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전환의 길, 덴마크에서 찾다

입력 2024.05.23 (19:18) 수정 2024.05.23 (2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에너지 전환의 길을 덴마크에서 찾아보는 연속보도, 이번 주에 네 차례에 걸쳐 전해드렸는데요.

덴마크 현지를 취재한 이성현 촬영기자와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연속보도에서 덴마크의 재생에너지 전환 상황을 자세히 알 수 있었는데, 직접 방문했을 때 인상깊었던 경험도 있었나요?

[기자]

무엇보다도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생활 속에서 탈 탄소사회로 잘 나아가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덴마크 도착 첫날, 물을 사러 마트에 갔는데요.

2L 페트 한 병에 우리 돈으로 천2백 원인데, 계산서에 '판트(PANT)'라는 내역이 6백 원 추가됐습니다.

점원한테 물어보니 '공병 보증금 제도'라고 하더라고요.

그러니까 보증금을 미리 내고 빈병을 다시 가게로 갖고 오면 보증금을 돌려 주는 겁니다.

그런데 이 공병 보증금 제도 얕봐서는 안 되겠습니다. 2022년도 기준으로 회수율이 무려 92%였습니다.

플라스틱 페트병 10개 중 9개 이상이 다시 돌아와서 재활용된 건데, 계산해보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2만 3천 톤, 즉 인구 만 3천여 명이 발생시키는 양만큼 줄인 셈입니다.

이렇게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데 많은 시민들이 함께 동참하고 있다는 점이 꽤 인상적이었습니다.

[앵커]

보도에서는 주로 해상풍력 발전소 같은 큰 얘기를 다뤘는데, 실생활에서도 탄소 중립 노력이 이어진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던 거군요?

[기자]

네, 또 다른 사례로는 역시 자전거 얘기를 빼 놓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덴마크를 다니는 동안 남녀노소 모두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는데요.

도로마다 자전거 전용 도로와 자전거 전용 신호등이 있어서 출퇴근 시간이면 늘 자전거를 탄 시민으로 북적였습니다.

제가 만난 덴마크의 한 기관장도 자전거로 출퇴근을 했는데요.

대화를 나눠보니 왜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지 금방 수긍이 갔습니다.

덴마크에서는 자동차를 구매하면 차값의 최대 150%를 세금으로 내야 하는데요 쉽게 차를 살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

재생에너지 비중이 70%를 넘어서고 이런 분위기와 노력이 더해지다 보니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70% 줄이고 2050년에는 말 그대로의 '탄소 중립'을 실현하겠다는 덴마크의 목표가 훨씬 더 현실성 있게 다가왔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이번 연속보도 내용을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죠.

기획보도중 전남의 재생 에너지 과잉 생산문제가 다뤄졌는데 이 문제를 먼저 겪은 덴마크의 경우 유럽국가에 재생에너지를 수출하면서 해법을 찾았는데, 우리나라도 수출을 통해 과잉생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까?

적절한 해법은 뭐가 있을까요?

[기자]

보도에서 보셨듯이 올해 전남에서 발전소 가동을 강제로 멈추는 대규모 출력제어가 처음으로 발생했습니다.

전력 수요는 적은데 일조량이 많은 봄철에 태양광 등에서 전력이 많이 생산되다보니, 송전망이 포화돼 전기를 생산해도 보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겁니다.

문제는 이게 시작에 불과하다는 건데요.

송전망이 확충되지 않으면 제주처럼 출력제어 문제가 반복될 수밖에 없는데요.

그렇다면 송전망을 추가로 설치할 수 없냐고 물어보실 수 있는데, 한전의 재무상태를 봤을 때 계획 이상의 추가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은 송전망을 보강할 수 없다면 전남 지역의 전기 수요 자체를 늘려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있다고 말합니다.

광주전남이 공동으로 추진했고 성사는 안 됐지만 반도체 특화단지를 유치한다거나, 또 전력사용이 많은 데이터센터를 들여 오는 게 대안이 될 수 있겠고요.

여수국가산단이나 제철소가 있는 광양 등 산업단지의 전기 공급을 재생에너지로 바꿔 나가는 것도 한 가지 방안으로 꼽힙니다.

[앵커]

또 눈에 띄었던 부분이, 덴마크에서는 태양광과 풍력으로 생산한 잉여 전력을 갖고 다양한 청정 연료도 생산다는 점이었는데요.

전남에 적용할 수 있는 사례도 있다고 했죠?

[기자]

전남은 축산업이 활발하죠.

축산 분뇨를 활용해 에너지를 만드는 바이오가스 시설은 전남이 벤치마킹하기 좋은 사례입니다.

제가 방문한 덴마크 바이오가스 시설에서는, 재생에너지 전기를 이용해서 만든 수소를 축산분뇨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메탄'이라는 물질을 생산하는데요.

전기로 만들었다고 해서 'e-메탄'이라고 불리는데, 도시가스 배관망에 연료로 공급할 수 있어서 쓰임새가 많습니다.

