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3만 붕괴…인구 ‘부익부 빈익빈’

입력 2024.05.10 (08:38) 수정 2024.05.10 (09: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청양군의 인구가 2만 명 대로 떨어지면서 충남에도 인구 3만 명 미만의 '초미니 지자체'가 생겨났습니다.

반면, 충남 전체 인구는 늘었는데 북부권과 남부권의 인프라 격차로 인구 양극화가 심화 되고 있습니다.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충남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청양군, 전국 최초로 청년수당을 지급하는 등 인구 정책에 행정력을 집중했지만 결국, '지역소멸의 잣대' 중 하나인 3만 명 벽이 무너졌습니다.

지난달 말 기준 청양군 주민등록 인구는 2만 9천971명, 전달보다 52명 줄었습니다.

지난 한 달, 사망자는 54명이었지만 태어난 아기는 6명으로 여러 대책에도 자연감소분을 막는 데 역부족이었습니다.

그나마 남은 인구의 40%는 65살 이상 노인으로 고령 인구 비율도 평균 19%인 전국 기준의 배가 넘습니다.

인구 3만 명 미만 초미니 지자체는 전국적으로 21곳, 충남에서는 청양군이 처음입니다.

반면 충남 전체 인구는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10년 전 2백6만 명에서 지난달 213만 명으로 한 해 평균 6천 명씩 늘고 있습니다.

같은 기간, 청양을 비롯해 예산과 보령, 공주 등 충남 남부 농어촌지역은 인구가 줄었지만 수도권과 맞닿은 천안과 아산, 당진과 서산 같은 충남 북부권역은 늘면서 충남 전체 인구를 끌어올렸습니다.

특히 충남 전체 인구의 63%가 북부 4개 지역으로 쏠리면서 인구 양극화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박일순/충남도 인구활력과장 : "지역소멸 대응 기금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펀드를 투자해서 청양이든 어디든 좀 더 활력화시켜보겠다…."]

지금은 상승세인 충남도 인구도 2038년, 225만 명을 정점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인구 감소와 지역 간 쏠림을 막을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양군 3만 붕괴…인구 ‘부익부 빈익빈’
    • 입력 2024-05-10 08:38:38
    • 수정2024-05-10 09:33:33
    뉴스광장(대전)
[앵커]

청양군의 인구가 2만 명 대로 떨어지면서 충남에도 인구 3만 명 미만의 '초미니 지자체'가 생겨났습니다.

반면, 충남 전체 인구는 늘었는데 북부권과 남부권의 인프라 격차로 인구 양극화가 심화 되고 있습니다.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충남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청양군, 전국 최초로 청년수당을 지급하는 등 인구 정책에 행정력을 집중했지만 결국, '지역소멸의 잣대' 중 하나인 3만 명 벽이 무너졌습니다.

지난달 말 기준 청양군 주민등록 인구는 2만 9천971명, 전달보다 52명 줄었습니다.

지난 한 달, 사망자는 54명이었지만 태어난 아기는 6명으로 여러 대책에도 자연감소분을 막는 데 역부족이었습니다.

그나마 남은 인구의 40%는 65살 이상 노인으로 고령 인구 비율도 평균 19%인 전국 기준의 배가 넘습니다.

인구 3만 명 미만 초미니 지자체는 전국적으로 21곳, 충남에서는 청양군이 처음입니다.

반면 충남 전체 인구는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10년 전 2백6만 명에서 지난달 213만 명으로 한 해 평균 6천 명씩 늘고 있습니다.

같은 기간, 청양을 비롯해 예산과 보령, 공주 등 충남 남부 농어촌지역은 인구가 줄었지만 수도권과 맞닿은 천안과 아산, 당진과 서산 같은 충남 북부권역은 늘면서 충남 전체 인구를 끌어올렸습니다.

특히 충남 전체 인구의 63%가 북부 4개 지역으로 쏠리면서 인구 양극화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박일순/충남도 인구활력과장 : "지역소멸 대응 기금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펀드를 투자해서 청양이든 어디든 좀 더 활력화시켜보겠다…."]

지금은 상승세인 충남도 인구도 2038년, 225만 명을 정점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인구 감소와 지역 간 쏠림을 막을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