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수당 안 주고 휴가 적게 주고…IT·벤처기업 4곳 중 3곳 임금체불 적발

입력 2024.03.12 (12:16) 수정 2024.03.12 (13: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소프트웨어나 게임 개발 같은 IT·벤처기업은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인기 직장으로 꼽히죠.

근로 조건은 어떤지 점검해봤더니, 각종 수당이나 휴가를 제대로 주지 않은 곳이 50곳 가까이 적발됐습니다.

김지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포괄임금제를 명목으로 부당하게 각종 수당을 주지 않은 IT 기업이 대거 적발됐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정보통신업체 60곳을 집중 감독한 결과, 모두 238건의 위반 사항이 적발됐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 성희롱, 연장근로 한도 위반 등 위반 내역은 다양했는데, 가장 비율이 높은 건 임금 체불이었습니다.

4분의 3이 넘는 46곳에서 미지급 내역이 적발됐습니다.

기본급에 시간외 수당 등을 포함해 지급하는 포괄임금제를 내세워, 한 달에 스무 시간까지만 연장근로수당을 주거나, 보상 휴가를 법에 정해진 것보다 적게 줬습니다.

이로 인한 체불액은 14억 2,300만 원에 이르렀습니다.

특히 고용부는 인센티브를 줬다는 이유로 연차수당을 전혀 주지 않아 2,200만 원을 체불하고, 시정명령도 이행하지 않은 한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을 형사 입건했습니다.

또 장시간 근로는 모두 12곳에서, 직장 내 괴롭힘과 성희롱은 모두 7곳에서 적발됐습니다.

주로 근로시간을 관리하지 않거나, 법정 한도까지만 연장근로를 입력하게 한 경우, 또 여성 직원의 옷차림이나 화장을 지적하며 희롱하거나 상습적으로 모욕, 폭언한 사례들이었습니다.

고용부는 이들에 대해 시정 조치를 한 뒤 이행 상황을 다시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또 이번 감독으로 청년 근로자의 휴식권 침해가 여럿 확인된 만큼, 오는 18일부터 2주 동안 현장 예방점검을 전국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차수당 안 주고 휴가 적게 주고…IT·벤처기업 4곳 중 3곳 임금체불 적발
    • 입력 2024-03-12 12:16:05
    • 수정2024-03-12 13:04:14
    뉴스 12
[앵커]

소프트웨어나 게임 개발 같은 IT·벤처기업은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인기 직장으로 꼽히죠.

근로 조건은 어떤지 점검해봤더니, 각종 수당이나 휴가를 제대로 주지 않은 곳이 50곳 가까이 적발됐습니다.

김지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포괄임금제를 명목으로 부당하게 각종 수당을 주지 않은 IT 기업이 대거 적발됐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정보통신업체 60곳을 집중 감독한 결과, 모두 238건의 위반 사항이 적발됐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 성희롱, 연장근로 한도 위반 등 위반 내역은 다양했는데, 가장 비율이 높은 건 임금 체불이었습니다.

4분의 3이 넘는 46곳에서 미지급 내역이 적발됐습니다.

기본급에 시간외 수당 등을 포함해 지급하는 포괄임금제를 내세워, 한 달에 스무 시간까지만 연장근로수당을 주거나, 보상 휴가를 법에 정해진 것보다 적게 줬습니다.

이로 인한 체불액은 14억 2,300만 원에 이르렀습니다.

특히 고용부는 인센티브를 줬다는 이유로 연차수당을 전혀 주지 않아 2,200만 원을 체불하고, 시정명령도 이행하지 않은 한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을 형사 입건했습니다.

또 장시간 근로는 모두 12곳에서, 직장 내 괴롭힘과 성희롱은 모두 7곳에서 적발됐습니다.

주로 근로시간을 관리하지 않거나, 법정 한도까지만 연장근로를 입력하게 한 경우, 또 여성 직원의 옷차림이나 화장을 지적하며 희롱하거나 상습적으로 모욕, 폭언한 사례들이었습니다.

고용부는 이들에 대해 시정 조치를 한 뒤 이행 상황을 다시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또 이번 감독으로 청년 근로자의 휴식권 침해가 여럿 확인된 만큼, 오는 18일부터 2주 동안 현장 예방점검을 전국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