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한, 6년간 해킹 수익 4조 원…핵개발 재원 40% 충당”
입력 2024.03.22 (06:43)
수정 2024.03.22 (08: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해킹 등 사이버 공격으로 최근 6년 동안 약 4조 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렇게 확보한 자금이 전체 외화벌이의 절반을 차지했고, 이 자금으로 핵·미사일 개발 재원의 40%를 충당했다고 유엔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고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이 차세대 타격 수단으로 꼽는 초대형 방사포, 전술핵 탑재 가능성을 암시하며 관련 시험에도 나섰습니다.
[북한 조선중앙TV : "초대형 방사포탄에 의한 목표 상공 설정 고도에서의 공중폭발 모의시험도 진행됐습니다."]
국제사회 제재로 외화벌이가 막힌 북한이 이처럼 핵·미사일 개발을 계속할 수 있는 건 해킹 등 사이버 공격으로 벌어들인 자금 덕인 걸로 드러났습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위원회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에만 17차례 가상화폐를 가로챈 거로 의심되는데, 그 규모가 약 1조 원이나 됩니다.
북한은 이렇게 최근 6년간 58건의 가상화폐 탈취로 약 4조 원을 벌어들인 거로 추정됩니다.
이렇게 확보한 자금이 전체 외화벌이의 절반을 차지했고, 핵·미사일 개발 재원의 40%를 충당했다는 게 유엔 전문가들의 판단입니다.
또, 북한은 40여 개국에 10만여 명의 노동자 파견과 중국 등 최소 5개 국가에서의 식당 운영으로 2조 원대의 수입을 올린 거로 추산됩니다.
이렇게 벌어들인 외화로 김정은 일가는 고급 승용차와 명품 가방 등 사치품을 사들였는데, 제3국을 통한 우회 수입이 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임수석/외교부 대변인 : "북한에 대한 대북제재의 효율성이 지속될 수 있도록 국제기구를 포함하여 우리 양자·다자 차원에서의 외교적 노력을 계속 기울여 나갈 것입니다."]
이번 보고서엔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가 쓸 무기를 수출한다는 정황이 담겼지만,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어 제재 위반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습니다.
KBS 뉴스 고은희입니다.
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박미주
북한이 해킹 등 사이버 공격으로 최근 6년 동안 약 4조 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렇게 확보한 자금이 전체 외화벌이의 절반을 차지했고, 이 자금으로 핵·미사일 개발 재원의 40%를 충당했다고 유엔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고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이 차세대 타격 수단으로 꼽는 초대형 방사포, 전술핵 탑재 가능성을 암시하며 관련 시험에도 나섰습니다.
[북한 조선중앙TV : "초대형 방사포탄에 의한 목표 상공 설정 고도에서의 공중폭발 모의시험도 진행됐습니다."]
국제사회 제재로 외화벌이가 막힌 북한이 이처럼 핵·미사일 개발을 계속할 수 있는 건 해킹 등 사이버 공격으로 벌어들인 자금 덕인 걸로 드러났습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위원회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에만 17차례 가상화폐를 가로챈 거로 의심되는데, 그 규모가 약 1조 원이나 됩니다.
북한은 이렇게 최근 6년간 58건의 가상화폐 탈취로 약 4조 원을 벌어들인 거로 추정됩니다.
이렇게 확보한 자금이 전체 외화벌이의 절반을 차지했고, 핵·미사일 개발 재원의 40%를 충당했다는 게 유엔 전문가들의 판단입니다.
또, 북한은 40여 개국에 10만여 명의 노동자 파견과 중국 등 최소 5개 국가에서의 식당 운영으로 2조 원대의 수입을 올린 거로 추산됩니다.
이렇게 벌어들인 외화로 김정은 일가는 고급 승용차와 명품 가방 등 사치품을 사들였는데, 제3국을 통한 우회 수입이 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임수석/외교부 대변인 : "북한에 대한 대북제재의 효율성이 지속될 수 있도록 국제기구를 포함하여 우리 양자·다자 차원에서의 외교적 노력을 계속 기울여 나갈 것입니다."]
이번 보고서엔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가 쓸 무기를 수출한다는 정황이 담겼지만,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어 제재 위반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습니다.
KBS 뉴스 고은희입니다.
