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서 모내기를…‘감자의 고향’에 한국 씨감자를

입력 2024.04.18 (07:32) 수정 2024.04.18 (13: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식량을 원조하는 데 그치지 않고 농업기술을 전수해주는 해외농업기술 협력 분야에서도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술진은 아프리카나 중남미 등에 머물면서 현지에 맞는 기술을 전수해 기술 보급에 성공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이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아프리카 가나의 검은 땅.

경운기로 논을 갈아엎습니다.

줄을 띄우고 손 모내기를 합니다.

1970년대 우리나라에서 농사짓던 모습 그대롭니다.

여기서 키우는 벼는 수확량이 아프리카 평균의 최대 4배에 이르는 '이스리'.

우리 통일벼를 아프리카 기후에 맞게 개량했습니다.

[송영서/국립식량과학원 벼재배생리연구실 농업연구사 : "아프리카와 같이 고온에서도 특수한 환경에서는 품종을 (그대로) 가져가면 견디지 못하고 죽거든요."]

지난해 아프리카 6개 나라에서 이스리 2천3백 톤을 수확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종자를 농가에 보급해 늘리는 방식으로, 3년 뒤엔 아프리카 대륙에서 3천만 명의 식량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른바 K-라이스벨트를 만드는 겁니다.

[유은하/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외농업기술과장 : "기술을 같이 공유하게 되면 그 나라의 자체적인 역량이 강화되기 때문에 그 나라에서 지속 적으로 빈곤을 타파하고 기아를 종식 시킬 수 있는 자생적 역량이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감자의 고향'이라 불리는 중남미의 도미니카 공화국.

이곳에서 감자 재배 기술을 보급하고 있는 것도 한국 기술진입니다.

농촌진흥청 코피아센터가 문을 열고 7년 동안 기술을 전수한 결과 수확량이 40% 가까이 늘었습니다.

또 병에 걸리지 않는 씨감자 생산 기술을 전수해 수입에 의존해온 씨감자 자급률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

[호세 라파엘/도미니카공화국 농림축산연구청 : "한국의 무병 씨감자 생산 기술 덕분에 예전보다 더 많은 감자를 생산할 수 있게 됐습니다."]

우리나라가 농업기술을 보급하고 있는 곳은 아프리카와 중남미, 아시아에 걸쳐 20여 개 국.

기아를 이겨내고 경제성장을 이룬 경험을 바탕으로 K-농업 기술을 전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수연입니다.

촬영기자:황종원/영상편집:이유리/화면제공:농촌진흥청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프리카에서 모내기를…‘감자의 고향’에 한국 씨감자를
    • 입력 2024-04-18 07:32:42
    • 수정2024-04-18 13:06:37
    뉴스광장
[앵커]

식량을 원조하는 데 그치지 않고 농업기술을 전수해주는 해외농업기술 협력 분야에서도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술진은 아프리카나 중남미 등에 머물면서 현지에 맞는 기술을 전수해 기술 보급에 성공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이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아프리카 가나의 검은 땅.

경운기로 논을 갈아엎습니다.

줄을 띄우고 손 모내기를 합니다.

1970년대 우리나라에서 농사짓던 모습 그대롭니다.

여기서 키우는 벼는 수확량이 아프리카 평균의 최대 4배에 이르는 '이스리'.

우리 통일벼를 아프리카 기후에 맞게 개량했습니다.

[송영서/국립식량과학원 벼재배생리연구실 농업연구사 : "아프리카와 같이 고온에서도 특수한 환경에서는 품종을 (그대로) 가져가면 견디지 못하고 죽거든요."]

지난해 아프리카 6개 나라에서 이스리 2천3백 톤을 수확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종자를 농가에 보급해 늘리는 방식으로, 3년 뒤엔 아프리카 대륙에서 3천만 명의 식량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른바 K-라이스벨트를 만드는 겁니다.

[유은하/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외농업기술과장 : "기술을 같이 공유하게 되면 그 나라의 자체적인 역량이 강화되기 때문에 그 나라에서 지속 적으로 빈곤을 타파하고 기아를 종식 시킬 수 있는 자생적 역량이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감자의 고향'이라 불리는 중남미의 도미니카 공화국.

이곳에서 감자 재배 기술을 보급하고 있는 것도 한국 기술진입니다.

농촌진흥청 코피아센터가 문을 열고 7년 동안 기술을 전수한 결과 수확량이 40% 가까이 늘었습니다.

또 병에 걸리지 않는 씨감자 생산 기술을 전수해 수입에 의존해온 씨감자 자급률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

[호세 라파엘/도미니카공화국 농림축산연구청 : "한국의 무병 씨감자 생산 기술 덕분에 예전보다 더 많은 감자를 생산할 수 있게 됐습니다."]

우리나라가 농업기술을 보급하고 있는 곳은 아프리카와 중남미, 아시아에 걸쳐 20여 개 국.

기아를 이겨내고 경제성장을 이룬 경험을 바탕으로 K-농업 기술을 전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수연입니다.

촬영기자:황종원/영상편집:이유리/화면제공:농촌진흥청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