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당 손님 잡아라…‘빵빵’한 효과 기대

입력 2024.05.13 (19:46) 수정 2024.05.14 (14: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빵의 도시', 요즘 대전을 부르는 새로운 애칭입니다.

지역 빵집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치르면서 연간 천만 명이 넘게 찾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는데, 인근 상인들도 관광 자원으로 활용에 나섰습니다.

박병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평일인데도 수십 미터는 이어진 줄이 골목의 절반 이상을 채웠습니다.

성심당 빵을 사러 전국에서 모인 이들입니다.

[장아현/서울시 구의동 : "서울에서 왔고, 성심당 와보고 싶어서 오게 됐는데... (빵 때문에 서울에서 여기까지 오신거예요?) 네, 많이 맛있다고 해서..."]

매장 안은 발 디딜 틈 없고 10곳이 넘는 계산 창구는 쉴틈없이 돌아갑니다.

매장이 단 네 곳에 불과한 성심당의 지난해 매출은 1,243억 원.

영업이익은 315억 원을 넘어 전국에 가맹점 매장이 있는 유명 제과업체들을 제쳤습니다.

일 년에 천만 명이 넘게 찾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대부분 외지인입니다.

[박삼화/성심당 상무이사 : "90% 가까이가 타 지역분들입니다. 타 지역 분들의 분포를 한번 보면 수도권 분들이 일단은 가장 많고요."]

하지만 조금만 벗어나도 거리는 한산합니다.

대부분 빵만 사고 돌아가기 때문인데, 지켜보던 상인들이 직접 낙수효과 만들기에 나섰습니다.

성심당 영수증을 가져오면 물건값을 10%를 할인해 주고, 성심당 빵을 가져오면 식기를 내주는 카페도 있습니다.

[고진성/카페·복합문화공간 운영 : "매출을 더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성심당을 방문하는 많은 분이 2차 적으로 저희 가게에 오셔서 소비해 주시는 게 저희한테는 더 이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식으로 자체 할인에 동참한 가게만 40여 곳.

전문가들은 단순 소비에서 체류형 관광으로 도약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박준용/교수/배재대 관광경영학과 : "야간 관광을 활성화 시키는 예산을 마련해 줘야 합니다. 많은 사람 특히 밤늦게까지 붙잡아 놓으면 또 숙박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의 자부심을 넘어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지역 빵집, '성심당'의 경제적 활용 가치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심당 손님 잡아라…‘빵빵’한 효과 기대
    • 입력 2024-05-13 19:46:58
    • 수정2024-05-14 14:29:16
    뉴스7(대전)
[앵커]

'빵의 도시', 요즘 대전을 부르는 새로운 애칭입니다.

지역 빵집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치르면서 연간 천만 명이 넘게 찾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는데, 인근 상인들도 관광 자원으로 활용에 나섰습니다.

박병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평일인데도 수십 미터는 이어진 줄이 골목의 절반 이상을 채웠습니다.

성심당 빵을 사러 전국에서 모인 이들입니다.

[장아현/서울시 구의동 : "서울에서 왔고, 성심당 와보고 싶어서 오게 됐는데... (빵 때문에 서울에서 여기까지 오신거예요?) 네, 많이 맛있다고 해서..."]

매장 안은 발 디딜 틈 없고 10곳이 넘는 계산 창구는 쉴틈없이 돌아갑니다.

매장이 단 네 곳에 불과한 성심당의 지난해 매출은 1,243억 원.

영업이익은 315억 원을 넘어 전국에 가맹점 매장이 있는 유명 제과업체들을 제쳤습니다.

일 년에 천만 명이 넘게 찾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대부분 외지인입니다.

[박삼화/성심당 상무이사 : "90% 가까이가 타 지역분들입니다. 타 지역 분들의 분포를 한번 보면 수도권 분들이 일단은 가장 많고요."]

하지만 조금만 벗어나도 거리는 한산합니다.

대부분 빵만 사고 돌아가기 때문인데, 지켜보던 상인들이 직접 낙수효과 만들기에 나섰습니다.

성심당 영수증을 가져오면 물건값을 10%를 할인해 주고, 성심당 빵을 가져오면 식기를 내주는 카페도 있습니다.

[고진성/카페·복합문화공간 운영 : "매출을 더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성심당을 방문하는 많은 분이 2차 적으로 저희 가게에 오셔서 소비해 주시는 게 저희한테는 더 이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식으로 자체 할인에 동참한 가게만 40여 곳.

전문가들은 단순 소비에서 체류형 관광으로 도약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박준용/교수/배재대 관광경영학과 : "야간 관광을 활성화 시키는 예산을 마련해 줘야 합니다. 많은 사람 특히 밤늦게까지 붙잡아 놓으면 또 숙박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의 자부심을 넘어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지역 빵집, '성심당'의 경제적 활용 가치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