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교란식물 제거 역부족…토종 식물생태계 위협

입력 2024.05.19 (21:26) 수정 2024.05.19 (21: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각종 생태교란식물이 하천과 생태공원, 농경지까지 급격히 번식해 토종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는데요.

싹이 트는 이맘때 미리 제거해야 하지만 일일이 손으로 뽑을 수밖에 없어 한계가 있다고 합니다.

송국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하천변에서 작업자들이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일일이 뜯어냅니다.

우리나라에 전역에서 볼 수 있는 덩굴성 식물 '환삼덩굴'입니다.

어디서나 흔하게 자라는 강한 생명력이 특징입니다.

부산 낙동강 생태공원 일대에서도 북미산 '양미역취' 제거가 한창입니다.

모두 생태교란식물로, 올해도 급격히 번식해 토종 수생 식물을 고사시키고 있습니다.

[정두영/충북 음성군자연보호협의회 부회장 : "(토종) 나무에 줄기를 감아서 영양분을 섭취 못 하게 하고, 광합성 작용이 안 되니까 (고사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생태교란식물이 이렇게 서식밀도가 높고 널리 분포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 개체에서 수만 개의 종자를 생산하는 데다, 땅 속에 매몰된 종자는 최대 40년을 생존하기도 합니다.

특히, 여름엔 불어난 하천물을 따라 종자가 널리 확산하며 농경지까지 침투해 작물 수확량도 떨어뜨립니다.

하지만 싹 트는 이맘때 사람이 일일이 뿌리째 뽑는 것 외에는 달리 제거할 방법이 없습니다.

[최익형/충북 음성군 환경정책팀장 : "지속적으로 계속 퍼지고 있긴 해요. 근데, 아무래도 조금이라도 줄이려면 뿌리째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거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된 식물은 17종.

보존 가치가 높은 생태 공원이나 습지, 농경지까지 확산 범위를 넓히면서 생물 다양성을 위협하는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조의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태교란식물 제거 역부족…토종 식물생태계 위협
    • 입력 2024-05-19 21:26:31
    • 수정2024-05-19 21:34:17
    뉴스 9
[앵커]

각종 생태교란식물이 하천과 생태공원, 농경지까지 급격히 번식해 토종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는데요.

싹이 트는 이맘때 미리 제거해야 하지만 일일이 손으로 뽑을 수밖에 없어 한계가 있다고 합니다.

송국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하천변에서 작업자들이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일일이 뜯어냅니다.

우리나라에 전역에서 볼 수 있는 덩굴성 식물 '환삼덩굴'입니다.

어디서나 흔하게 자라는 강한 생명력이 특징입니다.

부산 낙동강 생태공원 일대에서도 북미산 '양미역취' 제거가 한창입니다.

모두 생태교란식물로, 올해도 급격히 번식해 토종 수생 식물을 고사시키고 있습니다.

[정두영/충북 음성군자연보호협의회 부회장 : "(토종) 나무에 줄기를 감아서 영양분을 섭취 못 하게 하고, 광합성 작용이 안 되니까 (고사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생태교란식물이 이렇게 서식밀도가 높고 널리 분포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 개체에서 수만 개의 종자를 생산하는 데다, 땅 속에 매몰된 종자는 최대 40년을 생존하기도 합니다.

특히, 여름엔 불어난 하천물을 따라 종자가 널리 확산하며 농경지까지 침투해 작물 수확량도 떨어뜨립니다.

하지만 싹 트는 이맘때 사람이 일일이 뿌리째 뽑는 것 외에는 달리 제거할 방법이 없습니다.

[최익형/충북 음성군 환경정책팀장 : "지속적으로 계속 퍼지고 있긴 해요. 근데, 아무래도 조금이라도 줄이려면 뿌리째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거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된 식물은 17종.

보존 가치가 높은 생태 공원이나 습지, 농경지까지 확산 범위를 넓히면서 생물 다양성을 위협하는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최영준/영상편집:조의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