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백사실 계곡 도롱뇽…기후 변화 때문?
입력 2024.04.27 (21:21)
수정 2024.04.29 (09: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 도심 북악산 자락엔 청정 자연이 보존돼 있는 백사실 계곡이라고 있습니다.
이곳엔 1급수에서만 서식하는 도롱뇽이 살고 있는데요.
이 도롱뇽의 개체 수가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뭔지 김현경 앵커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북악산 자락에 있는 백사실 계곡입니다.
도심 속 비밀 정원으로 불립니다.
다양한 생물이 서식합니다.
["(깜짝 놀랐네. 이거 독이 있는 건가요?) 독이 없습니다."]
생태경관 보전지역에 지정됐습니다.
이 청정 계곡의 상징은 도롱뇽입니다.
서울에선 드물게 1급 수에만 사는 도롱뇽이 사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 소장 : "도롱뇽은 1급 계곡수에만 서식하는 한정된 지점에 서식하는 종이고 서울시 보호종이기도 하죠."]
그런데 이 도롱뇽이 갈수록 사라지고 있습니다.
["야. 왜 이렇게 없어. 심각하네."]
1시간 가까이를 수색한 끝에 도롱뇽 한 마리를 겨우 발견했습니다.
["(새끼 도롱뇽이죠?) 어미는 아니에요."]
물에 놓아주자 이내 색깔을 바꿉니다.
알덩이는 고작 4개가 발견됐습니다.
["점액 성분이 있는 부분을 이용해서 돌이나 나무나 나뭇잎에 알을 붙여놨습니다."]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 소장 : "있는 곳은 굉장히 많은 개체가 존재하는 게 도롱뇽의 특징이거든요. 성체 한 마리와 알집 네다섯 개 정도만 발견이 되는데 이건 굉장히 개체 수가 너무 적은 결과입니다."]
서울시 조사에서도 확연한 감소세가 눈에 띕니다.
서울시는 기후변화를 그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갈수록 비가 적게 와 계곡 물이 말라버렸단 겁니다.
강수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도롱뇽이 알을 낳기 어려워집니다.
실제로 조사가 있던 해의 강수량엔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탐방객의 증가도 영향을 미쳤을 거란 추정이 있습니다.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소장 : "우리가 모르는 뭔가 오염원이 있거나 다른 폐해 상황이 있을 수 있으니까 정밀조사를 통해서 원인처를 찾고 본래의 모습을 되찾으려고 노력을 해야 될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양서류는 먹이사슬의 중간쯤 위치해있습니다.
습지 생태계의 중요한 연결고립니다.
보전이 시급합니다.
서울시는 백사실 계곡에 대해 6년 주기로 실시하는 정밀조사에 지난달 착수해 내년 4월까지 진행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김지혜 박세실
서울 도심 북악산 자락엔 청정 자연이 보존돼 있는 백사실 계곡이라고 있습니다.
이곳엔 1급수에서만 서식하는 도롱뇽이 살고 있는데요.
이 도롱뇽의 개체 수가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뭔지 김현경 앵커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북악산 자락에 있는 백사실 계곡입니다.
도심 속 비밀 정원으로 불립니다.
다양한 생물이 서식합니다.
["(깜짝 놀랐네. 이거 독이 있는 건가요?) 독이 없습니다."]
생태경관 보전지역에 지정됐습니다.
이 청정 계곡의 상징은 도롱뇽입니다.
서울에선 드물게 1급 수에만 사는 도롱뇽이 사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 소장 : "도롱뇽은 1급 계곡수에만 서식하는 한정된 지점에 서식하는 종이고 서울시 보호종이기도 하죠."]
그런데 이 도롱뇽이 갈수록 사라지고 있습니다.
["야. 왜 이렇게 없어. 심각하네."]
1시간 가까이를 수색한 끝에 도롱뇽 한 마리를 겨우 발견했습니다.
["(새끼 도롱뇽이죠?) 어미는 아니에요."]
물에 놓아주자 이내 색깔을 바꿉니다.
알덩이는 고작 4개가 발견됐습니다.
["점액 성분이 있는 부분을 이용해서 돌이나 나무나 나뭇잎에 알을 붙여놨습니다."]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 소장 : "있는 곳은 굉장히 많은 개체가 존재하는 게 도롱뇽의 특징이거든요. 성체 한 마리와 알집 네다섯 개 정도만 발견이 되는데 이건 굉장히 개체 수가 너무 적은 결과입니다."]
서울시 조사에서도 확연한 감소세가 눈에 띕니다.
서울시는 기후변화를 그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갈수록 비가 적게 와 계곡 물이 말라버렸단 겁니다.
강수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도롱뇽이 알을 낳기 어려워집니다.
실제로 조사가 있던 해의 강수량엔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탐방객의 증가도 영향을 미쳤을 거란 추정이 있습니다.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소장 : "우리가 모르는 뭔가 오염원이 있거나 다른 폐해 상황이 있을 수 있으니까 정밀조사를 통해서 원인처를 찾고 본래의 모습을 되찾으려고 노력을 해야 될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양서류는 먹이사슬의 중간쯤 위치해있습니다.
습지 생태계의 중요한 연결고립니다.
보전이 시급합니다.
서울시는 백사실 계곡에 대해 6년 주기로 실시하는 정밀조사에 지난달 착수해 내년 4월까지 진행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김지혜 박세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라지는 백사실 계곡 도롱뇽…기후 변화 때문?
