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권은 없나요?”…관광객은 못 쓰는 ‘무제한 교통카드’

입력 2024.03.25 (07:46) 수정 2024.03.25 (07: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1,100만 명을 넘었고, 이 가운데 80% 이상은 서울을 찾고 있습니다.

그런데 서울에 잠시 머무는 관광객이 쓸만한 대중교통 이용권이 사실상 없어 불편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이유민 기자가 관광객들을 직접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지하철 역사 안, 외국인 관광객들이 무인발매기 앞에서 한참을 서성입니다.

서울에 머물 동안 쓸 단기 승차권을 사려고 했는데 막상 손이 가는 게 없습니다.

[에라/프랑스 관광객 : "왜 하루나 일주일, 한 달 단위의 승차권이 없는지 모르겠어요. 너무 복잡해요."]

승차권을 매번 사기 힘들어 교통카드를 구매한 관광객도 불편하긴 마찬가지입니다.

[안드레이/루마니아 관광객 : "현금 충전 방식이 상당히 번거로워요. 저는 신용카드 계산을 더 선호하거든요."]

10여 년 전,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함께 출시한 외국인 전용 교통카드는 어떨까.

외국인 전용 교통카드를 살 수 있는 곳은 전국 3곳뿐이었지만, 지금은 이마저도 줄어 이곳 서울역에서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1일권은 만 5천 원, 7일권은 6만 4천 원으로 가격이 비싸 사실상 사는 사람이 없습니다.

[카드 판매 직원/음성변조 : "이거는 점점 없어질 추세라서…. (왜요? 별로 인기가 없어요?) 이게 비싸고 좀 복잡한 편이기는 하죠."]

뉴욕과 런던, 홍콩 등은 외국인 관광객은 물론 내국인을 위한 다양한 대중교통 이용권을 갖추고 있습니다.

2027년까지 외국인 관광객 3천만 명을 유치한다는 서울시의 목표를 달성하려면 교통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김도경/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교수 : "국내인을 대상으로도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요금들의 통합 할인을 위한 다양한 상품들이 만들어져있다고 보기는 어렵거든요."]

서울시는 무제한 교통카드인 기후동행카드를 짧게 방문하는 여행객은 물론 시민들도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일주일 미만 단기권을 내놓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영상편집:이소현/그래픽:노경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주일권은 없나요?”…관광객은 못 쓰는 ‘무제한 교통카드’
    • 입력 2024-03-25 07:46:06
    • 수정2024-03-25 07:49:43
    뉴스광장
[앵커]

지난해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1,100만 명을 넘었고, 이 가운데 80% 이상은 서울을 찾고 있습니다.

그런데 서울에 잠시 머무는 관광객이 쓸만한 대중교통 이용권이 사실상 없어 불편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이유민 기자가 관광객들을 직접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지하철 역사 안, 외국인 관광객들이 무인발매기 앞에서 한참을 서성입니다.

서울에 머물 동안 쓸 단기 승차권을 사려고 했는데 막상 손이 가는 게 없습니다.

[에라/프랑스 관광객 : "왜 하루나 일주일, 한 달 단위의 승차권이 없는지 모르겠어요. 너무 복잡해요."]

승차권을 매번 사기 힘들어 교통카드를 구매한 관광객도 불편하긴 마찬가지입니다.

[안드레이/루마니아 관광객 : "현금 충전 방식이 상당히 번거로워요. 저는 신용카드 계산을 더 선호하거든요."]

10여 년 전,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함께 출시한 외국인 전용 교통카드는 어떨까.

외국인 전용 교통카드를 살 수 있는 곳은 전국 3곳뿐이었지만, 지금은 이마저도 줄어 이곳 서울역에서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1일권은 만 5천 원, 7일권은 6만 4천 원으로 가격이 비싸 사실상 사는 사람이 없습니다.

[카드 판매 직원/음성변조 : "이거는 점점 없어질 추세라서…. (왜요? 별로 인기가 없어요?) 이게 비싸고 좀 복잡한 편이기는 하죠."]

뉴욕과 런던, 홍콩 등은 외국인 관광객은 물론 내국인을 위한 다양한 대중교통 이용권을 갖추고 있습니다.

2027년까지 외국인 관광객 3천만 명을 유치한다는 서울시의 목표를 달성하려면 교통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김도경/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교수 : "국내인을 대상으로도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요금들의 통합 할인을 위한 다양한 상품들이 만들어져있다고 보기는 어렵거든요."]

서울시는 무제한 교통카드인 기후동행카드를 짧게 방문하는 여행객은 물론 시민들도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일주일 미만 단기권을 내놓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영상편집:이소현/그래픽:노경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