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 맞고 쓰러진 기성용…“관중들 경범죄 처벌 가능”

입력 2024.05.14 (07: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경기장으로 쏟아지는 관중들의 물병…기성용 선수 급소 맞고 쓰러져

지난 11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인천 유나이티드와 FC서울의 경기.

관중들이 물병을 그라운드로 던졌습니다.

서울의 2-1 승리로 경기가 끝난 뒤 백종범 서울 골키퍼가 인천 응원석을 향해 포효하자, 분노한 인천 유나이티드 팬들이 그라운드 안으로 물병을 대거 투척한 겁니다.

양 팀 선수들의 만류에도 날아드는 물병은 점점 더 늘어났습니다.

이후 FC서울의 기성용 선수가 급소를 맞고 쓰러지기까지 했습니다.

■ 끊이지 않는 '축구장 물병 투척 사건'…과거 대응은?

'축구장 물병 투척 사건'은 영국 등 해외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끊이지 않습니다.

K-리그에선 관중 관리 책임이 있는 구단 측에 책임을 물어왔고, 구단 측에서도 물병 투척 당사자에게 징계 등 조처를 했습니다.

지난 2023년 5월엔 같은 구단인 인천 유나이티드가 전북 현대전 종료 후 그라운드로 물병을 투척한 당사자에 대해 ‘무기한 출입 금지’ 징계를 내렸습니다.

2022년 8월엔 대구FC 관중이 경기 중 심판진을 향해 페트병을 던졌고, 부심이 이 페트병에 맞아 다쳤습니다.

구단 측은 즉시 경찰에 신고했고, 해당 관중은 경찰 수사를 받았습니다.

축구장 물병 투척…어떤 처벌 받을까?

이런 사건들이 끊이지 않는 만큼 엄중한 대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전문가는 축구장 물병 투척 사건의 경우 형사 처벌 대상이라고 설명합니다.

"기성용 선수가 얼마큼 다쳤냐에 따라서 상해죄가 될 수 있느냐 고도 볼 수 있을 것 같아서 폭행죄라든가 경범죄 처벌법에 따라서 당연히 처벌이 가능할 거라고 봅니다."

-한승범/스포츠 전문 변호사-

한 변호사는 "성숙한 관중문화로 자리 잡기 위해 구단 차원의 징계를 넘어, 형사 처벌의 필요성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처벌해서 좀 경각심을 주고 이제 앞으로는 좀 조심해야겠다는 어떤 신호를 줄 필요는 확실히 있다…어느 정도 본인의 잘못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 앞으로 좀 성숙한 관중 문화를 만드는 데 좋은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한승범/스포츠 전문 변호사-

인천 유나이티드 "물병 던진 관중 색출해 징계 예정…무관중 경기도 고려 중"

구단 측은 형사 처벌에 대해 고려하고 있긴 하나, 징계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습니다.

"(투척한 관중들이) 자진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영구 출입 정지가 가장 센 징계 조치가 될 것 같고요. 연맹 결과에 따라서 과징금 형태로 결과가 나오면 그에 따른 구상권 청구도 가능할 수 있다고 봅니다."
-인천 유나이티드 관계자-

구단 측은 아직 연맹 측의 처분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구단 내에서 5월에 2번 남은 홈 경기 응원석 전면 폐쇄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김시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물병 맞고 쓰러진 기성용…“관중들 경범죄 처벌 가능”
    • 입력 2024-05-14 07:00:23
    심층K

■ 경기장으로 쏟아지는 관중들의 물병…기성용 선수 급소 맞고 쓰러져

지난 11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인천 유나이티드와 FC서울의 경기.

관중들이 물병을 그라운드로 던졌습니다.

서울의 2-1 승리로 경기가 끝난 뒤 백종범 서울 골키퍼가 인천 응원석을 향해 포효하자, 분노한 인천 유나이티드 팬들이 그라운드 안으로 물병을 대거 투척한 겁니다.

양 팀 선수들의 만류에도 날아드는 물병은 점점 더 늘어났습니다.

이후 FC서울의 기성용 선수가 급소를 맞고 쓰러지기까지 했습니다.

■ 끊이지 않는 '축구장 물병 투척 사건'…과거 대응은?

'축구장 물병 투척 사건'은 영국 등 해외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끊이지 않습니다.

K-리그에선 관중 관리 책임이 있는 구단 측에 책임을 물어왔고, 구단 측에서도 물병 투척 당사자에게 징계 등 조처를 했습니다.

지난 2023년 5월엔 같은 구단인 인천 유나이티드가 전북 현대전 종료 후 그라운드로 물병을 투척한 당사자에 대해 ‘무기한 출입 금지’ 징계를 내렸습니다.

2022년 8월엔 대구FC 관중이 경기 중 심판진을 향해 페트병을 던졌고, 부심이 이 페트병에 맞아 다쳤습니다.

구단 측은 즉시 경찰에 신고했고, 해당 관중은 경찰 수사를 받았습니다.

축구장 물병 투척…어떤 처벌 받을까?

이런 사건들이 끊이지 않는 만큼 엄중한 대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전문가는 축구장 물병 투척 사건의 경우 형사 처벌 대상이라고 설명합니다.

"기성용 선수가 얼마큼 다쳤냐에 따라서 상해죄가 될 수 있느냐 고도 볼 수 있을 것 같아서 폭행죄라든가 경범죄 처벌법에 따라서 당연히 처벌이 가능할 거라고 봅니다."

-한승범/스포츠 전문 변호사-

한 변호사는 "성숙한 관중문화로 자리 잡기 위해 구단 차원의 징계를 넘어, 형사 처벌의 필요성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처벌해서 좀 경각심을 주고 이제 앞으로는 좀 조심해야겠다는 어떤 신호를 줄 필요는 확실히 있다…어느 정도 본인의 잘못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 앞으로 좀 성숙한 관중 문화를 만드는 데 좋은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한승범/스포츠 전문 변호사-

인천 유나이티드 "물병 던진 관중 색출해 징계 예정…무관중 경기도 고려 중"

구단 측은 형사 처벌에 대해 고려하고 있긴 하나, 징계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습니다.

"(투척한 관중들이) 자진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영구 출입 정지가 가장 센 징계 조치가 될 것 같고요. 연맹 결과에 따라서 과징금 형태로 결과가 나오면 그에 따른 구상권 청구도 가능할 수 있다고 봅니다."
-인천 유나이티드 관계자-

구단 측은 아직 연맹 측의 처분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구단 내에서 5월에 2번 남은 홈 경기 응원석 전면 폐쇄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김시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