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핑] ‘의료 공백’ 지속…‘박정희 동상’ 논란 격화
입력 2024.04.22 (19:10)
수정 2024.04.24 (16: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주간 지역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와 여론을 소개해드리는, 이슈브리핑 시간입니다.
정부 의대 증원 방침으로 촉발된 전공의 이탈 사태가 두 달을 넘기고 있죠.
의료 공백 파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대구 한 산모가 30분 동안 응급실을 찾아 헤매다 구급차에서 분만한 일이 있었죠.
부산에서도 심혈관 질환을 앓던 60대 남성이 상급종합병원 이송을 거부당해 사망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우려가 커지자 대구시는 지난주 중증·응급환자를 제때 치료하기 위해, 대구의료원에 의사 5명을 더 채용하는 등 의료진과 병상 확보에 나섰습니다.
경북은 농촌 지역 의료 공백이 걱정입니다.
이달 들어 배치받은 공중보건의가 지난해보다 10% 가까이 줄었는데,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로 경북 공보의 50여 명이 다른 지역 상급병원에 파견됐기 때문입니다.
이런 가운데, 경향신문은 의료 공백 사태를 버티고 있는 환자들의 목소리를 전했습니다.
지난주 환자 관련 단체들이, 총선 후에도 각자 주장만 하는 정부와 의료계에 실망감을 표하며 국회 조정을 요구하고 나섰단 소식입니다.
또, 환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의사들이 집단행동을 할 때 응급·중증 등 필수의료 분야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용의 입법도 필요하다는 견해를 내놨는데요.
이번 주부터 가동되는 의료개혁특위에 참가해 앞으로의 정책에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길 희망한다고도 밝혔습니다.
이어서 조선일보는 여야 협치 첫 번째 과제로 '의료 공백' 문제 해결을 제시했습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총선 압승 이후 처음으로 주재한 당 최고위에서 "국회에 '보건의료계 공론화 특별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면서, 정부가 의료 개혁에 대한 사회적 논의에 들어간 만큼, 야당의 특위 제안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이처럼 비판이 커지자 정부는 지난주 금요일 내년 의대 신입생의 자율 모집을 허용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의료 개혁 원안 추진' 입장에서 한발 물러섰는데요.
이를 계기로 의료 공백 사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앞서 보셨듯이 오늘부터 대구시의회에서 박정희 전 동상 설치 조례안과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는데요.
이를 둘러싸고 한주 내내 찬반 여론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대통령을 배출했던 광주와 김해 등에 비슷한 조례가 있다는 찬성 입장과, 군사쿠데타로 집권한 박 전 대통령의 동상을 세우는 건, 대구 역사와 시민 정신에 어긋난다는 반대 입장이 엇갈리고 있는 건데요.
이 문제를 지켜보는 언론의 시선은 어땠을까요?
먼저 한겨레는 동상 건립 절차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대구시가 사업 근거가 되는 조례를 제정하기 전에 예산안을 편성했고, 지난달 조례안 입법 예고 때도 반대 의견 860여 건이 접수됐지만, 모두 미반영됐다는 겁니다.
또, 조례가 시의회에서 결정 나지도 않았는데 예산안부터 편성해놓은 건 독선이라며, 이는 시민과 시의회를 무시하는 처사라고 반발한 시민단체의 입장을 전했습니다.
이처럼 동상 설치 논란이 격화하는 가운데, 영남일보는 대구 중구에 있는 또 다른 동상, '순종 황제 동상'의 철거 결정 소식을 전했습니다.
지난 2017년 대구 중구는 70억 원을 투입해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대구 방문을 재현하는 어가길을 조성하고 2억 원을 들여 동상을 세웠는데요.
하지만 당시 일제가 순종을 전국으로 끌고 다닌 '치욕의 역사'를 미화했다는 논란이 일었고, 교통 혼잡 민원도 끊이지 않았습니다.
결국 지난주 철거가 결정됐는데요.
기사는 동상 철거와 도로 확장에 다시 4억 원의 돈이 든다며, 예산 낭비를 지적했습니다.
또, 앞으로 이러한 사업을 할 때, 혈세 낭비가 없도록 충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함께 실었습니다.
역사 논쟁은 물론 예산 낭비 지적까지.
