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김 값 폭등…대책은?

입력 2024.04.30 (19:32) 수정 2024.05.01 (14: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농산물 가격도 많이 올랐지만 오징어와 김 등 수산물 가격 오름세도 만만찮습니다.

정부는 오징어의 경우 원양산 어획량이 증가하고 있고, 김은 생산 면적을 크게 늘리는 만큼 가격 폭등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남대서양, 아르헨티나 포클랜드 앞바다에서 잡힌 오징어가 부산항에 도착했습니다.

운반선에 실려 온 것만 7천 백여 톤입니다.

[김성찬/원양어업 관계자 : "이 제품(포클랜드 오징어)이 연안(오징어)제품하고 질감이나 식감이나 형태가 비슷해서 선호도가 제일 높습니다."]

이 같은 원양 오징어 생산은 지난해 34.5% 줄었습니다.

특히 수온 상승과 중국의 싹쓸이 어업 등의 영향으로 연근해 오징어 생산도 36.2% 감소했습니다.

이 때문에 지난해 오징어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2.5% 올랐습니다.

다행히 올해 원양 오징어 어획량은 전년 대비 60% 늘었습니다.

지난달 남대서양에서 잡힌 오징어들은 이번 주 소비자들을 만나게 됩니다.

5월 한 달 동안 2만 2천여 톤이 국내에 들어올 예정이어서, 수급 불안은 점차 해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값 상승도 예사롭지 않습니다.

마른김 10장 평균 소매가격은 천 305원, 한 장에 130원꼴로 1년 전과 비교하면 29% 올랐습니다.

김 수출량이 늘어 국내 공급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당장 김 양식장 조성을 통해 물량 확보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송명달/해양수산부 차관 : "축구장 3천8백 개, 넓이 2천7백 헥타르를 신규로 김 양식장을 개발해서 10월부터는 공급 물량을 대폭 확대하도록 하고."]

또 김 수입을 확대하고 계약재배 제도를 도입해 출하 시기와 물량을 조절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영상편집:이동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징어·김 값 폭등…대책은?
    • 입력 2024-04-30 19:32:03
    • 수정2024-05-01 14:07:06
    뉴스7(청주)
[앵커]

요즘 농산물 가격도 많이 올랐지만 오징어와 김 등 수산물 가격 오름세도 만만찮습니다.

정부는 오징어의 경우 원양산 어획량이 증가하고 있고, 김은 생산 면적을 크게 늘리는 만큼 가격 폭등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남대서양, 아르헨티나 포클랜드 앞바다에서 잡힌 오징어가 부산항에 도착했습니다.

운반선에 실려 온 것만 7천 백여 톤입니다.

[김성찬/원양어업 관계자 : "이 제품(포클랜드 오징어)이 연안(오징어)제품하고 질감이나 식감이나 형태가 비슷해서 선호도가 제일 높습니다."]

이 같은 원양 오징어 생산은 지난해 34.5% 줄었습니다.

특히 수온 상승과 중국의 싹쓸이 어업 등의 영향으로 연근해 오징어 생산도 36.2% 감소했습니다.

이 때문에 지난해 오징어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2.5% 올랐습니다.

다행히 올해 원양 오징어 어획량은 전년 대비 60% 늘었습니다.

지난달 남대서양에서 잡힌 오징어들은 이번 주 소비자들을 만나게 됩니다.

5월 한 달 동안 2만 2천여 톤이 국내에 들어올 예정이어서, 수급 불안은 점차 해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값 상승도 예사롭지 않습니다.

마른김 10장 평균 소매가격은 천 305원, 한 장에 130원꼴로 1년 전과 비교하면 29% 올랐습니다.

김 수출량이 늘어 국내 공급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당장 김 양식장 조성을 통해 물량 확보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송명달/해양수산부 차관 : "축구장 3천8백 개, 넓이 2천7백 헥타르를 신규로 김 양식장을 개발해서 10월부터는 공급 물량을 대폭 확대하도록 하고."]

또 김 수입을 확대하고 계약재배 제도를 도입해 출하 시기와 물량을 조절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영상편집:이동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