권추심을 계속해 피해가 커졌습니다.

금융사 압수수색을 통해 또 다른 피해자가 있을 수 있다는 정황을 포착한 경찰은 수사를 계속 이어나갈 방침입니다.

[연관기사] [단독] 폐차 상태인데 멀쩡?…차량 대출금 4억여 원 가로채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85799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금융사 직원들도 중고차 사기 대출 가담…17명 무더기 송치
    • 입력 2024-02-27 17:34:37
    • 수정2024-02-27 17:36:25
    단독
각종 서류를 위조해 수억 원의 중고차 대출 사기를 벌인 일당과 이에 가담하고 방조한 금융사 직원들이 무더기로 검찰에 송치됐습니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최근 사기와 사기방조, 사문서위조 등의 혐의로 임 모 씨 등 17명을 검찰에 송치했다고 오늘(27일) 밝혔습니다.

사건에 연루된 금융사는 모두 7곳인데, 송치된 피의자 중에는 금융사의 정식 직원도 5명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들은 2021년 2월부터 3월까지 중고차 12대를 이용해 대출금 5억여 원을 받아놓고는 고객에게 전달하지 않고 가로챈 혐의를 받습니다.

먼저 완파 혹은 반파돼 운행이 불가능한 폐차를 구한 뒤 성능점검표 등을 위조해 멀쩡한 차량으로 고객들을 속여 인적사항을 받아냈습니다.

이후 고객의 동의 없이 매매계약서와 차량인수증 등을 위조해 금융사에 제출했습니다.

원칙대로라면 금융사가 위조 서류를 확인해 대출을 내주지 않았어야 했지만, 사건에 연루된 금융사 직원들은 직접 서류를 위조하거나 위조 서류인 것을 알면서도 묵인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A 캐피탈사는 핵심 피의자들이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중고 자동차 대출 계약서 일체를 위조했습니다.

B 카드사도 고객의 동의를 받지 않고 할부금융 약정서 중 차량 정보란 등을 직원이 직접 써넣었습니다.

이들 금융사 측은 자신들도 사기 일당에게 속아 대출금을 내준 피해자라고 주장해왔지만, 경찰 조사 결과 직접 범행에 가담하거나 방조한 것으로 드러난 겁니다.

이 밖에도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금융사의 불법과 약관 위반은 대출 심사 과정에서 단계별로 이뤄졌습니다.

대출 착수 단계에선 핵심 피의자들이 대출금이 많이 나오는 금융사를 찾기 위한 목적으로 신용조회를 요청하자 불법으로 신용 정보를 제공하는 등 신용법을 위반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또 피의자들이 제공한 정보로 대출계약서 등의 심 서류를 고객의 동의를 받지 않은 채 대신 썼습니다.

대출금을 전달할 때도 자격이 있는 중고차 매매업자인지 확인하지 않는 등 중고차 대출 약관을 위반 소지가 있었습니다.

피해자들이 사기 피해를 호소해도 금융사들은 모르쇠로 일관하며 채권추심을 계속해 피해가 커졌습니다.

금융사 압수수색을 통해 또 다른 피해자가 있을 수 있다는 정황을 포착한 경찰은 수사를 계속 이어나갈 방침입니다.

[연관기사] [단독] 폐차 상태인데 멀쩡?…차량 대출금 4억여 원 가로채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85799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이 기사는 일부 댓글에 모욕・명예훼손 등 현행법에 저촉될 우려가 발견돼 건전한 댓글 문화 정착을 위해 댓글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