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인재 양성”…‘공유대학’ 첫 운영
입력 2024.05.20 (19:11)
수정 2024.05.20 (20: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원자력 생태계가 빠르게 바뀌면서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는 곳이 많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은 부족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부산시가 원전 밀집 지역 4곳과 공동으로 원자력 인재를 키우기 위한 공유대학을 운영하기로 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최초로 원전 해체 작업 첫 발을 뗀 부산.
오는 9월, 해체 기술의 첫 단계인 '제염' 작업을 앞두고, 세계 원전 해체 시장 진출을 꿈꾸고 있습니다.
미래형 원전으로 주목받는 '소형원자로 제작지원센터'도 국내 처음으로 부산에 만들어집니다.
이처럼 원자력 생태계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인력 확보가 시급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부산시가 원전이 밀집한 영남권 4개 도시와 함께 에너지 기술 공유대학을 운영합니다.
부산대를 중심으로 포항공대와 유니스트 등 울산, 경남, 경북 4개 시·도 대학과 기관 15곳이 참여합니다.
6년 동안 22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원자력 분야 인재 양성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입니다.
[반치범/부산대 기계공학부 교수 : "원자력과 관련한 거의 대부분 기업과 기관이 협력기관으로 들어왔습니다. 일종의 원자력 분야 '어벤저스' 팀, 인력 양성의 '어벤저스'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원자력의 설계와 제작, 운영과 복원, 처분까지 모든 단계 교육 프로그램이 새롭게 만들어집니다.
특히, 고급 특화 인재를 기르기 위한 까다로운 인증 과정도 마련합니다.
현장 실습 등에 대한 지역 기업 부담을 덜기 위해 부산시는 인건비를 지원합니다.
이번 사업이 청년 인력의 역외 유출을 막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부산시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강혜영/부산시 원자력안전과장 : "올해와 내년은 (대학) 교육 위주로 운영될 거고요. 기업의 참여는 내년 또는 내년 이후부터 이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에너지 기술 공유대학이 국내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동시에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기여하는 계기가 될지 관심이 쏠립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희나
원자력 생태계가 빠르게 바뀌면서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는 곳이 많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은 부족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부산시가 원전 밀집 지역 4곳과 공동으로 원자력 인재를 키우기 위한 공유대학을 운영하기로 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최초로 원전 해체 작업 첫 발을 뗀 부산.
오는 9월, 해체 기술의 첫 단계인 '제염' 작업을 앞두고, 세계 원전 해체 시장 진출을 꿈꾸고 있습니다.
미래형 원전으로 주목받는 '소형원자로 제작지원센터'도 국내 처음으로 부산에 만들어집니다.
이처럼 원자력 생태계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인력 확보가 시급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부산시가 원전이 밀집한 영남권 4개 도시와 함께 에너지 기술 공유대학을 운영합니다.
부산대를 중심으로 포항공대와 유니스트 등 울산, 경남, 경북 4개 시·도 대학과 기관 15곳이 참여합니다.
6년 동안 22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원자력 분야 인재 양성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입니다.
[반치범/부산대 기계공학부 교수 : "원자력과 관련한 거의 대부분 기업과 기관이 협력기관으로 들어왔습니다. 일종의 원자력 분야 '어벤저스' 팀, 인력 양성의 '어벤저스'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원자력의 설계와 제작, 운영과 복원, 처분까지 모든 단계 교육 프로그램이 새롭게 만들어집니다.
특히, 고급 특화 인재를 기르기 위한 까다로운 인증 과정도 마련합니다.
현장 실습 등에 대한 지역 기업 부담을 덜기 위해 부산시는 인건비를 지원합니다.
이번 사업이 청년 인력의 역외 유출을 막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부산시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강혜영/부산시 원자력안전과장 : "올해와 내년은 (대학) 교육 위주로 운영될 거고요. 기업의 참여는 내년 또는 내년 이후부터 이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에너지 기술 공유대학이 국내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동시에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기여하는 계기가 될지 관심이 쏠립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희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원자력 인재 양성”…‘공유대학’ 첫 운영
-
- 입력 2024-05-20 19:11:33
- 수정2024-05-20 20:45:30
[앵커]
원자력 생태계가 빠르게 바뀌면서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는 곳이 많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은 부족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부산시가 원전 밀집 지역 4곳과 공동으로 원자력 인재를 키우기 위한 공유대학을 운영하기로 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최초로 원전 해체 작업 첫 발을 뗀 부산.
