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부터 반도체까지 국가 명운 건 전략산업 경쟁…핵심은 ‘전기’

입력 2024.04.12 (11:25) 수정 2024.04.12 (13: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약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을 6조 6천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배, 931%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 전체 매출은 71조 원으로 역시 작년 동기 대비 11.3% 늘었습니다.
우리 전략산업의 핵심이자 효자 수출 품목, 바로 '반도체' 덕분인데요.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우리나라의 관련 산업의 수출과 생산이 반등하고 있다는 반가운 평가가 나옵니다. 이런 반도체를 만드는데 필수 조건, 바로 '전기' 입니다.


■국가 명운 걸린 반도체·인공지능(AI) 선점 경쟁 치열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사와 Chat GPT로 유명한 OPEN AI가 6년간 1,000억 달러, 우리 돈 135조 원을 들여 지금보다 100배 규모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습니다. 세계 1위 클라우드 서비스업체인 아마존도 AI 데이터센터에 앞으로 15년 동안 1,500억 달러, 우리 돈 203조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AI 산업의 주도권을 잡으려는 '선점 경쟁'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데이터센터가 약 280여 곳이 있는데 이 가운데 61%인 170여 개가 서울 등 수도권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반도체 산업도 미래 30년 주도권을 놓고 각 나라 사이에 투자 경쟁이 뚜렷합니다. 우리나라는 경기도 용인시에 세계 최대 반도체 집적단지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 20년 동안 300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미국도 타이완도 미래 먹거리 분야에서 주도권을 잡기위해 경합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략 산업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겠다는 총성 없는 '투자 전쟁'은 현재 진행형입니다.


"반도체 공장은 365일 24시간 돌아갑니다. 한순간도 전기가 끊기면 안 됩니다. 전기가 들어가야 계속 공장이 돌아갈 수 있거든요. 반도체 공장 입장에서는 전기란 사람 입장에서 보면 공기와도 같아요. 반도체 공장에 전기가 끊기면 문을 닫는 겁니다. "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반도체 산업에서 전기의 중요성을 이렇게 강조했습니다. 2022년에 우리나라의 반도체 수출 실적은 1,280억 불, 우리 돈 173조 원 수준이었습니다. 반도체 수요 반등에 힘입어 올해 수출도 1,200억 불이 넘을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안 전무는 우리나라 공장에서 생산하는 물건중 제일 수출을 많이 하는 품목이 '반도체'라고 말했습니다.

■반도체와 데이터산업의 필수 불가결 조건…전기 공급 시설은?

이 때문에 전기는 국가의 흥망성쇠를 좌우할 신성장 산업의 주도권 경쟁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입니다. '전력망'은 국가 전략 산업의 '대동맥'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시설과 원자력발전소가 영호남 지역에 집중돼 있습니다. 특히 태양광, 풍력 발전 시설은 74%가 영남과 호남권에 있습니다. 전기 수요처가 몰려있는 서울과 수도권 등지에 전력 공급을 위해 송전시설을 세울 수 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2023년 100기가와트(GW)였던 전력 수요는 2051년에 2배인 202기가와트(GW)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한국전력은 송전선로도 현재 35,500km에서 2036년에는 1.6배인 57,600km로 크게 늘려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네트워크로 구성된 도로,통신,전력망…"한 순간도 끊기면 안됩니다"

생각해보면 가정용부터 전기차, KTX 등 교통수단에 이르기까지 전기는 우리 생활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입니다. 장길수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전력망을 이렇게 비유했습니다.


"전력망은 전기가 흘러가는 도로입니다. 다른 일반 도로와 달리 이 도로는 지체와 정체가 생겨서는 안됩니다. 전력망에서 지체와 정체란 '정전'을 의미하기 때문이죠"

■국가 기간 전력망 '동해안-수도권 직류 송전망(HVDC)' 건설 본격

한국전력은 '동해안-수도권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초고압 직류 송전시설)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경북 울진 원자력발전소에서 경기도 가평을 거쳐 동서울변환소까지 280km를 연결하는 사업입니다. 경북과 강원도, 경기도 12개 시군에 설치되는 송전탑만 440개에 달합니다. 공사비도 4조 6천억 원이 넘는 국책사업이죠. 앞서 밝힌대로 경기도 용인에 조성될 반도체 집적단지에 공급할 전력 시설입니다.


