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러시아서 백 선교사 도움 받아…북, 탈주한 노동자 납치도”

입력 2024.03.13 (21:24) 수정 2024.03.13 (22: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러시아에서 간첩 혐의로 체포된 선교사 백 모 씨는 러시아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을 돕는 일을 했다고 백 씨가 소속된 단체가 밝혔습니다.

KBS는 러시아에서 백 씨를 만났던 탈북민을 직접 인터뷰했는데, 실제로 백 씨로부터 여러 도움을 받았다고 증언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북한 당국이 탈출한 북한 노동자들을 추적하고 납치하고 있는 정황도 알려왔습니다.

유호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시아에서 체포된 백 씨가 소속돼 있는 선교재단입니다.

재단 측은 그가 러시아에서 북한 등 외국인 극빈층 노동자들을 인도적으로 지원하는 일을 했을 뿐이라며, 간첩 혐의는 '황당무계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선구/지구촌 사랑의 쌀 나눔재단 이사장 : "배고픈 사람들 밥 먹이고, 그다음 병든 사람들 치료해 주고 그리고 나서 그들에게 사랑으로 보듬어 안고 복음 전하자, 그게 간첩이니 어쩌느니 하니까 황당한 거고."]

실제 2022년 한국에 온 러시아 노동자 출신 탈북민은 탈출 과정에서 백 선교사를 만났다고 전했습니다.

[A 씨/전 러시아 파견 북한 노동자/2022년 입국/음성변조 : "이탈해서 숙소에 가서 일주일 후엔가 한국에서 사람이 온다고 하더라고요. 한국 목사분 두 명하고 이분(백 선교사)이 왔어. 이분(백 선교사)이 인솔해서."]

난민증이 나와야 러시아 내 난민캠프에 입소할 수 있고, 이후 제3국을 거쳐 한국에 올 수 있는데, 난민증 발급을 기다리던 탈출 초기 백 선교사로부터 여러 도움을 받았다는 겁니다.

[A 씨/전 러시아 파견 북한 노동자/2022년 입국/음성변조 : "그때 와서 옷이나 먹을 것을 줬고요. 밥 가마(밥솥)도 갖고 왔었어요. 한 달에 한 번, 두 달에 한 번, 자주 왔어요."]

백 선교사가 실제로 곤경에 처한 노동자들을 지원하는 활동을 해왔다는 증언입니다.

다만 그는 최근 러시아가 북한과 밀착하면서 러시아에서 탈북민들을 돕는 한국인들이 추방되고 있다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A 씨/전 러시아 파견 노동자/2022년 입국/음성변조 : "제가 도움받았던 (다른) 분도 러시아에서 추방 명령 내려서 5년 동안 못 들어가게 됐다고 하더라고요."]

북한의 단속도 한층 강화돼 심지어 탈출한 노동자를 추적해 다시 납치해 가기도 하는데, 러시아 당국도 눈감아주는 분위기라고 전했습니다.

[A 씨/전 러시아 파견 노동자/2022년 입국/음성변조 : "(북한 측에서) 납치를 하죠. 자는데 창문 열고 들어와서 그런 실례가 있었다면서 그런 점을 주의하라고 하더라고요."]

백 씨가 속한 선교재단은 조만간 탄원서를 작성해 외교부와 러시아 대사관에 제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유호윤입니다.

촬영기자:김태현/영상편집:황보현평/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러시아서 백 선교사 도움 받아…북, 탈주한 노동자 납치도”
    • 입력 2024-03-13 21:24:17
    • 수정2024-03-13 22:32:43
    뉴스 9
[앵커]

러시아에서 간첩 혐의로 체포된 선교사 백 모 씨는 러시아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을 돕는 일을 했다고 백 씨가 소속된 단체가 밝혔습니다.

KBS는 러시아에서 백 씨를 만났던 탈북민을 직접 인터뷰했는데, 실제로 백 씨로부터 여러 도움을 받았다고 증언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북한 당국이 탈출한 북한 노동자들을 추적하고 납치하고 있는 정황도 알려왔습니다.

유호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시아에서 체포된 백 씨가 소속돼 있는 선교재단입니다.

재단 측은 그가 러시아에서 북한 등 외국인 극빈층 노동자들을 인도적으로 지원하는 일을 했을 뿐이라며, 간첩 혐의는 '황당무계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선구/지구촌 사랑의 쌀 나눔재단 이사장 : "배고픈 사람들 밥 먹이고, 그다음 병든 사람들 치료해 주고 그리고 나서 그들에게 사랑으로 보듬어 안고 복음 전하자, 그게 간첩이니 어쩌느니 하니까 황당한 거고."]

실제 2022년 한국에 온 러시아 노동자 출신 탈북민은 탈출 과정에서 백 선교사를 만났다고 전했습니다.

[A 씨/전 러시아 파견 북한 노동자/2022년 입국/음성변조 : "이탈해서 숙소에 가서 일주일 후엔가 한국에서 사람이 온다고 하더라고요. 한국 목사분 두 명하고 이분(백 선교사)이 왔어. 이분(백 선교사)이 인솔해서."]

난민증이 나와야 러시아 내 난민캠프에 입소할 수 있고, 이후 제3국을 거쳐 한국에 올 수 있는데, 난민증 발급을 기다리던 탈출 초기 백 선교사로부터 여러 도움을 받았다는 겁니다.

[A 씨/전 러시아 파견 북한 노동자/2022년 입국/음성변조 : "그때 와서 옷이나 먹을 것을 줬고요. 밥 가마(밥솥)도 갖고 왔었어요. 한 달에 한 번, 두 달에 한 번, 자주 왔어요."]

백 선교사가 실제로 곤경에 처한 노동자들을 지원하는 활동을 해왔다는 증언입니다.

다만 그는 최근 러시아가 북한과 밀착하면서 러시아에서 탈북민들을 돕는 한국인들이 추방되고 있다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A 씨/전 러시아 파견 노동자/2022년 입국/음성변조 : "제가 도움받았던 (다른) 분도 러시아에서 추방 명령 내려서 5년 동안 못 들어가게 됐다고 하더라고요."]

북한의 단속도 한층 강화돼 심지어 탈출한 노동자를 추적해 다시 납치해 가기도 하는데, 러시아 당국도 눈감아주는 분위기라고 전했습니다.

[A 씨/전 러시아 파견 노동자/2022년 입국/음성변조 : "(북한 측에서) 납치를 하죠. 자는데 창문 열고 들어와서 그런 실례가 있었다면서 그런 점을 주의하라고 하더라고요."]

백 씨가 속한 선교재단은 조만간 탄원서를 작성해 외교부와 러시아 대사관에 제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유호윤입니다.

촬영기자:김태현/영상편집:황보현평/그래픽:김지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