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단체 “교수 이탈은 사형선고…환자에 애정 가져달라”
입력 2024.03.13 (19:24)
수정 2024.03.13 (1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공의에 이어 전국 의대 교수들도 잇따라 사직을 예고한 가운데, 중증환자단체가 교수들을 향해 “제자처럼 환자에게도 애정을 가져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등 7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오늘 성명서를 내고 “교수 1명이라도 의료 현장을 이탈하는 것은 사형선고”라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환자를 버리고 의료 현장을 떠난 제자들에게 ‘환자만큼은 지키며 싸워야 한다’는 철학을 몸소 보이는 양식 있는 학자로서의 모습”을 요구했습니다.
연합회 측은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1년 뒤 의대 증원을 결정하자고 제안한 것에 대해 “의료계의 주장만 담은 협상으로 정부가 들어줄 것 같지 않다. 실현 가능한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아울러 “1년 후 조사·통계 자료에 따라 의대 증원이 결정되면 그때는 집단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국민에게 줄 수 있느냐”고 반문하며 “환자 목숨을 담보로 잡아 놓고 전혀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전공의의 열악한 처우는 병원 안에서 벌어진 착취인데, 왜 병원 측에 요구하지 않고 국민을 볼모로 비윤리적인 사태를 길게 끌고 가는지 의문”이라고 질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등 7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오늘 성명서를 내고 “교수 1명이라도 의료 현장을 이탈하는 것은 사형선고”라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환자를 버리고 의료 현장을 떠난 제자들에게 ‘환자만큼은 지키며 싸워야 한다’는 철학을 몸소 보이는 양식 있는 학자로서의 모습”을 요구했습니다.
연합회 측은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1년 뒤 의대 증원을 결정하자고 제안한 것에 대해 “의료계의 주장만 담은 협상으로 정부가 들어줄 것 같지 않다. 실현 가능한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아울러 “1년 후 조사·통계 자료에 따라 의대 증원이 결정되면 그때는 집단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국민에게 줄 수 있느냐”고 반문하며 “환자 목숨을 담보로 잡아 놓고 전혀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전공의의 열악한 처우는 병원 안에서 벌어진 착취인데, 왜 병원 측에 요구하지 않고 국민을 볼모로 비윤리적인 사태를 길게 끌고 가는지 의문”이라고 질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환자단체 “교수 이탈은 사형선고…환자에 애정 가져달라”
-
- 입력 2024-03-13 19:24:16
- 수정2024-03-13 19:59:13

전공의에 이어 전국 의대 교수들도 잇따라 사직을 예고한 가운데, 중증환자단체가 교수들을 향해 “제자처럼 환자에게도 애정을 가져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등 7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오늘 성명서를 내고 “교수 1명이라도 의료 현장을 이탈하는 것은 사형선고”라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환자를 버리고 의료 현장을 떠난 제자들에게 ‘환자만큼은 지키며 싸워야 한다’는 철학을 몸소 보이는 양식 있는 학자로서의 모습”을 요구했습니다.
연합회 측은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1년 뒤 의대 증원을 결정하자고 제안한 것에 대해 “의료계의 주장만 담은 협상으로 정부가 들어줄 것 같지 않다. 실현 가능한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아울러 “1년 후 조사·통계 자료에 따라 의대 증원이 결정되면 그때는 집단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국민에게 줄 수 있느냐”고 반문하며 “환자 목숨을 담보로 잡아 놓고 전혀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전공의의 열악한 처우는 병원 안에서 벌어진 착취인데, 왜 병원 측에 요구하지 않고 국민을 볼모로 비윤리적인 사태를 길게 끌고 가는지 의문”이라고 질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등 7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오늘 성명서를 내고 “교수 1명이라도 의료 현장을 이탈하는 것은 사형선고”라며 이 같이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환자를 버리고 의료 현장을 떠난 제자들에게 ‘환자만큼은 지키며 싸워야 한다’는 철학을 몸소 보이는 양식 있는 학자로서의 모습”을 요구했습니다.
연합회 측은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1년 뒤 의대 증원을 결정하자고 제안한 것에 대해 “의료계의 주장만 담은 협상으로 정부가 들어줄 것 같지 않다. 실현 가능한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아울러 “1년 후 조사·통계 자료에 따라 의대 증원이 결정되면 그때는 집단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국민에게 줄 수 있느냐”고 반문하며 “환자 목숨을 담보로 잡아 놓고 전혀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전공의의 열악한 처우는 병원 안에서 벌어진 착취인데, 왜 병원 측에 요구하지 않고 국민을 볼모로 비윤리적인 사태를 길게 끌고 가는지 의문”이라고 질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우준 기자 universen@kbs.co.kr
김우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집단휴진 사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