■국가 기간 전력망 2026년 준공해야 하는데 …'지역 주민 반발 여전'

직류 송전망의 당초 준공 목표는 2026년입니다. 8기가와트급 직류 송전시설이 완성되면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 2,600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하는 전력량의 30%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경북 울진 원전 인근에는 높이 78미터, 아파트 35층 높이의 1호 송전탑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강원도 정선 생태경관보존지역은 송전시설이 지하로 만들어집니다. 터널의 길이만 4km에 달합니다.


그런데 2026년 준공 시점을 맞출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자연 경관 문제 등으로 일부 지역에서 주민들이 반대하기 때문입니다. 동해안-수도권 사업도 280km에 달하는 송전선 위치선정에만 6년이 걸렸고 송전탑이 지나는 76개 마을 가운데 20%에 가까운 10여 개 마을의 동의를 더 얻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사업에 반대하는 주민은 국가 전략 산업에 힘을 보태는 일에 반대할 이유가 전혀 없지만 한전 측이 조금 더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정두옥 한국전력 직류송전시설(HVDC) 건설본부장은 "국가 경쟁력을 결정지을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가 전기"라고 강조합니다. 특히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수조건"이라며 사업의 중요성을 설파했습니다.

■ 사업 과정 갈등 조정할 '국가 기간 전력망 특별법' 제정 시급…22대 국회 논의 급물살?

이 때문에 한국전력은 송전시설 입지 선정부터 갈등 조정에 이르기까지 정부가 주도권을 가지고 총괄해 사업을 추진하는 '국가 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가칭 '전력망 확충위원회'를 구성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이해관계자들의 갈등과 분쟁 조정, 중재를 한 번에 해결하자는 것이 골잡니다. 한전이 공기업으로서 갈등 조정에 제약이 있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가 보완해 송전시설의 주민 수용성 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지인데요. 선택과 집중으로 사업 추진 동력을 얻자는 의미로 읽힙니다. 하지만 '특별법'안은 21대 국회에서는 통과되지 못해 자동 폐기될 처지입니다. 논의가 진척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은 국회와 협의해 '특별법' 통과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22대 국회가 구성되면 '전력망 특별법'안이 급물살을 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부터 반도체까지 국가 명운 건 전략산업 경쟁…핵심은 ‘전기’
    • 입력 2024-04-12 11:25:21
    • 수정2024-04-12 13:36:16
    심층K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을 6조 6천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배, 931%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 전체 매출은 71조 원으로 역시 작년 동기 대비 11.3% 늘었습니다.<br />우리 전략산업의 핵심이자 효자 수출 품목, 바로 '반도체' 덕분인데요. 전 세계적으로 반도체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우리나라의 관련 산업의 수출과 생산이 반등하고 있다는 반가운 평가가 나옵니다. 이런 반도체를 만드는데 필수 조건, 바로 '<strong>전기</strong>' 입니다.

■국가 명운 걸린 반도체·인공지능(AI) 선점 경쟁 치열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사와 Chat GPT로 유명한 OPEN AI가 6년간 1,000억 달러, 우리 돈 135조 원을 들여 지금보다 100배 규모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습니다. 세계 1위 클라우드 서비스업체인 아마존도 AI 데이터센터에 앞으로 15년 동안 1,500억 달러, 우리 돈 203조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AI 산업의 주도권을 잡으려는 '선점 경쟁'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데이터센터가 약 280여 곳이 있는데 이 가운데 61%인 170여 개가 서울 등 수도권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반도체 산업도 미래 30년 주도권을 놓고 각 나라 사이에 투자 경쟁이 뚜렷합니다. 우리나라는 경기도 용인시에 세계 최대 반도체 집적단지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 20년 동안 300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미국도 타이완도 미래 먹거리 분야에서 주도권을 잡기위해 경합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략 산업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겠다는 총성 없는 '투자 전쟁'은 현재 진행형입니다.


"반도체 공장은 365일 24시간 돌아갑니다. 한순간도 전기가 끊기면 안 됩니다. 전기가 들어가야 계속 공장이 돌아갈 수 있거든요. 반도체 공장 입장에서는 전기란 사람 입장에서 보면 공기와도 같아요. 반도체 공장에 전기가 끊기면 문을 닫는 겁니다. "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반도체 산업에서 전기의 중요성을 이렇게 강조했습니다. 2022년에 우리나라의 반도체 수출 실적은 1,280억 불, 우리 돈 173조 원 수준이었습니다. 반도체 수요 반등에 힘입어 올해 수출도 1,200억 불이 넘을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안 전무는 우리나라 공장에서 생산하는 물건중 제일 수출을 많이 하는 품목이 '반도체'라고 말했습니다.

