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이’ 없는 부산…일자리 찾아 떠나는 청년

입력 2024.02.29 (10:01) 수정 2024.02.29 (11: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에는 '둥지'가 없고, 지방에는 '먹이'가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서울은 주거가 불안하고, 지방에는 제대로 된 일자리가 없기 때문에 나온 말인데요.

KBS 부산의 연중 기획 보도, 오늘은 일자리를 찾아 부산을 떠나는 청년들을 김옥천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가족, 친구들의 축하를 받으며 사회로 첫발을 내딛는 순간.

고병준 씨는 대학원 진학과 취업 준비를 위해 부산을 떠납니다.

[고병준/데이터정보과학 전공 : "진로를 위해서 가는겁니다. 저도 부산·경남 쪽 사람들을 좋아하고, 문화를 좋아하는데, 어쩔 수 없이 서울 쪽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고 씨의 희망 직업은 '데이터 전문가'.

스타트업에서 수요가 많은데 수도권에 몰려 있어 부산을 떠나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겁니다.

부산 토박이 장진복 씨 역시 전공을 살려 수도권 기업에 입사했습니다.

[장진복/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 전공 : "부산에서 생물 쪽 연구하는 기업이 잘 없더라고요. 의료기기를 수리하는 업체들이 있고, 연구 쪽 기업은 잘 없는 거로 알고 있어서…."]

부산에 남고 싶었지만, 일자리가 없어 떠나는 부산 청년들입니다.

지난해 부산의 20~30대 청년 순 유출 인구는 6천8백여 명이었습니다.

20대 초반에는 오히려 부산에 들어오는 청년의 숫자가 더 많았지만, 20대 중반부터는 '탈부산' 행렬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대학 진학 등의 이유로 부산을 찾지만, 일자리를 찾아 부산을 떠나는 숫자가 더 많은 겁니다.

실제로 지난해 부산의 인구 순 유입 사유 1위는 교육이었고, 순 유출 사유 1위는 직업이었습니다.

부산지역 대학에서 방사선학을 전공한 김태환 씨.

서울에서 석사 학위를 따고 직장까지 구했습니다.

[김태환/방사선학 전공 : "일하고 있는 분야에서, 존재하는 기관 수가 차이가 나다 보니까 그만한 전문가 분포도 서울 쪽에 집중이 되어 있고, 그만한 커뮤니티가 형성되기도 쉽고요."]

실크 부산에서 방사선학을 전공하면 병원에서 일하는 게 대부분인데, 서울에서는 방사선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할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거나 물가 부담을 떠안더라도 서울에 남길 원하는 부산 청년들.

부산에서 타 시도로 떠난 순 유출 인구 열에 아홉 명은 이곳 서울과 경기도에 머무르게 됐습니다.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부산의 청년들은 계속해서 정든 고향을 등지고 떠날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영상편집:전은별/그래픽:김소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먹이’ 없는 부산…일자리 찾아 떠나는 청년
    • 입력 2024-02-29 10:01:09
    • 수정2024-02-29 11:41:31
    930뉴스(부산)
[앵커]

서울에는 '둥지'가 없고, 지방에는 '먹이'가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서울은 주거가 불안하고, 지방에는 제대로 된 일자리가 없기 때문에 나온 말인데요.

KBS 부산의 연중 기획 보도, 오늘은 일자리를 찾아 부산을 떠나는 청년들을 김옥천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가족, 친구들의 축하를 받으며 사회로 첫발을 내딛는 순간.

고병준 씨는 대학원 진학과 취업 준비를 위해 부산을 떠납니다.

[고병준/데이터정보과학 전공 : "진로를 위해서 가는겁니다. 저도 부산·경남 쪽 사람들을 좋아하고, 문화를 좋아하는데, 어쩔 수 없이 서울 쪽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고 씨의 희망 직업은 '데이터 전문가'.

스타트업에서 수요가 많은데 수도권에 몰려 있어 부산을 떠나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겁니다.

부산 토박이 장진복 씨 역시 전공을 살려 수도권 기업에 입사했습니다.

[장진복/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 전공 : "부산에서 생물 쪽 연구하는 기업이 잘 없더라고요. 의료기기를 수리하는 업체들이 있고, 연구 쪽 기업은 잘 없는 거로 알고 있어서…."]

부산에 남고 싶었지만, 일자리가 없어 떠나는 부산 청년들입니다.

지난해 부산의 20~30대 청년 순 유출 인구는 6천8백여 명이었습니다.

20대 초반에는 오히려 부산에 들어오는 청년의 숫자가 더 많았지만, 20대 중반부터는 '탈부산' 행렬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대학 진학 등의 이유로 부산을 찾지만, 일자리를 찾아 부산을 떠나는 숫자가 더 많은 겁니다.

실제로 지난해 부산의 인구 순 유입 사유 1위는 교육이었고, 순 유출 사유 1위는 직업이었습니다.

부산지역 대학에서 방사선학을 전공한 김태환 씨.

서울에서 석사 학위를 따고 직장까지 구했습니다.

[김태환/방사선학 전공 : "일하고 있는 분야에서, 존재하는 기관 수가 차이가 나다 보니까 그만한 전문가 분포도 서울 쪽에 집중이 되어 있고, 그만한 커뮤니티가 형성되기도 쉽고요."]

실크 부산에서 방사선학을 전공하면 병원에서 일하는 게 대부분인데, 서울에서는 방사선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할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거나 물가 부담을 떠안더라도 서울에 남길 원하는 부산 청년들.

부산에서 타 시도로 떠난 순 유출 인구 열에 아홉 명은 이곳 서울과 경기도에 머무르게 됐습니다.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부산의 청년들은 계속해서 정든 고향을 등지고 떠날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영상편집:전은별/그래픽:김소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