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 휴전협상 이르면 17일 카타르서 재개” 외신 보도 잇따라

입력 2024.03.17 (11:34) 수정 2024.03.17 (11: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착상태에 빠졌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휴전 협상이 현지 시각 이르면 17일 카타르에서 재개될 예정입니다.

AP 통신은 미국, 카타르와 함께 협상을 중재하고 있는 이집트 당국자들을 인용해 이 같이 전했습니다. 협상은 17일 오후 재개돼 18일까지도 이어질 수 있다고 이 당국자들은 말했습니다.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스라엘이 카타르에 협상 대표단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고 중재국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이스라엘 정보기관인 모사드의 다비드 바르니아 국장이 17일 도하에서 셰이크 무함마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카타르 총리, 이집트 관리와 휴전 논의를 재개한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이 같은 결정은 하마스가 영구 휴전과 이스라엘군 철수를 휴전 합의의 전제 조건으로 내세우던 기존 태도에서 한발 물러난 뒤 나왔습니다.

복수의 이집트 당국자의 말을 인용한 AP 보도에 따르면 하마스가 새로 제시한 휴전안은 3단계로 구성됩니다.

먼저 1단계로 6주간의 휴전에서 하마스가 억류한 인질 가운데 35명과 이스라엘에 있는 팔레스타인 수감자 350명을 교환하고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의 2개 주요 도로에서 철수하고 팔레스타인 피란민들이 가자지구 북부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이어 2단계에서는 양측이 영구 휴전을 선언하고 추가로 팔레스타인 수감자와 남은 이스라엘 병사 인질을 교환합니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봉쇄를 풀고 재건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대가로 하마스가 이스라엘 측의 시신을 넘긴다는 제안이 포함됐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실은 하마스의 새 제안 역시 “비현실적”이라고 일축하면서도 안보 내각이 자국의 입장을 논의한 뒤 도하에 대표단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자 휴전협상 이르면 17일 카타르서 재개” 외신 보도 잇따라
    • 입력 2024-03-17 11:34:22
    • 수정2024-03-17 11:34:43
    국제
교착상태에 빠졌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휴전 협상이 현지 시각 이르면 17일 카타르에서 재개될 예정입니다.

AP 통신은 미국, 카타르와 함께 협상을 중재하고 있는 이집트 당국자들을 인용해 이 같이 전했습니다. 협상은 17일 오후 재개돼 18일까지도 이어질 수 있다고 이 당국자들은 말했습니다.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스라엘이 카타르에 협상 대표단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고 중재국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이스라엘 정보기관인 모사드의 다비드 바르니아 국장이 17일 도하에서 셰이크 무함마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카타르 총리, 이집트 관리와 휴전 논의를 재개한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이 같은 결정은 하마스가 영구 휴전과 이스라엘군 철수를 휴전 합의의 전제 조건으로 내세우던 기존 태도에서 한발 물러난 뒤 나왔습니다.

복수의 이집트 당국자의 말을 인용한 AP 보도에 따르면 하마스가 새로 제시한 휴전안은 3단계로 구성됩니다.

먼저 1단계로 6주간의 휴전에서 하마스가 억류한 인질 가운데 35명과 이스라엘에 있는 팔레스타인 수감자 350명을 교환하고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의 2개 주요 도로에서 철수하고 팔레스타인 피란민들이 가자지구 북부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이어 2단계에서는 양측이 영구 휴전을 선언하고 추가로 팔레스타인 수감자와 남은 이스라엘 병사 인질을 교환합니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봉쇄를 풀고 재건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대가로 하마스가 이스라엘 측의 시신을 넘긴다는 제안이 포함됐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실은 하마스의 새 제안 역시 “비현실적”이라고 일축하면서도 안보 내각이 자국의 입장을 논의한 뒤 도하에 대표단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