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일상화’에 올해 7천억 원 투입

입력 2024.04.04 (10:09) 수정 2024.04.04 (1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 국민이 인공지능(AI) 혜택을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하는 ‘AI 일상화’에 정부가 올해 7천억 원 이상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민·관 AI 최고위 거버넌스인 ‘AI전략최고위협의회’를 발족하는 첫 회의를 열고 올해 69개 AI 일상화 과제에 총 7,102억 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국민 일상 속 AI 행복 확산’ 사업으로 18개 과제(755억 원)를, ‘근로자 등 일터 현장의 AI 융합·접목’ 사업으로 24개 과제(2,881억 원)를, ‘공공행정 AI 내재화’ 사업으로 14개 과제(1,157억 원)를, ‘국민의 AI 역량 제고와 AI 윤리 확보’ 사업으로 13개 과제(2,309억 원)를 각각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국민의 AI 서비스 경험률을 작년 51%에서 올해 60%로, 기업들의 AI 도입률을 28%에서 40%로, 공공 부문 AI 도입률을 55%에서 80%로 각각 높이겠다는 구상입니다.

우선 국민 건강 향상을 위해 9종의 소아희귀질환을 진단·치료·관리하기 위한 AI 소프트웨어와 12개 중증질환의 진단 보조 AI 의료 소프트웨어를 개발합니다.

자폐 스펙트럼 조기 예측과 관리를 위한 AI 기반 디지털 의료기기 개발도 지원합니다.

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과 독거노인을 비롯한 취약계층 건강관리 서비스, 복지 사각지대 가구 지원 등의 사업에도 AI를 활용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모든 산업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차원에서 법률, 의료, 심리상담을 위한 분야별 초거대 AI 서비스를 각각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신약 개발과 항체 설계에 AI를 활용하는 바이오산업은 물론 제조·물류·철강·농업에서도 AI를 통해 효율을 높이고 신규 서비스를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공 분야에서는 AI 기술로 화재나 홍수 등 재난과 감염병 대응 역량을 높일 방침입니다.

회의에서 과기정통부는 AI 3대 강국(G3)으로 도약하기 위한 ‘AI·디지털 혁신성장전략’도 보고했습니다.

혁신성장전략에 따라 세계 시장을 선도할 AI 기술혁신, 전(全) 산업의 AI 대전환, 국민 일상에 대한 선도적 AI 도입, 디지털 권리장전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신질서 정립을 추진하겠다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이날 출범한 AI전략최고위협의회는 공동위원장인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염재호 태재대 총장, AI 각 분야를 대표하는 민간 전문가 23명, 주요 정부 부처 실장급 7명 등 모두 32명으로 구성됐습니다. 민간 위원으로는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KT, 아모레퍼시픽 등 주요 기업 대표와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합니다.

국가 전체 AI 혁신의 방향을 이끌 이 협의회는 산하 6개 분과를 운영하고, 국내 초거대 AI 기업과 스타트업으로 구성된 ‘초거대 AI 추진협의회’를 외부 민간 자문단으로 둡니다.

첫 회의에서 염 총장은 “세계 최고의 AI 강국이 되겠다는 일념으로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개척, 도전, 혁신을 위해 민간과 공공, 부처와 분야를 초월한 협력이 이뤄지는 장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장관은 “전 세계에 모범이 되는 AI 공존 시대 1등 국가로 도약하는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고, 행사에 참석한 박상욱 과학기술수석은 “국내 AI 기술, 인재, 산업 전반의 혁신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기를 바란다”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정통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AI일상화’에 올해 7천억 원 투입
    • 입력 2024-04-04 10:09:30
    • 수정2024-04-04 10:14:36
    IT·과학
일반 국민이 인공지능(AI) 혜택을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하는 ‘AI 일상화’에 정부가 올해 7천억 원 이상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민·관 AI 최고위 거버넌스인 ‘AI전략최고위협의회’를 발족하는 첫 회의를 열고 올해 69개 AI 일상화 과제에 총 7,102억 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국민 일상 속 AI 행복 확산’ 사업으로 18개 과제(755억 원)를, ‘근로자 등 일터 현장의 AI 융합·접목’ 사업으로 24개 과제(2,881억 원)를, ‘공공행정 AI 내재화’ 사업으로 14개 과제(1,157억 원)를, ‘국민의 AI 역량 제고와 AI 윤리 확보’ 사업으로 13개 과제(2,309억 원)를 각각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국민의 AI 서비스 경험률을 작년 51%에서 올해 60%로, 기업들의 AI 도입률을 28%에서 40%로, 공공 부문 AI 도입률을 55%에서 80%로 각각 높이겠다는 구상입니다.

우선 국민 건강 향상을 위해 9종의 소아희귀질환을 진단·치료·관리하기 위한 AI 소프트웨어와 12개 중증질환의 진단 보조 AI 의료 소프트웨어를 개발합니다.

자폐 스펙트럼 조기 예측과 관리를 위한 AI 기반 디지털 의료기기 개발도 지원합니다.

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과 독거노인을 비롯한 취약계층 건강관리 서비스, 복지 사각지대 가구 지원 등의 사업에도 AI를 활용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모든 산업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차원에서 법률, 의료, 심리상담을 위한 분야별 초거대 AI 서비스를 각각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신약 개발과 항체 설계에 AI를 활용하는 바이오산업은 물론 제조·물류·철강·농업에서도 AI를 통해 효율을 높이고 신규 서비스를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공 분야에서는 AI 기술로 화재나 홍수 등 재난과 감염병 대응 역량을 높일 방침입니다.

회의에서 과기정통부는 AI 3대 강국(G3)으로 도약하기 위한 ‘AI·디지털 혁신성장전략’도 보고했습니다.

혁신성장전략에 따라 세계 시장을 선도할 AI 기술혁신, 전(全) 산업의 AI 대전환, 국민 일상에 대한 선도적 AI 도입, 디지털 권리장전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신질서 정립을 추진하겠다고 정부는 밝혔습니다.

이날 출범한 AI전략최고위협의회는 공동위원장인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염재호 태재대 총장, AI 각 분야를 대표하는 민간 전문가 23명, 주요 정부 부처 실장급 7명 등 모두 32명으로 구성됐습니다. 민간 위원으로는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KT, 아모레퍼시픽 등 주요 기업 대표와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합니다.

국가 전체 AI 혁신의 방향을 이끌 이 협의회는 산하 6개 분과를 운영하고, 국내 초거대 AI 기업과 스타트업으로 구성된 ‘초거대 AI 추진협의회’를 외부 민간 자문단으로 둡니다.

첫 회의에서 염 총장은 “세계 최고의 AI 강국이 되겠다는 일념으로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개척, 도전, 혁신을 위해 민간과 공공, 부처와 분야를 초월한 협력이 이뤄지는 장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장관은 “전 세계에 모범이 되는 AI 공존 시대 1등 국가로 도약하는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고, 행사에 참석한 박상욱 과학기술수석은 “국내 AI 기술, 인재, 산업 전반의 혁신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기를 바란다”고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정통부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