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EU, 폐배터리 재활용 협력…핵심 광물 중국 의존도 낮추기로

입력 2024.04.23 (12:58) 수정 2024.04.23 (12: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과 유럽연합(EU)이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에 협력해 핵심 광물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로 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3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과 EU는 내년까지 배터리에 사용하는 광물의 채취지역과 거래처 등의 정보를 공유하는 체제를 구축합니다.

일본과 EU는 각각 전기차 배터리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플랫폼을 정비해 이를 연동할 계획입니다.

일본은 도요타자동차, 닛산자동차, 혼다, 덴소 등 50여 개 기업이 참가하는 '우라노스 에코시스템'을 만들고 있으며 EU에는 완성차 업체 등이 주도한 '카테나-X'가 이미 있습니다.

일본은 재료·부품 구입처와 조달량 등 자국 기업의 핵심 경쟁력과 관련된 비밀 정보를 제외하고 내년까지 두 개 플랫폼을 연계합니다.

플랫폼을 연계하는 목적은 사용 중인 배터리 광물 정보를 공유해 추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물의 역외 유출을 막고 재활용하려는 것입니다.

닛케이는 교체·폐기되는 사용 후 배터리의 광물을 재활용해 핵심 광물의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 주요 재료인 리튬의 가공·정제에서 중국은 세계 시장 점유율이 65%에 달합니다.

중국은 다른 배터리 재료인 코발트의 가공·정제 부문에서도 세계 시장 점유율이 76%, 흑연 채굴에서는 70%로 각각 나타났습니다.

중국은 지난해 흑연 등에 대해 수출 허가제를 도입해 세계 각국은 경제 안보 관점에서 핵심 광물 조달처의 다양화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EU 27개국을 대표하는 이사회는 지난달 리튬, 마그네슘 등 핵심 광물의 제3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핵심원자재법(CRMA)을 공식 채택했습니다.

CRMA는 2030년까지 제3국산 전략적 원자재 의존도를 역내 전체 소비량의 65% 미만으로 낮추기 위한 역내 제조역량 강화, 공급선 다변화를 위한 규정을 담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EU, 폐배터리 재활용 협력…핵심 광물 중국 의존도 낮추기로
    • 입력 2024-04-23 12:58:57
    • 수정2024-04-23 12:59:44
    국제
일본과 유럽연합(EU)이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에 협력해 핵심 광물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로 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3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과 EU는 내년까지 배터리에 사용하는 광물의 채취지역과 거래처 등의 정보를 공유하는 체제를 구축합니다.

일본과 EU는 각각 전기차 배터리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플랫폼을 정비해 이를 연동할 계획입니다.

일본은 도요타자동차, 닛산자동차, 혼다, 덴소 등 50여 개 기업이 참가하는 '우라노스 에코시스템'을 만들고 있으며 EU에는 완성차 업체 등이 주도한 '카테나-X'가 이미 있습니다.

일본은 재료·부품 구입처와 조달량 등 자국 기업의 핵심 경쟁력과 관련된 비밀 정보를 제외하고 내년까지 두 개 플랫폼을 연계합니다.

플랫폼을 연계하는 목적은 사용 중인 배터리 광물 정보를 공유해 추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물의 역외 유출을 막고 재활용하려는 것입니다.

닛케이는 교체·폐기되는 사용 후 배터리의 광물을 재활용해 핵심 광물의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 주요 재료인 리튬의 가공·정제에서 중국은 세계 시장 점유율이 65%에 달합니다.

중국은 다른 배터리 재료인 코발트의 가공·정제 부문에서도 세계 시장 점유율이 76%, 흑연 채굴에서는 70%로 각각 나타났습니다.

중국은 지난해 흑연 등에 대해 수출 허가제를 도입해 세계 각국은 경제 안보 관점에서 핵심 광물 조달처의 다양화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EU 27개국을 대표하는 이사회는 지난달 리튬, 마그네슘 등 핵심 광물의 제3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핵심원자재법(CRMA)을 공식 채택했습니다.

CRMA는 2030년까지 제3국산 전략적 원자재 의존도를 역내 전체 소비량의 65% 미만으로 낮추기 위한 역내 제조역량 강화, 공급선 다변화를 위한 규정을 담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