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국산 전기차 관세 25→100%·반도체 25→50%로 대폭인상

입력 2024.05.14 (18:34) 수정 2024.05.14 (18: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든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현재의 25%에서 100%로 대폭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또 철강·알루미늄과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관세도 25%로, 반도체의 관세는 50%로 각각 큰 폭으로 상향됩니다.

미국 백악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현지시각 14일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과 그에 따른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무역법 301조에 따라 무역대표부에 이런 관세 인상을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정부는 우선 올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100%로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또 연내에 중국산 리튬이온 전기차 배터리의 관세는 7.5%에서 25%로, 배터리 부품에 대한 관세는 7.5%에서 25%로 인상됩니다.

특정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 역시 연내에 25%로 인상됩니다.

이어 내년까지는 중국산 반도체에 대한 관세가 현재의 25%에서 50%로 올라가고, 2026년까지는 리튬이온 비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관세가 현재의 7.5%에서 25%로, 핵심 광물 가운데 천연 흑연과 영구 자석의 관세는 현재 0%에서 25%로 인상됩니다.

백악관은 이밖에 중국산 STS크레인과 주사기 및 바늘, 마스크 등 개인장비, 수술용 고무장갑 등에 대한 관세도 상향 조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관세 인상 대상인 중국산 수입품의 가격은 180억 달러, 한화 약 24조 6,510억 원 규모입니다.

미국의 무역법 301조는 대통령에게 미국의 무역과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불공정 무역행위에 대응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정부는 출범 초반에는 인플레이션 등을 고려해 고율 관세를 조정한다는 입장이었으나 대선이 다가오면서 기존 고율관세를 유지하거나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 기조를 바꾸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중국산 전기차 관세 25→100%·반도체 25→50%로 대폭인상
    • 입력 2024-05-14 18:34:54
    • 수정2024-05-14 18:35:26
    국제
바이든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현재의 25%에서 100%로 대폭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또 철강·알루미늄과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관세도 25%로, 반도체의 관세는 50%로 각각 큰 폭으로 상향됩니다.

미국 백악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현지시각 14일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과 그에 따른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무역법 301조에 따라 무역대표부에 이런 관세 인상을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정부는 우선 올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100%로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또 연내에 중국산 리튬이온 전기차 배터리의 관세는 7.5%에서 25%로, 배터리 부품에 대한 관세는 7.5%에서 25%로 인상됩니다.

특정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 역시 연내에 25%로 인상됩니다.

이어 내년까지는 중국산 반도체에 대한 관세가 현재의 25%에서 50%로 올라가고, 2026년까지는 리튬이온 비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관세가 현재의 7.5%에서 25%로, 핵심 광물 가운데 천연 흑연과 영구 자석의 관세는 현재 0%에서 25%로 인상됩니다.

백악관은 이밖에 중국산 STS크레인과 주사기 및 바늘, 마스크 등 개인장비, 수술용 고무장갑 등에 대한 관세도 상향 조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관세 인상 대상인 중국산 수입품의 가격은 180억 달러, 한화 약 24조 6,510억 원 규모입니다.

미국의 무역법 301조는 대통령에게 미국의 무역과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불공정 무역행위에 대응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바이든 정부는 출범 초반에는 인플레이션 등을 고려해 고율 관세를 조정한다는 입장이었으나 대선이 다가오면서 기존 고율관세를 유지하거나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 기조를 바꾸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