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 11분기 만에 최고치”

입력 2024.03.31 (15:38) 수정 2024.03.31 (15: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제조기업들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실적을 바탕으로 경기 회복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오늘(31일) 전국 2천230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2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는 1분기 전망치(83)보다 16포인트 상승한 99로 집계돼 2021년 3분기(103) 이후 11분기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실적 개선 영향으로 수출기업 전망이 호전되면서 수출기업(102)과 내수 기업(98) 간 체감경기 전망이 엇갈렸습니다.

BSI는 100 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 이하면 그 반대입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114)는 글로벌 IT 경기 회복에 따라 생산과 수출이 본격적으로 증가하면서 기준치를 웃돌았습니다.

K-뷰티 인기로 화장품 수요와 미용 의료기기 수출이 확대되면서 화장품(124)과 의료정밀(119) 업종 모두 긍정적 전망이 우세했습니다.

배터리 핵심소재 가격 반등으로 업황 개선이 기대되는 전기(117)도 2분기 호조 전망이 많았습니다.

반면, 철강(92), 정유·석유화학(97)은 중국 내수부진과 공급 확대로 업황 부진이 지속되면서 경기전망 회복이 제한됐습니다.

비금속광물(90)은 전방 산업인 건설업 위축에 더해 유가, 연료비 인상 등 제조원가 부담으로 기준치를 밑돌았습니다.

조선업(95)은 홍해 리스크 장기화와 인력난, 중소 조선사 실적저하 등이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올해도 자동차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는 호남권(109)과 반도체 수출 비중이 높은 충청권(104)만이 기준치를 웃돌았습니다.

동남권(96), 대경권(98)의 경우 자동차 업황이 비교적 양호함에도 철강과 중소 조선사 부진에 따라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습니다.

부정적 전망이 가장 강한 강원권(91)은 식음료 업체 등을 중심으로 다음 분기 체감경기 악화를 예상한 기업이 많았습니다.

가격 상승에 따른 수요둔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대내외 리스크(복수응답)로 내수소비 위축(55.2%)과 원자재가·유가 불안정(50.1%)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대외경기 악화로 인한 수출둔화(35.1%), 자금조달 여건 악화(16.9%), 환율 상승 등 리스크(13.2%) 등의 응답이 뒤따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한상의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 11분기 만에 최고치”
    • 입력 2024-03-31 15:38:13
    • 수정2024-03-31 15:42:48
    경제
국내 제조기업들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실적을 바탕으로 경기 회복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오늘(31일) 전국 2천230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2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는 1분기 전망치(83)보다 16포인트 상승한 99로 집계돼 2021년 3분기(103) 이후 11분기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실적 개선 영향으로 수출기업 전망이 호전되면서 수출기업(102)과 내수 기업(98) 간 체감경기 전망이 엇갈렸습니다.

BSI는 100 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 이하면 그 반대입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114)는 글로벌 IT 경기 회복에 따라 생산과 수출이 본격적으로 증가하면서 기준치를 웃돌았습니다.

K-뷰티 인기로 화장품 수요와 미용 의료기기 수출이 확대되면서 화장품(124)과 의료정밀(119) 업종 모두 긍정적 전망이 우세했습니다.

배터리 핵심소재 가격 반등으로 업황 개선이 기대되는 전기(117)도 2분기 호조 전망이 많았습니다.

반면, 철강(92), 정유·석유화학(97)은 중국 내수부진과 공급 확대로 업황 부진이 지속되면서 경기전망 회복이 제한됐습니다.

비금속광물(90)은 전방 산업인 건설업 위축에 더해 유가, 연료비 인상 등 제조원가 부담으로 기준치를 밑돌았습니다.

조선업(95)은 홍해 리스크 장기화와 인력난, 중소 조선사 실적저하 등이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올해도 자동차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는 호남권(109)과 반도체 수출 비중이 높은 충청권(104)만이 기준치를 웃돌았습니다.

동남권(96), 대경권(98)의 경우 자동차 업황이 비교적 양호함에도 철강과 중소 조선사 부진에 따라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습니다.

부정적 전망이 가장 강한 강원권(91)은 식음료 업체 등을 중심으로 다음 분기 체감경기 악화를 예상한 기업이 많았습니다.

가격 상승에 따른 수요둔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들은 올해 상반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대내외 리스크(복수응답)로 내수소비 위축(55.2%)과 원자재가·유가 불안정(50.1%)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대외경기 악화로 인한 수출둔화(35.1%), 자금조달 여건 악화(16.9%), 환율 상승 등 리스크(13.2%) 등의 응답이 뒤따랐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