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는 열심, 관리는 뒷짐…“다시 도시로”

입력 2024.04.17 (19:10) 수정 2024.04.18 (13: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청년 농업인들이 마주하고 있는 농촌사회의 현실 연속해서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경북의 청년 농업인은 최근 10년 사이 절반 넘게 줄었는데요.

하지만 자치단체는 귀농·귀촌 청년 홍보에만 치중하면서 이들에 대한 관리와 지원은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상북도와 의성군의 청년 농업인 스마트팜 조성사업.

청년들에게 1년간 딸기 스마트팜 농장에서 이론 교육과 실습을 제공하고 창업도 돕는 내용입니다.

[김주수/의성군수/2021년 11월 : "청년유입정책의 일환으로 청년들이 현장에서 창업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그런데 이 사업에 참여했다 도시로 되돌아간 청년들은 장밋빛 허상이었다고 말합니다.

스마트팜 터와 시설 마련을 위해 최소 수억 원의 비용이 필요한데, 지원은 대부분 대출인 탓에 담보 능력이 부족한 청년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라는 겁니다.

창업 이후 소득 창출도 쉽지 않아 빚 부담만 가중된다고 지적합니다.

[사업 포기 청년/음성변조 : "초보 농부이다 보니까 소득이 안 나면은 그 다음에 바로 갚아나가는 것도 힘든 거고 다달이…."]

실제 이 사업에 참여한 청년 농업인 절반 이상이 스스로 교육을 포기했습니다.

그나마 창업에 성공한 경우도 10명 중 2명 수준에 불과합니다.

농업을 포기하고 도시로 되돌아가는 '역귀농' 사례도 적지 않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실제 2012년 5만 7천여 명이던 대구·경북 청년 농가는 10년 새 절반 넘게 줄었습니다.

하지만 자치단체 차원에서 정확한 역귀농 실태 파악이 안 돼 대책도 딱히 없는 실정입니다.

[경상북도 관계자/음성변조 : "이탈이 옛날보다는 훨씬 많이 생겼을 것…. (역귀농 현황을) 조사해볼 필요는 있는데 전수조사를 하려면 쉽지는 않을 것 같아요."]

이 같은 현실에서 경북도와 의성군은 귀농·귀촌 1번지로 지역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청년 귀농·귀촌 정책이 실질적인 정착을 돕기보다 단기적인 성과와 홍보에 치우쳐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그래픽:이보경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홍보는 열심, 관리는 뒷짐…“다시 도시로”
    • 입력 2024-04-17 19:10:38
    • 수정2024-04-18 13:05:50
    뉴스7(대구)
[앵커]

청년 농업인들이 마주하고 있는 농촌사회의 현실 연속해서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경북의 청년 농업인은 최근 10년 사이 절반 넘게 줄었는데요.

하지만 자치단체는 귀농·귀촌 청년 홍보에만 치중하면서 이들에 대한 관리와 지원은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상북도와 의성군의 청년 농업인 스마트팜 조성사업.

청년들에게 1년간 딸기 스마트팜 농장에서 이론 교육과 실습을 제공하고 창업도 돕는 내용입니다.

[김주수/의성군수/2021년 11월 : "청년유입정책의 일환으로 청년들이 현장에서 창업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그런데 이 사업에 참여했다 도시로 되돌아간 청년들은 장밋빛 허상이었다고 말합니다.

스마트팜 터와 시설 마련을 위해 최소 수억 원의 비용이 필요한데, 지원은 대부분 대출인 탓에 담보 능력이 부족한 청년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라는 겁니다.

창업 이후 소득 창출도 쉽지 않아 빚 부담만 가중된다고 지적합니다.

[사업 포기 청년/음성변조 : "초보 농부이다 보니까 소득이 안 나면은 그 다음에 바로 갚아나가는 것도 힘든 거고 다달이…."]

실제 이 사업에 참여한 청년 농업인 절반 이상이 스스로 교육을 포기했습니다.

그나마 창업에 성공한 경우도 10명 중 2명 수준에 불과합니다.

농업을 포기하고 도시로 되돌아가는 '역귀농' 사례도 적지 않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실제 2012년 5만 7천여 명이던 대구·경북 청년 농가는 10년 새 절반 넘게 줄었습니다.

하지만 자치단체 차원에서 정확한 역귀농 실태 파악이 안 돼 대책도 딱히 없는 실정입니다.

[경상북도 관계자/음성변조 : "이탈이 옛날보다는 훨씬 많이 생겼을 것…. (역귀농 현황을) 조사해볼 필요는 있는데 전수조사를 하려면 쉽지는 않을 것 같아요."]

이 같은 현실에서 경북도와 의성군은 귀농·귀촌 1번지로 지역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청년 귀농·귀촌 정책이 실질적인 정착을 돕기보다 단기적인 성과와 홍보에 치우쳐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그래픽:이보경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