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제한’ 걸린 자율주행기술, 도로 밖에서 질주 중

입력 2024.03.30 (21:24) 수정 2024.04.02 (22: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운전자가 운전대를 완전히 놓아도 되는 '완전자율주행'.

안전과 제도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상용화까지 시간이 걸리고 있는데요.

그 사이 이 자율주행 기술들이 관련 시장을 넘어 의료,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신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자고 있는 남성.

호흡 측정기를 달지 않았는데도, 호흡 수가 모니터에 기록됩니다.

비결은, 머리맡에 달린 '자율주행용 레이더'입니다.

'자율주행의 눈' 역할을 하는 이 레이더는 100여 대의 차량을 동시에 감지해내는데,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가슴의 움직임을 감지해 호흡 수를 정확하게 재는 겁니다.

자율주행 상용화가 미뤄지자 이 기업은 수면 패턴 분석 같은 보건, 의료 분야로 기술력을 확장했습니다.

[이재은/스타트업 대표 : "자동차 시장 자체가 워낙 호흡이 길다 보니까 사업화를 하기 위해서 이 기능들을 어떻게 하면 확장을 할 수 있을까 고민을 했었고요."]

자율주행을 위한 GPS 기술은 이젠 선수들의 과학 훈련에도 필수가 됐습니다.

조끼 안의 센서가 축구 선수들의 속도와 위치는 물론 동선까지 정밀 측정합니다.

[신동화/축구팀 운영 총괄 : "정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경기 시에 공수 간격, 좌우 간격을 90분 동안 얼마나 선수들이 잘 수행했는지 그런 것들까지 다 볼 수 있게 되니까..."]

최대 15m에 이르렀던 오차는 최근 3cm 이하까지 획기적으로 줄었습니다.

[박준석/LG유플러스 부장 : "오차가 m(미터) 단위로 나고 있고, 많게는 한 10m 이상까지 나는데요. 그런 것들에 대한 오차를 원인을 사전 분석 해서 보정 하기 때문에..."]

안전과 규제 문제로 주춤해진 자율주행 시장.

관련 기업들은 핵심 기술 고도화를 통한 사업 다각화로 활로를 찾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촬영기자:김태현/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김지혜 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속도 제한’ 걸린 자율주행기술, 도로 밖에서 질주 중
    • 입력 2024-03-30 21:24:03
    • 수정2024-04-02 22:23:31
    뉴스 9
[앵커]

운전자가 운전대를 완전히 놓아도 되는 '완전자율주행'.

안전과 제도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상용화까지 시간이 걸리고 있는데요.

그 사이 이 자율주행 기술들이 관련 시장을 넘어 의료,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신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자고 있는 남성.

호흡 측정기를 달지 않았는데도, 호흡 수가 모니터에 기록됩니다.

비결은, 머리맡에 달린 '자율주행용 레이더'입니다.

'자율주행의 눈' 역할을 하는 이 레이더는 100여 대의 차량을 동시에 감지해내는데,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가슴의 움직임을 감지해 호흡 수를 정확하게 재는 겁니다.

자율주행 상용화가 미뤄지자 이 기업은 수면 패턴 분석 같은 보건, 의료 분야로 기술력을 확장했습니다.

[이재은/스타트업 대표 : "자동차 시장 자체가 워낙 호흡이 길다 보니까 사업화를 하기 위해서 이 기능들을 어떻게 하면 확장을 할 수 있을까 고민을 했었고요."]

자율주행을 위한 GPS 기술은 이젠 선수들의 과학 훈련에도 필수가 됐습니다.

조끼 안의 센서가 축구 선수들의 속도와 위치는 물론 동선까지 정밀 측정합니다.

[신동화/축구팀 운영 총괄 : "정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경기 시에 공수 간격, 좌우 간격을 90분 동안 얼마나 선수들이 잘 수행했는지 그런 것들까지 다 볼 수 있게 되니까..."]

최대 15m에 이르렀던 오차는 최근 3cm 이하까지 획기적으로 줄었습니다.

[박준석/LG유플러스 부장 : "오차가 m(미터) 단위로 나고 있고, 많게는 한 10m 이상까지 나는데요. 그런 것들에 대한 오차를 원인을 사전 분석 해서 보정 하기 때문에..."]

안전과 규제 문제로 주춤해진 자율주행 시장.

관련 기업들은 핵심 기술 고도화를 통한 사업 다각화로 활로를 찾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촬영기자:김태현/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김지혜 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