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연 3.5%로 11회 연속 동결…올해 경제성장률 전망 2.5% 상향

입력 2024.05.23 (09:50) 수정 2024.05.23 (11: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습니다.

한은 금통위는 오늘(23일) 올해 들어 네 번째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 2월과 4월, 5월, 7월, 8월, 10월, 11월, 올해 1월과 2월, 4월에 이어 11회 연속 동결입니다.

동결 배경에 대해 한국은행은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개선되고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물가 상방 리스크도 커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지정학적 리스크도 계속되고 있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난 2월과 3월 3%대를 기록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2.9%까지 떨어졌지만, 여전히 한은 목표치(2%)보다 높은 상황입니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 차이가 역대 최대 수준인 2%p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미국보다 앞서 기준금리를 낮추기도 쉽지 않습니다.

1분기 우리 경제가 1.3% '깜짝 성장'을 이루며, 경기 회복을 위해 기준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명분도 약해졌습니다.

오늘 한은은 이런 경기 회복세를 반영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기존 예상인 2.1%보다 0.4%포인트 높은 수치입니다.

상향 배경에 대해 한은은 "1분기 수출 호조가 이어지고 소비와 건설투자는 부진이 완화했다"며, "취업자 수도 꾸준히 증가하는 등 고용도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어 "앞으로도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겠지만, 소비는 2분기 조정됐다가 하반기 이후 완만하게 회복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1분기 물가 상승세가 2.9%로 한풀 꺾였지만,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과 같은 2.6%로 유지했습니다.

한은은 "국내 물가는 성장세 개선 등으로 상방 압력이 커지겠지만, 완만한 소비 회복세 등으로 큰 영향은 받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다만 "앞으로 국제유가와 환율의 움직임, 농산물가격 추이, 성장세 개선의 파급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물가 상방 리스크가 커진 만큼 물가가 목표 수준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확신하기는 아직 이르다"며, "이런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 긴축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한은은 세계 경제의 경우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인플레이션도 추세적으로 낮아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다만 "주요국마다 경기 상황과 물가 둔화 속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고,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라 주요국 국채금리와 달러 가치가 오르내리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은, 기준금리 연 3.5%로 11회 연속 동결…올해 경제성장률 전망 2.5% 상향
    • 입력 2024-05-23 09:50:51
    • 수정2024-05-23 11:50:05
    경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습니다.

한은 금통위는 오늘(23일) 올해 들어 네 번째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 2월과 4월, 5월, 7월, 8월, 10월, 11월, 올해 1월과 2월, 4월에 이어 11회 연속 동결입니다.

동결 배경에 대해 한국은행은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개선되고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물가 상방 리스크도 커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지정학적 리스크도 계속되고 있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난 2월과 3월 3%대를 기록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2.9%까지 떨어졌지만, 여전히 한은 목표치(2%)보다 높은 상황입니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 차이가 역대 최대 수준인 2%p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미국보다 앞서 기준금리를 낮추기도 쉽지 않습니다.

1분기 우리 경제가 1.3% '깜짝 성장'을 이루며, 경기 회복을 위해 기준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명분도 약해졌습니다.

오늘 한은은 이런 경기 회복세를 반영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기존 예상인 2.1%보다 0.4%포인트 높은 수치입니다.

상향 배경에 대해 한은은 "1분기 수출 호조가 이어지고 소비와 건설투자는 부진이 완화했다"며, "취업자 수도 꾸준히 증가하는 등 고용도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어 "앞으로도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겠지만, 소비는 2분기 조정됐다가 하반기 이후 완만하게 회복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1분기 물가 상승세가 2.9%로 한풀 꺾였지만,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과 같은 2.6%로 유지했습니다.

한은은 "국내 물가는 성장세 개선 등으로 상방 압력이 커지겠지만, 완만한 소비 회복세 등으로 큰 영향은 받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다만 "앞으로 국제유가와 환율의 움직임, 농산물가격 추이, 성장세 개선의 파급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물가 상방 리스크가 커진 만큼 물가가 목표 수준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확신하기는 아직 이르다"며, "이런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 긴축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한은은 세계 경제의 경우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인플레이션도 추세적으로 낮아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다만 "주요국마다 경기 상황과 물가 둔화 속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고,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라 주요국 국채금리와 달러 가치가 오르내리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