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AI 생태계 구축”…‘네이버·인텔·카이스트’ 공동연구

입력 2024.04.30 (19:30) 수정 2024.04.30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챗GPT가 촉발한 생성형 인공지능이 열풍을 일으키면서 인공지능 반도체와 소프트웨어의 개발 경쟁이 치열합니다.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 인텔이 네이버, 카이스트 등 국내 기업·대학과 함께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해 인공지능 생태계 구축에 나섭니다.

박장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량이 아슬아슬한 비포장 길을 내달리고, 서퍼가 건축물과 겹쳐진 거대한 파도 위를 곡예하듯 가릅니다.

생성형 인공지능 AI가 사진 한 장으로 만든 영상입니다.

게임과 자율주행,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역할이 커지면서, 막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하고 학습하는 인공지능 반도체와 소프트웨어의 개발 경쟁이 치열합니다.

현재 미국 기업인 엔비디아가 AI 가속기 GPU 시장을 90% 이상 독점한 상황에서 후발 기업인 인텔이 네이버, 카이스트 등 국내 기업·대학과 손을 맞잡고 공동연구센터를 만듭니다.

[권세중/네이버 클라우드 리더 : "(인공지능)서비스를 직접 하고 있는 AI의 미래와 현재를 가장 잘 알고 있는 기업 중에 하나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세계 3번째의 초거대 AI인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와 카이스트의 기술력, 인텔의 반도체 칩을 융합한 소프트웨어 연구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인텔은 3년간 매년 30억 원을 지원합니다.

[김정호/KA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엔비디아 인공지능 가속기가 너무 비싸고 공급이 달립니다. 인텔, 네이버, KAIST가 협력해서 새로운 시장을 뚫겠다는 거고요."]

이번 연구센터 설립이 인공지능 생태계 주도권 확보에 어떤 효과를 가져올지 기대됩니다.

KBS 뉴스 박장훈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로운 AI 생태계 구축”…‘네이버·인텔·카이스트’ 공동연구
    • 입력 2024-04-30 19:30:41
    • 수정2024-04-30 19:46:47
    뉴스 7
[앵커]

챗GPT가 촉발한 생성형 인공지능이 열풍을 일으키면서 인공지능 반도체와 소프트웨어의 개발 경쟁이 치열합니다.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 인텔이 네이버, 카이스트 등 국내 기업·대학과 함께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해 인공지능 생태계 구축에 나섭니다.

박장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량이 아슬아슬한 비포장 길을 내달리고, 서퍼가 건축물과 겹쳐진 거대한 파도 위를 곡예하듯 가릅니다.

생성형 인공지능 AI가 사진 한 장으로 만든 영상입니다.

게임과 자율주행,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역할이 커지면서, 막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하고 학습하는 인공지능 반도체와 소프트웨어의 개발 경쟁이 치열합니다.

현재 미국 기업인 엔비디아가 AI 가속기 GPU 시장을 90% 이상 독점한 상황에서 후발 기업인 인텔이 네이버, 카이스트 등 국내 기업·대학과 손을 맞잡고 공동연구센터를 만듭니다.

[권세중/네이버 클라우드 리더 : "(인공지능)서비스를 직접 하고 있는 AI의 미래와 현재를 가장 잘 알고 있는 기업 중에 하나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세계 3번째의 초거대 AI인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와 카이스트의 기술력, 인텔의 반도체 칩을 융합한 소프트웨어 연구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인텔은 3년간 매년 30억 원을 지원합니다.

[김정호/KA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엔비디아 인공지능 가속기가 너무 비싸고 공급이 달립니다. 인텔, 네이버, KAIST가 협력해서 새로운 시장을 뚫겠다는 거고요."]

이번 연구센터 설립이 인공지능 생태계 주도권 확보에 어떤 효과를 가져올지 기대됩니다.

KBS 뉴스 박장훈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