박정희 대통령 동상 설치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은, 임시회가 끝나는 다음 달 초 이후까지, 당분간 계속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정부 의대 증원 방침으로 촉발된 전공의 이탈 사태가 두 달을 넘기고 있죠.
의료 공백 파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대구 한 산모가 30분 동안 응급실을 찾아 헤매다 구급차에서 분만한 일이 있었죠.
부산에서도 심혈관 질환을 앓던 60대 남성이 상급종합병원 이송을 거부당해 사망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우려가 커지자 대구시는 지난주 중증·응급환자를 제때 치료하기 위해, 대구의료원에 의사 5명을 더 채용하는 등 의료진과 병상 확보에 나섰습니다.
경북은 농촌 지역 의료 공백이 걱정입니다.
이달 들어 배치받은 공중보건의가 지난해보다 10% 가까이 줄었는데,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로 경북 공보의 50여 명이 다른 지역 상급병원에 파견됐기 때문입니다.
이런 가운데, 경향신문은 의료 공백 사태를 버티고 있는 환자들의 목소리를 전했습니다.
지난주 환자 관련 단체들이, 총선 후에도 각자 주장만 하는 정부와 의료계에 실망감을 표하며 국회 조정을 요구하고 나섰단 소식입니다.
또, 환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의사들이 집단행동을 할 때 응급·중증 등 필수의료 분야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용의 입법도 필요하다는 견해를 내놨는데요.
이번 주부터 가동되는 의료개혁특위에 참가해 앞으로의 정책에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길 희망한다고도 밝혔습니다.
이어서 조선일보는 여야 협치 첫 번째 과제로 '의료 공백' 문제 해결을 제시했습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총선 압승 이후 처음으로 주재한 당 최고위에서 "국회에 '보건의료계 공론화 특별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면서, 정부가 의료 개혁에 대한 사회적 논의에 들어간 만큼, 야당의 특위 제안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이처럼 비판이 커지자 정부는 지난주 금요일 내년 의대 신입생의 자율 모집을 허용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의료 개혁 원안 추진' 입장에서 한발 물러섰는데요.
이를 계기로 의료 공백 사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앞서 보셨듯이 오늘부터 대구시의회에서 박정희 전 동상 설치 조례안과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는데요.
이를 둘러싸고 한주 내내 찬반 여론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대통령을 배출했던 광주와 김해 등에 비슷한 조례가 있다는 찬성 입장과, 군사쿠데타로 집권한 박 전 대통령의 동상을 세우는 건, 대구 역사와 시민 정신에 어긋난다는 반대 입장이 엇갈리고 있는 건데요.
이 문제를 지켜보는 언론의 시선은 어땠을까요?
먼저 한겨레는 동상 건립 절차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대구시가 사업 근거가 되는 조례를 제정하기 전에 예산안을 편성했고, 지난달 조례안 입법 예고 때도 반대 의견 860여 건이 접수됐지만, 모두 미반영됐다는 겁니다.
또, 조례가 시의회에서 결정 나지도 않았는데 예산안부터 편성해놓은 건 독선이라며, 이는 시민과 시의회를 무시하는 처사라고 반발한 시민단체의 입장을 전했습니다.
이처럼 동상 설치 논란이 격화하는 가운데, 영남일보는 대구 중구에 있는 또 다른 동상, '순종 황제 동상'의 철거 결정 소식을 전했습니다.
지난 2017년 대구 중구는 70억 원을 투입해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대구 방문을 재현하는 어가길을 조성하고 2억 원을 들여 동상을 세웠는데요.
하지만 당시 일제가 순종을 전국으로 끌고 다닌 '치욕의 역사'를 미화했다는 논란이 일었고, 교통 혼잡 민원도 끊이지 않았습니다.
결국 지난주 철거가 결정됐는데요.
기사는 동상 철거와 도로 확장에 다시 4억 원의 돈이 든다며, 예산 낭비를 지적했습니다.
또, 앞으로 이러한 사업을 할 때, 혈세 낭비가 없도록 충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함께 실었습니다.
역사 논쟁은 물론 예산 낭비 지적까지.
