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된 화엄사 홍매화 ‘활짝’

입력 2024.03.23 (21:14) 수정 2024.03.23 (21: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천년 고찰, 구례 화엄사에 홍매화가 만개했습니다.

이곳의 홍매화는 그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최근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는데요.

김현경 앵커가 화엄사에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삼국시대 창건한 천년 고찰 화엄사.

3백년도 더 된 매화 나무에 홍매화가 활짝 피었습니다.

붉디 붉은 빛깔을 뽐냅니다.

따스한 봄기운이 절로 느껴집니다.

예로부터 화엄사에 홍매화가 만개하면 완연한 봄이 왔다고 했습니다.

[김강희/경기도 고양시 : "생각보다 더 빨갛고 화려하고 색상도 더 울긋불긋해서 이제 봄이 온 것 같아요."]

줄기와 가지가 유독 굴곡진 모습이 신비로움마저 자아냅니다.

법당 사이에 핀 매화는 더 고풍스런 느낌을 줍니다.

1700년대 초 조선왕조는 정유재란으로 희생된 화엄사의 스님들을 기리기위해 각황전을 지었습니다.

각황전 앞에 기념 식수로 작은 매화나무를 심었고 3백년 이상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3백번 넘게 피고 지기를 하는 동안 국민들에게 많은 감동을 줬습니다.

[성각/화엄사 연수국장 : "삭막했던 겨울에서 봄이 시작되는 의미에서 활짝 핌으로써 많은 사람들한테 새로운 마음, 기쁨을 열어준다는 그런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화엄사 홍매화는 지난달 천연기념물에 지정됐습니다.

자연적으로 성장하면서 줄기와 가지가 굴곡을 만들면서 자라는 형질을 갖고 있어 학술적 가치가 높단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미 17년 전 천연기념물에 지정된 화엄사의 들매화도 꽃망울을 터뜨렸습니다.

홍매화가 화려하다면 들매화는 자연과 어우러져 더 친근한 느낌을 줍니다.

들매화는 4그루중 1그루만 남았고 수세가 저하되고 있어 보존관리가 필요한 걸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화엄사의 홍매화는 다음달 초까지 붉은 기운을 이어갈 걸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현경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영상편집:양다운/드론촬영:이상희/그래픽:강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천연기념물 된 화엄사 홍매화 ‘활짝’
    • 입력 2024-03-23 21:14:12
    • 수정2024-03-23 21:38:41
    뉴스 9
[앵커]

천년 고찰, 구례 화엄사에 홍매화가 만개했습니다.

이곳의 홍매화는 그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최근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는데요.

김현경 앵커가 화엄사에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삼국시대 창건한 천년 고찰 화엄사.

3백년도 더 된 매화 나무에 홍매화가 활짝 피었습니다.

붉디 붉은 빛깔을 뽐냅니다.

따스한 봄기운이 절로 느껴집니다.

예로부터 화엄사에 홍매화가 만개하면 완연한 봄이 왔다고 했습니다.

[김강희/경기도 고양시 : "생각보다 더 빨갛고 화려하고 색상도 더 울긋불긋해서 이제 봄이 온 것 같아요."]

줄기와 가지가 유독 굴곡진 모습이 신비로움마저 자아냅니다.

법당 사이에 핀 매화는 더 고풍스런 느낌을 줍니다.

1700년대 초 조선왕조는 정유재란으로 희생된 화엄사의 스님들을 기리기위해 각황전을 지었습니다.

각황전 앞에 기념 식수로 작은 매화나무를 심었고 3백년 이상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3백번 넘게 피고 지기를 하는 동안 국민들에게 많은 감동을 줬습니다.

[성각/화엄사 연수국장 : "삭막했던 겨울에서 봄이 시작되는 의미에서 활짝 핌으로써 많은 사람들한테 새로운 마음, 기쁨을 열어준다는 그런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화엄사 홍매화는 지난달 천연기념물에 지정됐습니다.

자연적으로 성장하면서 줄기와 가지가 굴곡을 만들면서 자라는 형질을 갖고 있어 학술적 가치가 높단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미 17년 전 천연기념물에 지정된 화엄사의 들매화도 꽃망울을 터뜨렸습니다.

홍매화가 화려하다면 들매화는 자연과 어우러져 더 친근한 느낌을 줍니다.

들매화는 4그루중 1그루만 남았고 수세가 저하되고 있어 보존관리가 필요한 걸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화엄사의 홍매화는 다음달 초까지 붉은 기운을 이어갈 걸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현경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영상편집:양다운/드론촬영:이상희/그래픽:강지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