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설에 신음”…멸종위기종 산양을 살려라!

입력 2024.03.13 (21:45) 수정 2024.03.14 (0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겨울 강원 산간지역에 눈이 많이 내리며 고립되거나 폐사한 산양이 2백 마리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가운데 일부가 구조돼 건강을 회복하고 있는데요.

그 현장을 김문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눈으로 뒤덮인 진부령 자락.

멸종위기종인 산양 한 마리가 오도 가도 못하고 있습니다.

구조대가 허리만큼 쌓인 폭설을 뚫고 조심스럽게 접근합니다.

["물로 가면 안 돼."]

탈진해 움직일 생각조차 못 하는 산양.

목에 고리를 걸어 간신히 빼낸 뒤, 업어서 구출합니다.

구조된 4년생 산양의 몸무게는 30킬로그램, 정상 체중의 4분의 3 수준입니다.

보름 뒤, 해발 1,300m 대암산 아래 암벽 지대.

산양들이 자유롭게 뛰놀고 있습니다.

이번 겨울에 구조된 산양 14마리가 보살핌을 받는 방사장입니다.

1년생 미만 산양들은 실내에 격리돼 안정을 되찾고 있습니다.

[조재운/산양·사향노루센터장 : "급격하게 저체온이 되기 때문에 체온 유지, 그다음에 고단백 먹이를 급여해서 빠르게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올해 들어 두 달 동안 전국에서 신고된 산양 폐사체는 261마리.

지난해보다 20배나 많습니다.

[강경보/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사무관 : "눈이 많이 내렸고 먹이가 부족한 겨울철이다 보니 늙은 개체하고 어린 양이 눈에 빠져서 움직이지 못한다든가..."]

아직 산지에는 눈이 많이 쌓여 있는 만큼 양구 산양·사향노루센터는 늦은 봄까지 구조와 먹이 주기를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이곳에서 기력을 회복한 산양들은 무인발신기를 부착한 채 5월부터 순차적으로 자연에 방사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문영입니다.

촬영기자:김남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폭설에 신음”…멸종위기종 산양을 살려라!
    • 입력 2024-03-13 21:45:02
    • 수정2024-03-14 09:45:57
    뉴스 9
[앵커]

이번 겨울 강원 산간지역에 눈이 많이 내리며 고립되거나 폐사한 산양이 2백 마리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가운데 일부가 구조돼 건강을 회복하고 있는데요.

그 현장을 김문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눈으로 뒤덮인 진부령 자락.

멸종위기종인 산양 한 마리가 오도 가도 못하고 있습니다.

구조대가 허리만큼 쌓인 폭설을 뚫고 조심스럽게 접근합니다.

["물로 가면 안 돼."]

탈진해 움직일 생각조차 못 하는 산양.

목에 고리를 걸어 간신히 빼낸 뒤, 업어서 구출합니다.

구조된 4년생 산양의 몸무게는 30킬로그램, 정상 체중의 4분의 3 수준입니다.

보름 뒤, 해발 1,300m 대암산 아래 암벽 지대.

산양들이 자유롭게 뛰놀고 있습니다.

이번 겨울에 구조된 산양 14마리가 보살핌을 받는 방사장입니다.

1년생 미만 산양들은 실내에 격리돼 안정을 되찾고 있습니다.

[조재운/산양·사향노루센터장 : "급격하게 저체온이 되기 때문에 체온 유지, 그다음에 고단백 먹이를 급여해서 빠르게 건강을 회복할 수 있도록..."]

올해 들어 두 달 동안 전국에서 신고된 산양 폐사체는 261마리.

지난해보다 20배나 많습니다.

[강경보/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사무관 : "눈이 많이 내렸고 먹이가 부족한 겨울철이다 보니 늙은 개체하고 어린 양이 눈에 빠져서 움직이지 못한다든가..."]

아직 산지에는 눈이 많이 쌓여 있는 만큼 양구 산양·사향노루센터는 늦은 봄까지 구조와 먹이 주기를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이곳에서 기력을 회복한 산양들은 무인발신기를 부착한 채 5월부터 순차적으로 자연에 방사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문영입니다.

촬영기자:김남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