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들녘에 쓰레기 ‘산더미’…언제 치우나?

입력 2024.04.29 (06:45) 수정 2024.04.29 (06: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봄기운이 완연해진 요즘 농촌에선 땅을 고르고 모종을 심으며 농사 준비에 한창이죠.

그런데 지난해 농사를 짓고 나온 각종 쓰레기가 아직도 수거되지 않고 곳곳에 방치되고 있는데요.

농촌마을에 골칫거리로 등장했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폐비닐부터 농약병까지, 농촌에서 수거한 재활용 쓰레기가 산을 이뤘습니다.

높이 4m에 무게 100톤, 불과 일주일 동안 수거한 양입니다.

재활용이 되는 폐비닐과 폐농약 용기류를 버리는 집하장입니다.

그런데 이곳엔 재활용이 안 되는 제품들까지 마구 뒤섞여 있습니다.

들녘에 방치된 쓰레기는 훨씬 더 많습니다.

논둑을 따라 100m 넘게 이어지기도 합니다.

노끈과 차광막은 물론 죽은 농작물까지, 재활용이 불가능해 수거되지 않는 것들입니다.

특히 비닐하우스를 덮는 보온덮개는 큰 골칫거립니다.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하는데 동네에서 구할 수 있는 제일 큰 50ℓ짜리엔 들어가지도 않습니다.

[남한억/농민 : "커튼 같은 경우는 상당히 부피가 크고, 우리 농가에서 어떻게 처리할 수가 없으니."]

답답한 마음에, 차로 왕복 2시간 거리인 쓰레기 처리장에 농민들이 직접 가져다 버리기도 합니다.

[황익현/농민 : "가져가는 종류는 몇 가지 안 되고, 나오는 폐기물은 상당히 많은데, 모든 걸 처리하기가 쉽지 않아서."]

이렇다 보니 농경지 주변엔 쓰레기를 몰래 태운 흔적이 곳곳에 발견됩니다.

영농 기술이 발달하면서 재활용이 안되는 영농 폐기물이 갈수록 늘고 있는 것도 문젭니다.

[전영권/철원군 생활환경팀장 : "비닐하우스나 이런 것들이 활성화되면서, 기존의 폐비닐 그런 것들을 넘어서 재활용 불가능 품목도 늘어나고."]

농촌에서 나온 폐비닐은 한해 평균 31만 톤, 농약병은 7,000만 개에 달합니다.

그나마 수거 대상이어서 집계가 가능합니다.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쌓여가는 쓰레기 때문에 농촌이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청촙니다.

촬영기자:최혁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봄 들녘에 쓰레기 ‘산더미’…언제 치우나?
    • 입력 2024-04-29 06:45:48
    • 수정2024-04-29 06:52:49
    뉴스광장 1부
[앵커]

봄기운이 완연해진 요즘 농촌에선 땅을 고르고 모종을 심으며 농사 준비에 한창이죠.

그런데 지난해 농사를 짓고 나온 각종 쓰레기가 아직도 수거되지 않고 곳곳에 방치되고 있는데요.

농촌마을에 골칫거리로 등장했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폐비닐부터 농약병까지, 농촌에서 수거한 재활용 쓰레기가 산을 이뤘습니다.

높이 4m에 무게 100톤, 불과 일주일 동안 수거한 양입니다.

재활용이 되는 폐비닐과 폐농약 용기류를 버리는 집하장입니다.

그런데 이곳엔 재활용이 안 되는 제품들까지 마구 뒤섞여 있습니다.

들녘에 방치된 쓰레기는 훨씬 더 많습니다.

논둑을 따라 100m 넘게 이어지기도 합니다.

노끈과 차광막은 물론 죽은 농작물까지, 재활용이 불가능해 수거되지 않는 것들입니다.

특히 비닐하우스를 덮는 보온덮개는 큰 골칫거립니다.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하는데 동네에서 구할 수 있는 제일 큰 50ℓ짜리엔 들어가지도 않습니다.

[남한억/농민 : "커튼 같은 경우는 상당히 부피가 크고, 우리 농가에서 어떻게 처리할 수가 없으니."]

답답한 마음에, 차로 왕복 2시간 거리인 쓰레기 처리장에 농민들이 직접 가져다 버리기도 합니다.

[황익현/농민 : "가져가는 종류는 몇 가지 안 되고, 나오는 폐기물은 상당히 많은데, 모든 걸 처리하기가 쉽지 않아서."]

이렇다 보니 농경지 주변엔 쓰레기를 몰래 태운 흔적이 곳곳에 발견됩니다.

영농 기술이 발달하면서 재활용이 안되는 영농 폐기물이 갈수록 늘고 있는 것도 문젭니다.

[전영권/철원군 생활환경팀장 : "비닐하우스나 이런 것들이 활성화되면서, 기존의 폐비닐 그런 것들을 넘어서 재활용 불가능 품목도 늘어나고."]

농촌에서 나온 폐비닐은 한해 평균 31만 톤, 농약병은 7,000만 개에 달합니다.

그나마 수거 대상이어서 집계가 가능합니다.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쌓여가는 쓰레기 때문에 농촌이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청촙니다.

촬영기자:최혁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