박정희 대통령 동상 설치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은, 임시회가 끝나는 다음 달 초 이후까지, 당분간 계속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브리핑] ‘의료 공백’ 지속…‘박정희 동상’ 논란 격화
-
- 입력 2024-04-22 19:10:21
- 수정2024-04-24 16:59:04
한 주간 지역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와 여론을 소개해드리는, 이슈브리핑 시간입니다.
정부 의대 증원 방침으로 촉발된 전공의 이탈 사태가 두 달을 넘기고 있죠.
의료 공백 파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대구 한 산모가 30분 동안 응급실을 찾아 헤매다 구급차에서 분만한 일이 있었죠.
부산에서도 심혈관 질환을 앓던 60대 남성이 상급종합병원 이송을 거부당해 사망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우려가 커지자 대구시는 지난주 중증·응급환자를 제때 치료하기 위해, 대구의료원에 의사 5명을 더 채용하는 등 의료진과 병상 확보에 나섰습니다.
경북은 농촌 지역 의료 공백이 걱정입니다.
이달 들어 배치받은 공중보건의가 지난해보다 10% 가까이 줄었는데,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로 경북 공보의 50여 명이 다른 지역 상급병원에 파견됐기 때문입니다.
이런 가운데, 경향신문은 의료 공백 사태를 버티고 있는 환자들의 목소리를 전했습니다.
지난주 환자 관련 단체들이, 총선 후에도 각자 주장만 하는 정부와 의료계에 실망감을 표하며 국회 조정을 요구하고 나섰단 소식입니다.
또, 환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의사들이 집단행동을 할 때 응급·중증 등 필수의료 분야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용의 입법도 필요하다는 견해를 내놨는데요.
이번 주부터 가동되는 의료개혁특위에 참가해 앞으로의 정책에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길 희망한다고도 밝혔습니다.
이어서 조선일보는 여야 협치 첫 번째 과제로 '의료 공백' 문제 해결을 제시했습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총선 압승 이후 처음으로 주재한 당 최고위에서 "국회에 '보건의료계 공론화 특별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면서, 정부가 의료 개혁에 대한 사회적 논의에 들어간 만큼, 야당의 특위 제안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이처럼 비판이 커지자 정부는 지난주 금요일 내년 의대 신입생의 자율 모집을 허용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의료 개혁 원안 추진' 입장에서 한발 물러섰는데요.
이를 계기로 의료 공백 사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앞서 보셨듯이 오늘부터 대구시의회에서 박정희 전 동상 설치 조례안과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는데요.
이를 둘러싸고 한주 내내 찬반 여론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대통령을 배출했던 광주와 김해 등에 비슷한 조례가 있다는 찬성 입장과, 군사쿠데타로 집권한 박 전 대통령의 동상을 세우는 건, 대구 역사와 시민 정신에 어긋난다는 반대 입장이 엇갈리고 있는 건데요.
이 문제를 지켜보는 언론의 시선은 어땠을까요?
먼저 한겨레는 동상 건립 절차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대구시가 사업 근거가 되는 조례를 제정하기 전에 예산안을 편성했고, 지난달 조례안 입법 예고 때도 반대 의견 860여 건이 접수됐지만, 모두 미반영됐다는 겁니다.
또, 조례가 시의회에서 결정 나지도 않았는데 예산안부터 편성해놓은 건 독선이라며, 이는 시민과 시의회를 무시하는 처사라고 반발한 시민단체의 입장을 전했습니다.
이처럼 동상 설치 논란이 격화하는 가운데, 영남일보는 대구 중구에 있는 또 다른 동상, '순종 황제 동상'의 철거 결정 소식을 전했습니다.
지난 2017년 대구 중구는 70억 원을 투입해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대구 방문을 재현하는 어가길을 조성하고 2억 원을 들여 동상을 세웠는데요.
하지만 당시 일제가 순종을 전국으로 끌고 다닌 '치욕의 역사'를 미화했다는 논란이 일었고, 교통 혼잡 민원도 끊이지 않았습니다.
결국 지난주 철거가 결정됐는데요.
기사는 동상 철거와 도로 확장에 다시 4억 원의 돈이 든다며, 예산 낭비를 지적했습니다.
또, 앞으로 이러한 사업을 할 때, 혈세 낭비가 없도록 충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함께 실었습니다.
역사 논쟁은 물론 예산 낭비 지적까지.
