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 수리는 농번기 지나서?”…수리도, 교환도 곤란

입력 2024.05.20 (06:45) 수정 2024.05.20 (06: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농기계는 가격이 보통 수천만 원에 이르고, 비싼 건 1억 원이 넘을 정도로 웬만한 고급 승용차 가격과 맞먹습니다.

하지만, 하자 수리나 환불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요, 특히, 수리가 늦어져 농사철을 놓치는 일까지 있다고 합니다.

이유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봄을 맞은 들녘 곳곳에서 논갈이, 밭갈이가 한창입니다.

그런데, 밭을 갈아야 할 트랙터가 창고에 서 있습니다.

두 달 전 6천만 원에 샀지만, 한 번도 못 써봤습니다.

새 트랙터지만 녹이랑 흠집이 가득하고, 시동을 걸면 부서질 듯, 굉음이 납니다.

운전대는 갑자기 잠겨, 돌아가질 않았습니다.

[강성웅/횡성군 둔내면 : "핸들 이렇게 걸려요. 반대로 튀는 것 마냥 계속 이러니까 위험해서 솔직히 불안해요."]

여러 차례 수리와 반품을 요청했지만, 제조사는 녹이나 흠집은 생기기 마련이라며, 수리도 보름 이상 기다려야 한다는 답변 뿐이었습니다.

[농기계 제조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농번기에는 고객분들께서 동시에 기계를 사용하시기 때문에 수리 요청 물량이 집중됩니다."]

KBS의 취재가 시작되고 나서 업체는 교환을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이미 남의 트랙터를 빌려 봄농사를 마친 뒤였습니다.

[강성웅/횡성군 둔내면 : "농번기 같은 경우에는 그 시기를 놓치면 농사에 굉장히 지장이 많이 가는데, 스트레스가 보통이 아니라서."]

온라인에는 농민들의 불만이 이어집니다.

가격은 고급 승용차와 맞먹지만, 품질이나 사후 관리는 턱없이 뒤쳐진다는 겁니다.

[불량 농기계 구매자/음성변조 : "팔아먹고 그냥 나 몰라라 해요. 당장 써야 되는데."]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되는 관련 신고는 한 해 30여 건.

하지만 고령화된 농촌에선 아예 신고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 실제 피해 규모는 훨씬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태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기계 수리는 농번기 지나서?”…수리도, 교환도 곤란
    • 입력 2024-05-20 06:45:18
    • 수정2024-05-20 06:51:28
    뉴스광장 1부
[앵커]

요즘 농기계는 가격이 보통 수천만 원에 이르고, 비싼 건 1억 원이 넘을 정도로 웬만한 고급 승용차 가격과 맞먹습니다.

하지만, 하자 수리나 환불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요, 특히, 수리가 늦어져 농사철을 놓치는 일까지 있다고 합니다.

이유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봄을 맞은 들녘 곳곳에서 논갈이, 밭갈이가 한창입니다.

그런데, 밭을 갈아야 할 트랙터가 창고에 서 있습니다.

두 달 전 6천만 원에 샀지만, 한 번도 못 써봤습니다.

새 트랙터지만 녹이랑 흠집이 가득하고, 시동을 걸면 부서질 듯, 굉음이 납니다.

운전대는 갑자기 잠겨, 돌아가질 않았습니다.

[강성웅/횡성군 둔내면 : "핸들 이렇게 걸려요. 반대로 튀는 것 마냥 계속 이러니까 위험해서 솔직히 불안해요."]

여러 차례 수리와 반품을 요청했지만, 제조사는 녹이나 흠집은 생기기 마련이라며, 수리도 보름 이상 기다려야 한다는 답변 뿐이었습니다.

[농기계 제조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농번기에는 고객분들께서 동시에 기계를 사용하시기 때문에 수리 요청 물량이 집중됩니다."]

KBS의 취재가 시작되고 나서 업체는 교환을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이미 남의 트랙터를 빌려 봄농사를 마친 뒤였습니다.

[강성웅/횡성군 둔내면 : "농번기 같은 경우에는 그 시기를 놓치면 농사에 굉장히 지장이 많이 가는데, 스트레스가 보통이 아니라서."]

온라인에는 농민들의 불만이 이어집니다.

가격은 고급 승용차와 맞먹지만, 품질이나 사후 관리는 턱없이 뒤쳐진다는 겁니다.

[불량 농기계 구매자/음성변조 : "팔아먹고 그냥 나 몰라라 해요. 당장 써야 되는데."]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되는 관련 신고는 한 해 30여 건.

하지만 고령화된 농촌에선 아예 신고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 실제 피해 규모는 훨씬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김태원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