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도전 R&D 기술토론회…의견수렴 후 3월 과제 공고
입력 2024.02.28 (19:20)
수정 2024.02.28 (19: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오늘(28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한계도전 R&D 프로젝트' 기술 제안 토론회를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계도전 R&D는 실패 가능성이 크지만 성공하면 파급효과가 큰 연구개발(R&D)을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민간 전문가에게 책임 프로젝트 매니저(PM)를 맡기고 문제 정의와 연구 주제 발굴, 기획, 과제관리 등 R&D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형태로 운영됩니다.
앞서 책임 PM 3명은 소재, 기후·에너지, 바이오·헬스 분야 8개 연구 주제를 제시했으며 의견요청서 접수를 거쳐 5개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 양자 통신용 단일 광자를 상온에서 생성하는 기술 ▲ 과불화 화합물 대체 생체친화적 윤활 코팅 소재 기술 ▲ 최소 에너지를 이용하는 탄소순환 기술 ▲ 과학 기계학습을 이용한 극단 기상변화 예측 및 재난위험 맵핑 기술 등이 논의됐습니다.
책임 PM이 연구 주제별 목표와 문제해결 기대치를 전달하고 세부 기획 의견을 수렴해 3월 중 신규 과제를 공고합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정부 R&D 재원이 한계도전 R&D 사업처럼 보다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미래 연구에 더 많이 지원될 수 있도록 R&D 사업 개편을 개편하고, 제도와 환경을 바꿔가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부 제공]
한계도전 R&D는 실패 가능성이 크지만 성공하면 파급효과가 큰 연구개발(R&D)을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민간 전문가에게 책임 프로젝트 매니저(PM)를 맡기고 문제 정의와 연구 주제 발굴, 기획, 과제관리 등 R&D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형태로 운영됩니다.
앞서 책임 PM 3명은 소재, 기후·에너지, 바이오·헬스 분야 8개 연구 주제를 제시했으며 의견요청서 접수를 거쳐 5개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 양자 통신용 단일 광자를 상온에서 생성하는 기술 ▲ 과불화 화합물 대체 생체친화적 윤활 코팅 소재 기술 ▲ 최소 에너지를 이용하는 탄소순환 기술 ▲ 과학 기계학습을 이용한 극단 기상변화 예측 및 재난위험 맵핑 기술 등이 논의됐습니다.
책임 PM이 연구 주제별 목표와 문제해결 기대치를 전달하고 세부 기획 의견을 수렴해 3월 중 신규 과제를 공고합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정부 R&D 재원이 한계도전 R&D 사업처럼 보다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미래 연구에 더 많이 지원될 수 있도록 R&D 사업 개편을 개편하고, 제도와 환경을 바꿔가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계도전 R&D 기술토론회…의견수렴 후 3월 과제 공고
-
- 입력 2024-02-28 19:20:34
- 수정2024-02-28 19:34: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오늘(28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한계도전 R&D 프로젝트' 기술 제안 토론회를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계도전 R&D는 실패 가능성이 크지만 성공하면 파급효과가 큰 연구개발(R&D)을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민간 전문가에게 책임 프로젝트 매니저(PM)를 맡기고 문제 정의와 연구 주제 발굴, 기획, 과제관리 등 R&D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형태로 운영됩니다.
앞서 책임 PM 3명은 소재, 기후·에너지, 바이오·헬스 분야 8개 연구 주제를 제시했으며 의견요청서 접수를 거쳐 5개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 양자 통신용 단일 광자를 상온에서 생성하는 기술 ▲ 과불화 화합물 대체 생체친화적 윤활 코팅 소재 기술 ▲ 최소 에너지를 이용하는 탄소순환 기술 ▲ 과학 기계학습을 이용한 극단 기상변화 예측 및 재난위험 맵핑 기술 등이 논의됐습니다.
책임 PM이 연구 주제별 목표와 문제해결 기대치를 전달하고 세부 기획 의견을 수렴해 3월 중 신규 과제를 공고합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정부 R&D 재원이 한계도전 R&D 사업처럼 보다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미래 연구에 더 많이 지원될 수 있도록 R&D 사업 개편을 개편하고, 제도와 환경을 바꿔가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부 제공]
한계도전 R&D는 실패 가능성이 크지만 성공하면 파급효과가 큰 연구개발(R&D)을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민간 전문가에게 책임 프로젝트 매니저(PM)를 맡기고 문제 정의와 연구 주제 발굴, 기획, 과제관리 등 R&D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형태로 운영됩니다.
앞서 책임 PM 3명은 소재, 기후·에너지, 바이오·헬스 분야 8개 연구 주제를 제시했으며 의견요청서 접수를 거쳐 5개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 양자 통신용 단일 광자를 상온에서 생성하는 기술 ▲ 과불화 화합물 대체 생체친화적 윤활 코팅 소재 기술 ▲ 최소 에너지를 이용하는 탄소순환 기술 ▲ 과학 기계학습을 이용한 극단 기상변화 예측 및 재난위험 맵핑 기술 등이 논의됐습니다.
책임 PM이 연구 주제별 목표와 문제해결 기대치를 전달하고 세부 기획 의견을 수렴해 3월 중 신규 과제를 공고합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정부 R&D 재원이 한계도전 R&D 사업처럼 보다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미래 연구에 더 많이 지원될 수 있도록 R&D 사업 개편을 개편하고, 제도와 환경을 바꿔가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부 제공]
-
-
지형철 기자 ican@kbs.co.kr
지형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