박정희 대통령 동상 설치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은, 임시회가 끝나는 다음 달 초 이후까지, 당분간 계속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정부 의대 증원 방침으로 촉발된 전공의 이탈 사태가 두 달을 넘기고 있죠.
의료 공백 파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대구 한 산모가 30분 동안 응급실을 찾아 헤매다 구급차에서 분만한 일이 있었죠.
부산에서도 심혈관 질환을 앓던 60대 남성이 상급종합병원 이송을 거부당해 사망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우려가 커지자 대구시는 지난주 중증·응급환자를 제때 치료하기 위해, 대구의료원에 의사 5명을 더 채용하는 등 의료진과 병상 확보에 나섰습니다.
경북은 농촌 지역 의료 공백이 걱정입니다.
이달 들어 배치받은 공중보건의가 지난해보다 10% 가까이 줄었는데,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로 경북 공보의 50여 명이 다른 지역 상급병원에 파견됐기 때문입니다.
이런 가운데, 경향신문은 의료 공백 사태를 버티고 있는 환자들의 목소리를 전했습니다.
지난주 환자 관련 단체들이, 총선 후에도 각자 주장만 하는 정부와 의료계에 실망감을 표하며 국회 조정을 요구하고 나섰단 소식입니다.
또, 환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의사들이 집단행동을 할 때 응급·중증 등 필수의료 분야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용의 입법도 필요하다는 견해를 내놨는데요.
이번 주부터 가동되는 의료개혁특위에 참가해 앞으로의 정책에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길 희망한다고도 밝혔습니다.
이어서 조선일보는 여야 협치 첫 번째 과제로 '의료 공백' 문제 해결을 제시했습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총선 압승 이후 처음으로 주재한 당 최고위에서 "국회에 '보건의료계 공론화 특별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면서, 정부가 의료 개혁에 대한 사회적 논의에 들어간 만큼, 야당의 특위 제안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이처럼 비판이 커지자 정부는 지난주 금요일 내년 의대 신입생의 자율 모집을 허용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의료 개혁 원안 추진' 입장에서 한발 물러섰는데요.
이를 계기로 의료 공백 사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앞서 보셨듯이 오늘부터 대구시의회에서 박정희 전 동상 설치 조례안과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는데요.
이를 둘러싸고 한주 내내 찬반 여론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대통령을 배출했던 광주와 김해 등에 비슷한 조례가 있다는 찬성 입장과, 군사쿠데타로 집권한 박 전 대통령의 동상을 세우는 건, 대구 역사와 시민 정신에 어긋난다는 반대 입장이 엇갈리고 있는 건데요.
이 문제를 지켜보는 언론의 시선은 어땠을까요?
먼저 한겨레는 동상 건립 절차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대구시가 사업 근거가 되는 조례를 제정하기 전에 예산안을 편성했고, 지난달 조례안 입법 예고 때도 반대 의견 860여 건이 접수됐지만, 모두 미반영됐다는 겁니다.
또, 조례가 시의회에서 결정 나지도 않았는데 예산안부터 편성해놓은 건 독선이라며, 이는 시민과 시의회를 무시하는 처사라고 반발한 시민단체의 입장을 전했습니다.
이처럼 동상 설치 논란이 격화하는 가운데, 영남일보는 대구 중구에 있는 또 다른 동상, '순종 황제 동상'의 철거 결정 소식을 전했습니다.
지난 2017년 대구 중구는 70억 원을 투입해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대구 방문을 재현하는 어가길을 조성하고 2억 원을 들여 동상을 세웠는데요.
하지만 당시 일제가 순종을 전국으로 끌고 다닌 '치욕의 역사'를 미화했다는 논란이 일었고, 교통 혼잡 민원도 끊이지 않았습니다.
결국 지난주 철거가 결정됐는데요.
기사는 동상 철거와 도로 확장에 다시 4억 원의 돈이 든다며, 예산 낭비를 지적했습니다.
또, 앞으로 이러한 사업을 할 때, 혈세 낭비가 없도록 충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함께 실었습니다.
역사 논쟁은 물론 예산 낭비 지적까지.
박정희 대통령 동상 설치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은, 임시회가 끝나는 다음 달 초 이후까지, 당분간 계속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