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엔 “북한, 6년간 해킹 수익 4조 원…핵개발 재원 40% 충당”
-
- 입력 2024-03-22 06:43:30
- 수정2024-03-22 08:01:02

[앵커]
북한이 해킹 등 사이버 공격으로 최근 6년 동안 약 4조 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렇게 확보한 자금이 전체 외화벌이의 절반을 차지했고, 이 자금으로 핵·미사일 개발 재원의 40%를 충당했다고 유엔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고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이 차세대 타격 수단으로 꼽는 초대형 방사포, 전술핵 탑재 가능성을 암시하며 관련 시험에도 나섰습니다.
[북한 조선중앙TV : "초대형 방사포탄에 의한 목표 상공 설정 고도에서의 공중폭발 모의시험도 진행됐습니다."]
국제사회 제재로 외화벌이가 막힌 북한이 이처럼 핵·미사일 개발을 계속할 수 있는 건 해킹 등 사이버 공격으로 벌어들인 자금 덕인 걸로 드러났습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위원회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에만 17차례 가상화폐를 가로챈 거로 의심되는데, 그 규모가 약 1조 원이나 됩니다.
북한은 이렇게 최근 6년간 58건의 가상화폐 탈취로 약 4조 원을 벌어들인 거로 추정됩니다.
이렇게 확보한 자금이 전체 외화벌이의 절반을 차지했고, 핵·미사일 개발 재원의 40%를 충당했다는 게 유엔 전문가들의 판단입니다.
또, 북한은 40여 개국에 10만여 명의 노동자 파견과 중국 등 최소 5개 국가에서의 식당 운영으로 2조 원대의 수입을 올린 거로 추산됩니다.
이렇게 벌어들인 외화로 김정은 일가는 고급 승용차와 명품 가방 등 사치품을 사들였는데, 제3국을 통한 우회 수입이 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임수석/외교부 대변인 : "북한에 대한 대북제재의 효율성이 지속될 수 있도록 국제기구를 포함하여 우리 양자·다자 차원에서의 외교적 노력을 계속 기울여 나갈 것입니다."]
이번 보고서엔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가 쓸 무기를 수출한다는 정황이 담겼지만,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어 제재 위반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습니다.
KBS 뉴스 고은희입니다.
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박미주
북한이 해킹 등 사이버 공격으로 최근 6년 동안 약 4조 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렇게 확보한 자금이 전체 외화벌이의 절반을 차지했고, 이 자금으로 핵·미사일 개발 재원의 40%를 충당했다고 유엔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고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이 차세대 타격 수단으로 꼽는 초대형 방사포, 전술핵 탑재 가능성을 암시하며 관련 시험에도 나섰습니다.
[북한 조선중앙TV : "초대형 방사포탄에 의한 목표 상공 설정 고도에서의 공중폭발 모의시험도 진행됐습니다."]
국제사회 제재로 외화벌이가 막힌 북한이 이처럼 핵·미사일 개발을 계속할 수 있는 건 해킹 등 사이버 공격으로 벌어들인 자금 덕인 걸로 드러났습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위원회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에만 17차례 가상화폐를 가로챈 거로 의심되는데, 그 규모가 약 1조 원이나 됩니다.
북한은 이렇게 최근 6년간 58건의 가상화폐 탈취로 약 4조 원을 벌어들인 거로 추정됩니다.
이렇게 확보한 자금이 전체 외화벌이의 절반을 차지했고, 핵·미사일 개발 재원의 40%를 충당했다는 게 유엔 전문가들의 판단입니다.
또, 북한은 40여 개국에 10만여 명의 노동자 파견과 중국 등 최소 5개 국가에서의 식당 운영으로 2조 원대의 수입을 올린 거로 추산됩니다.
이렇게 벌어들인 외화로 김정은 일가는 고급 승용차와 명품 가방 등 사치품을 사들였는데, 제3국을 통한 우회 수입이 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임수석/외교부 대변인 : "북한에 대한 대북제재의 효율성이 지속될 수 있도록 국제기구를 포함하여 우리 양자·다자 차원에서의 외교적 노력을 계속 기울여 나갈 것입니다."]
이번 보고서엔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가 쓸 무기를 수출한다는 정황이 담겼지만,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관련 의혹을 부인하고 있어 제재 위반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습니다.
KBS 뉴스 고은희입니다.
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박미주
-
-
고은희 기자 ginger@kbs.co.kr
고은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