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감소보다 폐업이 더 빨라…사라진 어린이집
입력 2024.04.02 (07:26)
수정 2024.04.02 (07: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저출생 문제는 지난해 한층 더 심각해지면서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가 됐습니다.
올해도 1월 출생아 수가 같은 달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해 어두운 상황을 예고했습니다.
아이가 적게 태어나니 아이들 경쟁은 좀 덜하겠지, 싶지만 어쩐지 어린이집 보내기부터 더 힘들어졌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박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섯 살 은우는 지난달부터 어린이집에 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은우가 다니던 가정 어린이집에서 원아 수가 줄어 운영이 어렵다며 폐원을 통보했기 때문입니다.
[폐원 어린이집 학부모 : "5세 반 아이들은 6명, 7명 돼서 운영이 됐는데, 그 밑에 나이 어린아이들은 들어오지 않는다고 하더라고요. 다른 지역에 엄마들이랑도 많이 얘기하는데 그분들도 많이 힘들다고 하더라고요. 다 폐원 소식이 있다고…"]
이 지역 어린이집들을 찾아가 봤습니다.
간판은 그대로지만 불이 꺼지고 문이 잠겨있는가 하면, 요양원으로 바뀐 곳도 있습니다.
전국 어린이집 숫자는 지난해 2천 개 가까이 줄었습니다.
특히 가정 어린이집의 감소가 두드러집니다.
KBS가 상권 분석 업체 오픈업과 함께 신용카드 단말기를 기준으로 유아교육 부문 업체 수를 파악한 결과를 봐도, 지난해 폐업률이 25%를 넘어섰습니다.
출생아 수 감소보다 어린이집이 사라지는 속도가 더 빠르게 느껴지는 수준입니다.
이렇다 보니 저출생에도 국공립 어린이집 입소 경쟁은 여전히 치열합니다.
[폐원 어린이집 학부모 : "일일이 한 15곳, 20곳 정도 전화해서 물어보면 기본적으로 정원이 다 차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대기를 걸어 둬야 하는 상황이고…"]
올해 1월 출생아 수는 1년 전보다 7% 넘게 줄며 또다시 역대 최저 기록을 썼습니다.
지표가 날로 악화되는 가운데 출생아 수 감소가 보육 시설 경영 악화로 이어져 아이 키우기를 더 어렵게 만드는 악순환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신동곤/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김성일
저출생 문제는 지난해 한층 더 심각해지면서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가 됐습니다.
올해도 1월 출생아 수가 같은 달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해 어두운 상황을 예고했습니다.
아이가 적게 태어나니 아이들 경쟁은 좀 덜하겠지, 싶지만 어쩐지 어린이집 보내기부터 더 힘들어졌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박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섯 살 은우는 지난달부터 어린이집에 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은우가 다니던 가정 어린이집에서 원아 수가 줄어 운영이 어렵다며 폐원을 통보했기 때문입니다.
[폐원 어린이집 학부모 : "5세 반 아이들은 6명, 7명 돼서 운영이 됐는데, 그 밑에 나이 어린아이들은 들어오지 않는다고 하더라고요. 다른 지역에 엄마들이랑도 많이 얘기하는데 그분들도 많이 힘들다고 하더라고요. 다 폐원 소식이 있다고…"]
이 지역 어린이집들을 찾아가 봤습니다.
간판은 그대로지만 불이 꺼지고 문이 잠겨있는가 하면, 요양원으로 바뀐 곳도 있습니다.
전국 어린이집 숫자는 지난해 2천 개 가까이 줄었습니다.
특히 가정 어린이집의 감소가 두드러집니다.
KBS가 상권 분석 업체 오픈업과 함께 신용카드 단말기를 기준으로 유아교육 부문 업체 수를 파악한 결과를 봐도, 지난해 폐업률이 25%를 넘어섰습니다.
출생아 수 감소보다 어린이집이 사라지는 속도가 더 빠르게 느껴지는 수준입니다.
이렇다 보니 저출생에도 국공립 어린이집 입소 경쟁은 여전히 치열합니다.
[폐원 어린이집 학부모 : "일일이 한 15곳, 20곳 정도 전화해서 물어보면 기본적으로 정원이 다 차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대기를 걸어 둬야 하는 상황이고…"]
올해 1월 출생아 수는 1년 전보다 7% 넘게 줄며 또다시 역대 최저 기록을 썼습니다.