오는 9월, 해체 기술의 첫 단계인 '제염' 작업을 앞두고, 세계 원전 해체 시장 진출을 꿈꾸고 있습니다.
미래형 원전으로 주목받는 '소형원자로 제작지원센터'도 국내 처음으로 부산에 만들어집니다.
이처럼 원자력 생태계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인력 확보가 시급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부산시가 원전이 밀집한 영남권 4개 도시와 함께 에너지 기술 공유대학을 운영합니다.
부산대를 중심으로 포항공대와 유니스트 등 울산, 경남, 경북 4개 시·도 대학과 기관 15곳이 참여합니다.
6년 동안 22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원자력 분야 인재 양성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입니다.
[반치범/부산대 기계공학부 교수 : "원자력과 관련한 거의 대부분 기업과 기관이 협력기관으로 들어왔습니다. 일종의 원자력 분야 '어벤저스' 팀, 인력 양성의 '어벤저스'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원자력의 설계와 제작, 운영과 복원, 처분까지 모든 단계 교육 프로그램이 새롭게 만들어집니다.
특히, 고급 특화 인재를 기르기 위한 까다로운 인증 과정도 마련합니다.
현장 실습 등에 대한 지역 기업 부담을 덜기 위해 부산시는 인건비를 지원합니다.
이번 사업이 청년 인력의 역외 유출을 막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부산시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강혜영/부산시 원자력안전과장 : "올해와 내년은 (대학) 교육 위주로 운영될 거고요. 기업의 참여는 내년 또는 내년 이후부터 이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에너지 기술 공유대학이 국내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동시에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기여하는 계기가 될지 관심이 쏠립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희나
원자력 생태계가 빠르게 바뀌면서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는 곳이 많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은 부족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부산시가 원전 밀집 지역 4곳과 공동으로 원자력 인재를 키우기 위한 공유대학을 운영하기로 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최초로 원전 해체 작업 첫 발을 뗀 부산.
오는 9월, 해체 기술의 첫 단계인 '제염' 작업을 앞두고, 세계 원전 해체 시장 진출을 꿈꾸고 있습니다.
미래형 원전으로 주목받는 '소형원자로 제작지원센터'도 국내 처음으로 부산에 만들어집니다.
이처럼 원자력 생태계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인력 확보가 시급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부산시가 원전이 밀집한 영남권 4개 도시와 함께 에너지 기술 공유대학을 운영합니다.
부산대를 중심으로 포항공대와 유니스트 등 울산, 경남, 경북 4개 시·도 대학과 기관 15곳이 참여합니다.
6년 동안 22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원자력 분야 인재 양성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입니다.
[반치범/부산대 기계공학부 교수 : "원자력과 관련한 거의 대부분 기업과 기관이 협력기관으로 들어왔습니다. 일종의 원자력 분야 '어벤저스' 팀, 인력 양성의 '어벤저스'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원자력의 설계와 제작, 운영과 복원, 처분까지 모든 단계 교육 프로그램이 새롭게 만들어집니다.
특히, 고급 특화 인재를 기르기 위한 까다로운 인증 과정도 마련합니다.
현장 실습 등에 대한 지역 기업 부담을 덜기 위해 부산시는 인건비를 지원합니다.
이번 사업이 청년 인력의 역외 유출을 막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부산시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강혜영/부산시 원자력안전과장 : "올해와 내년은 (대학) 교육 위주로 운영될 거고요. 기업의 참여는 내년 또는 내년 이후부터 이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에너지 기술 공유대학이 국내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동시에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기여하는 계기가 될지 관심이 쏠립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희나
-
-
이이슬 기자 eslee31@kbs.co.kr
이이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