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촌 길라잡이 ‘전남에서 살아보기’ 호응

입력 2024.05.20 (20:02) 수정 2024.05.21 (01: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남도가 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을 위해 전남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리 살아보면서 지역의 특성을 알고 주민들과 유대감을 형성해 성공적인 귀촌을 돕기위해서인데요.

최정민 기자가 참가자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따뜻한 햇살 속 나무 그늘 아래 차를 즐기며 담소를 나눕니다.

전국 각지에서 모였지만 석달 가까이 함께 지내다보니 어느덧 든든한 친구가 됐습니다.

["보성차를 음미하면서 차 예절도 배우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전남의 농산어촌 정착을 꿈꾸는 타 지역 주민들을 위해 마련된 전남에서 살아보기가 올해로 5년 째 접어들었습니다.

정착하기 전 최대 6개월동안 머물며 영농 체험과 창업 교육 등을 받으면서 도시와 농촌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종분/프로그램 참가자/충북 청주시 : "와서 보고 스스로 체험하고 경험하고 이런 것이 모두 값진 재산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실제 인근 대도시에서 30년동안 직장 생활을 하다 은퇴한 김용채 씨도 이 프로그램에서 많은 도움을 받아 보성군에 전입신고를 마친 뒤 제 2의 인생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김용채/보성군 전입 주민 : "(저는) 직장으로 비유하면 신입사원이잖아요. 처음 막막했던 것이 조금씩 없어지고 희망이 계속해서 보인다는 거죠."]

전남도는 그동안 2천5백 명이 프로그램에 참가해 17%인 426명이 전남으로 이전했다면서 전입율을 더 올리기 위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심향란/전남에서 살아보기 사업 운영 : "멘토 구성을 잘해서 참가자들이 앞으로의 방향을 잡아주면 아무래도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대도시 학생들의 농산어촌 유학과 청년을 위한 만원 임대 주택 등과 함께 전남에서 살아보기가 지역 소멸을 막고 인구 유입을 활성화하는 데 보탬이 될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귀촌 길라잡이 ‘전남에서 살아보기’ 호응
    • 입력 2024-05-20 20:02:22
    • 수정2024-05-21 01:23:01
    뉴스7(광주)
[앵커]

전남도가 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을 위해 전남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리 살아보면서 지역의 특성을 알고 주민들과 유대감을 형성해 성공적인 귀촌을 돕기위해서인데요.

최정민 기자가 참가자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따뜻한 햇살 속 나무 그늘 아래 차를 즐기며 담소를 나눕니다.

전국 각지에서 모였지만 석달 가까이 함께 지내다보니 어느덧 든든한 친구가 됐습니다.

["보성차를 음미하면서 차 예절도 배우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전남의 농산어촌 정착을 꿈꾸는 타 지역 주민들을 위해 마련된 전남에서 살아보기가 올해로 5년 째 접어들었습니다.

정착하기 전 최대 6개월동안 머물며 영농 체험과 창업 교육 등을 받으면서 도시와 농촌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종분/프로그램 참가자/충북 청주시 : "와서 보고 스스로 체험하고 경험하고 이런 것이 모두 값진 재산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실제 인근 대도시에서 30년동안 직장 생활을 하다 은퇴한 김용채 씨도 이 프로그램에서 많은 도움을 받아 보성군에 전입신고를 마친 뒤 제 2의 인생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김용채/보성군 전입 주민 : "(저는) 직장으로 비유하면 신입사원이잖아요. 처음 막막했던 것이 조금씩 없어지고 희망이 계속해서 보인다는 거죠."]

전남도는 그동안 2천5백 명이 프로그램에 참가해 17%인 426명이 전남으로 이전했다면서 전입율을 더 올리기 위해 고심하고 있습니다.

[심향란/전남에서 살아보기 사업 운영 : "멘토 구성을 잘해서 참가자들이 앞으로의 방향을 잡아주면 아무래도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대도시 학생들의 농산어촌 유학과 청년을 위한 만원 임대 주택 등과 함께 전남에서 살아보기가 지역 소멸을 막고 인구 유입을 활성화하는 데 보탬이 될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