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기획 창] ‘엄마의 마지막 집’

입력 2024.03.26 (22:11) 수정 2024.03.27 (15: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의 끄트머리, '어디에서 살다' 죽을지 생각해 보셨습니까?


■ 집? VS 요양원?

“젊을 때는 일하고 자식 키우느라 바빠서 생각 못 했죠, 뭐.” (이정우, 69세)

“집이란 거에 관심이 많죠. 노년에 어디서 살까 걱정은 많이 하는데 그 해결책은 아직 못 찾았습니다.” (홍인국, 67세)

“살던 집이 아니라면 지금 선택지가 없는 것 같아요.” (지성언, 70세)

“그런 데는 싫거든요.” (김재우, 59세)

'그런 데'는 요양원을 뜻합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조사해봤더니 어르신의 80% 이상이 살던 집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다고 답했습니다. 그런데 건강이 나빠지면 56% 정도는 여전히 ‘내 집’을 원하지만 31%, 3분의 1 넘게 ‘요양시설’로 가겠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그 30%가 시설을 선호한다고 해석하면 안 된다고 말합니다. 선택할 다른 답안이 없기 때문이라는 거죠.


■ 2065년, 인구 절반이 노인인데 준비는?

우리나라는 1년 뒤 2025년이면 노인 인구 비중이 25%를 초과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합니다. 2065년이면 전체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노인이 될 거랍니다. 지금 청년들도 나이 들고 노인이 될 겁니다. “노인 복지는 주거로 시작해서 주거로 끝난다”라고도 합니다. <시사기획 창>은 우리가 살고 싶은 곳에서 편안하게 나이들 준비를 얼마나 하고 있는지 질문을 던집니다.


■ “우리 엄마의 마지막 보금자리는요...”

전북 부안의 큰 손 안종님 여사님과 걱정 많은 늦둥이 아들, 또 멋지게 살고 있는 할아버지 모델들의 눈을 통해 안전하고, 외롭지 않고, 활기차게 살 수 있는 주거 공간을 찾아봅니다.
주민들이 ‘빨래 서비스’를 통해 독거노인들을 들여다보는 청주의 영구임대 아파트, 일본의 한 대학이 학생 기숙사와 나란히 지어놓은 ‘서비스 제공 고령자 주택’, 또 나이들어 작은 집으로 이사하면 정부가 보너스를 주는 싱가폴 사례 등을 취재했습니다.
집과 요양원이라는 이분법적인 틀에서 벗어나 저소득층과 중산층까지 맘 편히 살 수 있는 주거 형태는 무엇인지, 정책의 사각지대를 어떻게 메울지 고민해 봅니다.



취재기자: 이소정
촬영기자: 조승연
영상편집: 이종환
자료조사: 김제원
조연출: 진의선

방송일시 : 2024년 3월 26일 (화) 10시 KBS 1TV


#노인 주거 #요양원 #공공임대 #고령자 주택 # 복지주택 #중산층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news.kbs.co.kr/vod/program.dobcd=0039&ref=pSiteMap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b31RoX5RnfYENmnyokN8A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사기획 창] ‘엄마의 마지막 집’
    • 입력 2024-03-26 22:11:44
    • 수정2024-03-27 15:50:14
    시사기획 창
생의 끄트머리, '어디에서 살다' 죽을지 생각해 보셨습니까?


■ 집? VS 요양원?

“젊을 때는 일하고 자식 키우느라 바빠서 생각 못 했죠, 뭐.” (이정우, 69세)

“집이란 거에 관심이 많죠. 노년에 어디서 살까 걱정은 많이 하는데 그 해결책은 아직 못 찾았습니다.” (홍인국, 67세)

“살던 집이 아니라면 지금 선택지가 없는 것 같아요.” (지성언, 70세)

“그런 데는 싫거든요.” (김재우, 59세)

'그런 데'는 요양원을 뜻합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조사해봤더니 어르신의 80% 이상이 살던 집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다고 답했습니다. 그런데 건강이 나빠지면 56% 정도는 여전히 ‘내 집’을 원하지만 31%, 3분의 1 넘게 ‘요양시설’로 가겠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그 30%가 시설을 선호한다고 해석하면 안 된다고 말합니다. 선택할 다른 답안이 없기 때문이라는 거죠.


■ 2065년, 인구 절반이 노인인데 준비는?

우리나라는 1년 뒤 2025년이면 노인 인구 비중이 25%를 초과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합니다. 2065년이면 전체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노인이 될 거랍니다. 지금 청년들도 나이 들고 노인이 될 겁니다. “노인 복지는 주거로 시작해서 주거로 끝난다”라고도 합니다. <시사기획 창>은 우리가 살고 싶은 곳에서 편안하게 나이들 준비를 얼마나 하고 있는지 질문을 던집니다.


■ “우리 엄마의 마지막 보금자리는요...”

전북 부안의 큰 손 안종님 여사님과 걱정 많은 늦둥이 아들, 또 멋지게 살고 있는 할아버지 모델들의 눈을 통해 안전하고, 외롭지 않고, 활기차게 살 수 있는 주거 공간을 찾아봅니다.
주민들이 ‘빨래 서비스’를 통해 독거노인들을 들여다보는 청주의 영구임대 아파트, 일본의 한 대학이 학생 기숙사와 나란히 지어놓은 ‘서비스 제공 고령자 주택’, 또 나이들어 작은 집으로 이사하면 정부가 보너스를 주는 싱가폴 사례 등을 취재했습니다.
집과 요양원이라는 이분법적인 틀에서 벗어나 저소득층과 중산층까지 맘 편히 살 수 있는 주거 형태는 무엇인지, 정책의 사각지대를 어떻게 메울지 고민해 봅니다.



취재기자: 이소정
촬영기자: 조승연
영상편집: 이종환
자료조사: 김제원
조연출: 진의선

방송일시 : 2024년 3월 26일 (화) 10시 KBS 1TV


#노인 주거 #요양원 #공공임대 #고령자 주택 # 복지주택 #중산층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news.kbs.co.kr/vod/program.dobcd=0039&ref=pSiteMap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b31RoX5RnfYENmnyokN8A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