지표가 날로 악화되는 가운데 출생아 수 감소가 보육 시설 경영 악화로 이어져 아이 키우기를 더 어렵게 만드는 악순환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신동곤/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출생아 수 감소보다 폐업이 더 빨라…사라진 어린이집
-
- 입력 2024-04-02 07:26:23
- 수정2024-04-02 07:56:43
[앵커]
저출생 문제는 지난해 한층 더 심각해지면서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가 됐습니다.
올해도 1월 출생아 수가 같은 달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해 어두운 상황을 예고했습니다.
아이가 적게 태어나니 아이들 경쟁은 좀 덜하겠지, 싶지만 어쩐지 어린이집 보내기부터 더 힘들어졌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박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섯 살 은우는 지난달부터 어린이집에 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은우가 다니던 가정 어린이집에서 원아 수가 줄어 운영이 어렵다며 폐원을 통보했기 때문입니다.
[폐원 어린이집 학부모 : "5세 반 아이들은 6명, 7명 돼서 운영이 됐는데, 그 밑에 나이 어린아이들은 들어오지 않는다고 하더라고요. 다른 지역에 엄마들이랑도 많이 얘기하는데 그분들도 많이 힘들다고 하더라고요. 다 폐원 소식이 있다고…"]
이 지역 어린이집들을 찾아가 봤습니다.
간판은 그대로지만 불이 꺼지고 문이 잠겨있는가 하면, 요양원으로 바뀐 곳도 있습니다.
전국 어린이집 숫자는 지난해 2천 개 가까이 줄었습니다.
특히 가정 어린이집의 감소가 두드러집니다.
KBS가 상권 분석 업체 오픈업과 함께 신용카드 단말기를 기준으로 유아교육 부문 업체 수를 파악한 결과를 봐도, 지난해 폐업률이 25%를 넘어섰습니다.
출생아 수 감소보다 어린이집이 사라지는 속도가 더 빠르게 느껴지는 수준입니다.
이렇다 보니 저출생에도 국공립 어린이집 입소 경쟁은 여전히 치열합니다.
[폐원 어린이집 학부모 : "일일이 한 15곳, 20곳 정도 전화해서 물어보면 기본적으로 정원이 다 차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대기를 걸어 둬야 하는 상황이고…"]
올해 1월 출생아 수는 1년 전보다 7% 넘게 줄며 또다시 역대 최저 기록을 썼습니다.
지표가 날로 악화되는 가운데 출생아 수 감소가 보육 시설 경영 악화로 이어져 아이 키우기를 더 어렵게 만드는 악순환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신동곤/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김성일
저출생 문제는 지난해 한층 더 심각해지면서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가 됐습니다.
올해도 1월 출생아 수가 같은 달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해 어두운 상황을 예고했습니다.
아이가 적게 태어나니 아이들 경쟁은 좀 덜하겠지, 싶지만 어쩐지 어린이집 보내기부터 더 힘들어졌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박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섯 살 은우는 지난달부터 어린이집에 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은우가 다니던 가정 어린이집에서 원아 수가 줄어 운영이 어렵다며 폐원을 통보했기 때문입니다.
[폐원 어린이집 학부모 : "5세 반 아이들은 6명, 7명 돼서 운영이 됐는데, 그 밑에 나이 어린아이들은 들어오지 않는다고 하더라고요. 다른 지역에 엄마들이랑도 많이 얘기하는데 그분들도 많이 힘들다고 하더라고요. 다 폐원 소식이 있다고…"]
이 지역 어린이집들을 찾아가 봤습니다.
간판은 그대로지만 불이 꺼지고 문이 잠겨있는가 하면, 요양원으로 바뀐 곳도 있습니다.
전국 어린이집 숫자는 지난해 2천 개 가까이 줄었습니다.
특히 가정 어린이집의 감소가 두드러집니다.
KBS가 상권 분석 업체 오픈업과 함께 신용카드 단말기를 기준으로 유아교육 부문 업체 수를 파악한 결과를 봐도, 지난해 폐업률이 25%를 넘어섰습니다.
출생아 수 감소보다 어린이집이 사라지는 속도가 더 빠르게 느껴지는 수준입니다.
이렇다 보니 저출생에도 국공립 어린이집 입소 경쟁은 여전히 치열합니다.
[폐원 어린이집 학부모 : "일일이 한 15곳, 20곳 정도 전화해서 물어보면 기본적으로 정원이 다 차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대기를 걸어 둬야 하는 상황이고…"]
올해 1월 출생아 수는 1년 전보다 7% 넘게 줄며 또다시 역대 최저 기록을 썼습니다.
지표가 날로 악화되는 가운데 출생아 수 감소가 보육 시설 경영 악화로 이어져 아이 키우기를 더 어렵게 만드는 악순환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신동곤/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김성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