-
- 입력 2024-04-27 21:21:49
- 수정2024-04-29 09:50:51

[앵커]
서울 도심 북악산 자락엔 청정 자연이 보존돼 있는 백사실 계곡이라고 있습니다.
이곳엔 1급수에서만 서식하는 도롱뇽이 살고 있는데요.
이 도롱뇽의 개체 수가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뭔지 김현경 앵커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북악산 자락에 있는 백사실 계곡입니다.
도심 속 비밀 정원으로 불립니다.
다양한 생물이 서식합니다.
["(깜짝 놀랐네. 이거 독이 있는 건가요?) 독이 없습니다."]
생태경관 보전지역에 지정됐습니다.
이 청정 계곡의 상징은 도롱뇽입니다.
서울에선 드물게 1급 수에만 사는 도롱뇽이 사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 소장 : "도롱뇽은 1급 계곡수에만 서식하는 한정된 지점에 서식하는 종이고 서울시 보호종이기도 하죠."]
그런데 이 도롱뇽이 갈수록 사라지고 있습니다.
["야. 왜 이렇게 없어. 심각하네."]
1시간 가까이를 수색한 끝에 도롱뇽 한 마리를 겨우 발견했습니다.
["(새끼 도롱뇽이죠?) 어미는 아니에요."]
물에 놓아주자 이내 색깔을 바꿉니다.
알덩이는 고작 4개가 발견됐습니다.
["점액 성분이 있는 부분을 이용해서 돌이나 나무나 나뭇잎에 알을 붙여놨습니다."]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 소장 : "있는 곳은 굉장히 많은 개체가 존재하는 게 도롱뇽의 특징이거든요. 성체 한 마리와 알집 네다섯 개 정도만 발견이 되는데 이건 굉장히 개체 수가 너무 적은 결과입니다."]
서울시 조사에서도 확연한 감소세가 눈에 띕니다.
서울시는 기후변화를 그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갈수록 비가 적게 와 계곡 물이 말라버렸단 겁니다.
강수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도롱뇽이 알을 낳기 어려워집니다.
실제로 조사가 있던 해의 강수량엔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탐방객의 증가도 영향을 미쳤을 거란 추정이 있습니다.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소장 : "우리가 모르는 뭔가 오염원이 있거나 다른 폐해 상황이 있을 수 있으니까 정밀조사를 통해서 원인처를 찾고 본래의 모습을 되찾으려고 노력을 해야 될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양서류는 먹이사슬의 중간쯤 위치해있습니다.
습지 생태계의 중요한 연결고립니다.
보전이 시급합니다.
서울시는 백사실 계곡에 대해 6년 주기로 실시하는 정밀조사에 지난달 착수해 내년 4월까지 진행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김지혜 박세실
서울 도심 북악산 자락엔 청정 자연이 보존돼 있는 백사실 계곡이라고 있습니다.
이곳엔 1급수에서만 서식하는 도롱뇽이 살고 있는데요.
이 도롱뇽의 개체 수가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뭔지 김현경 앵커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북악산 자락에 있는 백사실 계곡입니다.
도심 속 비밀 정원으로 불립니다.
다양한 생물이 서식합니다.
["(깜짝 놀랐네. 이거 독이 있는 건가요?) 독이 없습니다."]
생태경관 보전지역에 지정됐습니다.
이 청정 계곡의 상징은 도롱뇽입니다.
서울에선 드물게 1급 수에만 사는 도롱뇽이 사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 소장 : "도롱뇽은 1급 계곡수에만 서식하는 한정된 지점에 서식하는 종이고 서울시 보호종이기도 하죠."]
그런데 이 도롱뇽이 갈수록 사라지고 있습니다.
["야. 왜 이렇게 없어. 심각하네."]
1시간 가까이를 수색한 끝에 도롱뇽 한 마리를 겨우 발견했습니다.
["(새끼 도롱뇽이죠?) 어미는 아니에요."]
물에 놓아주자 이내 색깔을 바꿉니다.
알덩이는 고작 4개가 발견됐습니다.
["점액 성분이 있는 부분을 이용해서 돌이나 나무나 나뭇잎에 알을 붙여놨습니다."]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 소장 : "있는 곳은 굉장히 많은 개체가 존재하는 게 도롱뇽의 특징이거든요. 성체 한 마리와 알집 네다섯 개 정도만 발견이 되는데 이건 굉장히 개체 수가 너무 적은 결과입니다."]
서울시 조사에서도 확연한 감소세가 눈에 띕니다.
서울시는 기후변화를 그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갈수록 비가 적게 와 계곡 물이 말라버렸단 겁니다.
강수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도롱뇽이 알을 낳기 어려워집니다.
실제로 조사가 있던 해의 강수량엔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탐방객의 증가도 영향을 미쳤을 거란 추정이 있습니다.
[김종범/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소장 : "우리가 모르는 뭔가 오염원이 있거나 다른 폐해 상황이 있을 수 있으니까 정밀조사를 통해서 원인처를 찾고 본래의 모습을 되찾으려고 노력을 해야 될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양서류는 먹이사슬의 중간쯤 위치해있습니다.
습지 생태계의 중요한 연결고립니다.
보전이 시급합니다.
서울시는 백사실 계곡에 대해 6년 주기로 실시하는 정밀조사에 지난달 착수해 내년 4월까지 진행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김지혜 박세실
-
-
김현경 기자 hkkim@kbs.co.kr
김현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