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은행 주담대 4.7조↑…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축소

입력 2024.03.13 (14:34) 수정 2024.03.13 (14: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5조 원 가까이 늘어났지만 2금융권 가계 대출이 줄면서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3일) 발표한 '2월 중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2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00조 3,000억 원으로 한 달 전보다 2조 원 늘었습니다.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1,100조 원을 넘긴 것은 2021년 2월 1,000조 원을 돌파한 이후 3년 만으로, 11개월 연속 불어나는 추세입니다.

종류별로 보면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이 860조 원으로 한 달 전보다 4조 7,000억 원 증가했습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239조 1,000억 원)은 한 달 새 2조 7,000억 원 감소했습니다.

명절 상여금 등을 받아 차주들이 일부 신용대출을 상환한 영향입니다.

원지한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이어졌지만 아파트 입주 물량 축소와 2월 영업일 감소 등으로 증가 규모는 1월보다 소폭 줄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스트레스 DSR 도입을 앞두고 대출 수요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의미 있는 숫자로 반영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신생아 특례대출의 경우에도 갈아타기 수요가 많기 때문에 전체 가계대출 증감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앞으로 가계대출 전망과 관련해서는 "가계대출 증가세는 주택 경기만 아니라 정부 정책, 금리 수준 등 여러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언할 수는 없지만 일정 기간 동안은 낮은 증가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원 차장은 2금융권 가계대출 감소 배경에 대해서는 "지방 부동산 경기와 밀접한데 지방 부동산 상황이 수도권과 달리 계속 나쁜 데다 금융기관들도 자체 위험 관리 차원에서 대출을 조이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달 예금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한 달 새 8조 원 늘었습니다.

2월 기준으로 2021년(+8조 9,000억 원) 이후 역대 두 번째 증가폭입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3조 3,000억 원, 4조 7,000억 원 증가했습니다.

중소기업 가운데 개인사업자 대출도 1조 1,000억 원 불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은행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달 은행 주담대 4.7조↑…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축소
    • 입력 2024-03-13 14:34:55
    • 수정2024-03-13 14:38:04
    경제
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5조 원 가까이 늘어났지만 2금융권 가계 대출이 줄면서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3일) 발표한 '2월 중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2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00조 3,000억 원으로 한 달 전보다 2조 원 늘었습니다.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1,100조 원을 넘긴 것은 2021년 2월 1,000조 원을 돌파한 이후 3년 만으로, 11개월 연속 불어나는 추세입니다.

종류별로 보면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이 860조 원으로 한 달 전보다 4조 7,000억 원 증가했습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239조 1,000억 원)은 한 달 새 2조 7,000억 원 감소했습니다.

명절 상여금 등을 받아 차주들이 일부 신용대출을 상환한 영향입니다.

원지한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이어졌지만 아파트 입주 물량 축소와 2월 영업일 감소 등으로 증가 규모는 1월보다 소폭 줄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스트레스 DSR 도입을 앞두고 대출 수요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의미 있는 숫자로 반영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신생아 특례대출의 경우에도 갈아타기 수요가 많기 때문에 전체 가계대출 증감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앞으로 가계대출 전망과 관련해서는 "가계대출 증가세는 주택 경기만 아니라 정부 정책, 금리 수준 등 여러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언할 수는 없지만 일정 기간 동안은 낮은 증가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원 차장은 2금융권 가계대출 감소 배경에 대해서는 "지방 부동산 경기와 밀접한데 지방 부동산 상황이 수도권과 달리 계속 나쁜 데다 금융기관들도 자체 위험 관리 차원에서 대출을 조이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달 예금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한 달 새 8조 원 늘었습니다.

2월 기준으로 2021년(+8조 9,000억 원) 이후 역대 두 번째 증가폭입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3조 3,000억 원, 4조 7,000억 원 증가했습니다.

중소기업 가운데 개인사업자 대출도 1조 1,000억 원 불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은행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