■반도체와 데이터산업의 필수 불가결 조건…전기 공급 시설은?

이 때문에 전기는 국가의 흥망성쇠를 좌우할 신성장 산업의 주도권 경쟁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입니다. '전력망'은 국가 전략 산업의 '대동맥'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시설과 원자력발전소가 영호남 지역에 집중돼 있습니다. 특히 태양광, 풍력 발전 시설은 74%가 영남과 호남권에 있습니다. 전기 수요처가 몰려있는 서울과 수도권 등지에 전력 공급을 위해 송전시설을 세울 수 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2023년 100기가와트(GW)였던 전력 수요는 2051년에 2배인 202기가와트(GW)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한국전력은 송전선로도 현재 35,500km에서 2036년에는 1.6배인 57,600km로 크게 늘려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네트워크로 구성된 도로,통신,전력망…"한 순간도 끊기면 안됩니다"

생각해보면 가정용부터 전기차, KTX 등 교통수단에 이르기까지 전기는 우리 생활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입니다. 장길수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전력망을 이렇게 비유했습니다.


"전력망은 전기가 흘러가는 도로입니다. 다른 일반 도로와 달리 이 도로는 지체와 정체가 생겨서는 안됩니다. 전력망에서 지체와 정체란 '정전'을 의미하기 때문이죠"

■국가 기간 전력망 '동해안-수도권 직류 송전망(HVDC)' 건설 본격

한국전력은 '동해안-수도권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초고압 직류 송전시설)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경북 울진 원자력발전소에서 경기도 가평을 거쳐 동서울변환소까지 280km를 연결하는 사업입니다. 경북과 강원도, 경기도 12개 시군에 설치되는 송전탑만 440개에 달합니다. 공사비도 4조 6천억 원이 넘는 국책사업이죠. 앞서 밝힌대로 경기도 용인에 조성될 반도체 집적단지에 공급할 전력 시설입니다.


■국가 기간 전력망 2026년 준공해야 하는데 …'지역 주민 반발 여전'

직류 송전망의 당초 준공 목표는 2026년입니다. 8기가와트급 직류 송전시설이 완성되면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 2,600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하는 전력량의 30%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경북 울진 원전 인근에는 높이 78미터, 아파트 35층 높이의 1호 송전탑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강원도 정선 생태경관보존지역은 송전시설이 지하로 만들어집니다. 터널의 길이만 4km에 달합니다.


그런데 2026년 준공 시점을 맞출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자연 경관 문제 등으로 일부 지역에서 주민들이 반대하기 때문입니다. 동해안-수도권 사업도 280km에 달하는 송전선 위치선정에만 6년이 걸렸고 송전탑이 지나는 76개 마을 가운데 20%에 가까운 10여 개 마을의 동의를 더 얻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사업에 반대하는 주민은 국가 전략 산업에 힘을 보태는 일에 반대할 이유가 전혀 없지만 한전 측이 조금 더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정두옥 한국전력 직류송전시설(HVDC) 건설본부장은 "국가 경쟁력을 결정지을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가 전기"라고 강조합니다. 특히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수조건"이라며 사업의 중요성을 설파했습니다.

■ 사업 과정 갈등 조정할 '국가 기간 전력망 특별법' 제정 시급…22대 국회 논의 급물살?

이 때문에 한국전력은 송전시설 입지 선정부터 갈등 조정에 이르기까지 정부가 주도권을 가지고 총괄해 사업을 추진하는 '국가 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가칭 '전력망 확충위원회'를 구성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이해관계자들의 갈등과 분쟁 조정, 중재를 한 번에 해결하자는 것이 골잡니다. 한전이 공기업으로서 갈등 조정에 제약이 있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가 보완해 송전시설의 주민 수용성 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지인데요. 선택과 집중으로 사업 추진 동력을 얻자는 의미로 읽힙니다. 하지만 '특별법'안은 21대 국회에서는 통과되지 못해 자동 폐기될 처지입니다. 논의가 진척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은 국회와 협의해 '특별법' 통과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22대 국회가 구성되면 '전력망 특별법'안이 급물살을 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