덴마크는 2034년까지 가스 소비량의 100%를 e-메탄을 포함한 바이오 메탄으로 대체해서 가스 분야에서도 에너지 전환을 이룰 계획인데요.

김영록 전남지사도 유럽 순방 중 바이오가스 시설을 방문해 에너지 활용 방안을 모색했다고 한 만큼 수소와 연계된 바이오가스 시설이 마련될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앵커]

말씀을 들어 보니 덴마크는 탄소 중립 기술뿐 아니라 사회적 인식도 많이 앞서 있다는 점을 확실히 느낄 수 있는데요.

재생에너지와 관련한 정책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면도 배울 점이 많겠어요.

[기자]

오늘 보도에서 덴마크 에너지청의 '원스톱샵', 그리고 협동조합 형태를 소개해 드렸는데요.

이 두 가지 말고도 주목하고 싶은 것은 덴마크의 일관된 재생에너지 정책입니다.

덴마크의 에너지 전문가들에게 들어 보니,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새로운 에너지 정책이 만들졌다고 한다면 최소 5년에서 10년 정도는 그 합의를 유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된다고 합니다.

만약 정책을 수정하려고 한다면 여야가 다시 만장일치로 의결해야 하거든요.

이 덕분에 정권이 바뀌더라도 에너지 정책의 기조와 방향이 손바닥 뒤집듯이 바뀌지 않는 것이죠.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사회적 합의뿐 아니라 정책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가 있기 때문에 덴마크가 세계 최고의 재생에너지 강국이 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이성현 기자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에너지 전환의 길, 덴마크에서 찾다
    • 입력 2024-05-23 19:18:40
    • 수정2024-05-23 20:14:39
    뉴스7(광주)
[앵커]

에너지 전환의 길을 덴마크에서 찾아보는 연속보도, 이번 주에 네 차례에 걸쳐 전해드렸는데요.

덴마크 현지를 취재한 이성현 촬영기자와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연속보도에서 덴마크의 재생에너지 전환 상황을 자세히 알 수 있었는데, 직접 방문했을 때 인상깊었던 경험도 있었나요?

[기자]

무엇보다도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생활 속에서 탈 탄소사회로 잘 나아가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덴마크 도착 첫날, 물을 사러 마트에 갔는데요.

2L 페트 한 병에 우리 돈으로 천2백 원인데, 계산서에 '판트(PANT)'라는 내역이 6백 원 추가됐습니다.

점원한테 물어보니 '공병 보증금 제도'라고 하더라고요.

그러니까 보증금을 미리 내고 빈병을 다시 가게로 갖고 오면 보증금을 돌려 주는 겁니다.

그런데 이 공병 보증금 제도 얕봐서는 안 되겠습니다. 2022년도 기준으로 회수율이 무려 92%였습니다.

플라스틱 페트병 10개 중 9개 이상이 다시 돌아와서 재활용된 건데, 계산해보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2만 3천 톤, 즉 인구 만 3천여 명이 발생시키는 양만큼 줄인 셈입니다.

이렇게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데 많은 시민들이 함께 동참하고 있다는 점이 꽤 인상적이었습니다.

[앵커]

보도에서는 주로 해상풍력 발전소 같은 큰 얘기를 다뤘는데, 실생활에서도 탄소 중립 노력이 이어진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던 거군요?

[기자]

네, 또 다른 사례로는 역시 자전거 얘기를 빼 놓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덴마크를 다니는 동안 남녀노소 모두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는데요.

도로마다 자전거 전용 도로와 자전거 전용 신호등이 있어서 출퇴근 시간이면 늘 자전거를 탄 시민으로 북적였습니다.

제가 만난 덴마크의 한 기관장도 자전거로 출퇴근을 했는데요.

대화를 나눠보니 왜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지 금방 수긍이 갔습니다.

덴마크에서는 자동차를 구매하면 차값의 최대 150%를 세금으로 내야 하는데요 쉽게 차를 살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

재생에너지 비중이 70%를 넘어서고 이런 분위기와 노력이 더해지다 보니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70% 줄이고 2050년에는 말 그대로의 '탄소 중립'을 실현하겠다는 덴마크의 목표가 훨씬 더 현실성 있게 다가왔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이번 연속보도 내용을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죠.

기획보도중 전남의 재생 에너지 과잉 생산문제가 다뤄졌는데 이 문제를 먼저 겪은 덴마크의 경우 유럽국가에 재생에너지를 수출하면서 해법을 찾았는데, 우리나라도 수출을 통해 과잉생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까?

적절한 해법은 뭐가 있을까요?

[기자]

보도에서 보셨듯이 올해 전남에서 발전소 가동을 강제로 멈추는 대규모 출력제어가 처음으로 발생했습니다.

전력 수요는 적은데 일조량이 많은 봄철에 태양광 등에서 전력이 많이 생산되다보니, 송전망이 포화돼 전기를 생산해도 보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겁니다.

문제는 이게 시작에 불과하다는 건데요.

송전망이 확충되지 않으면 제주처럼 출력제어 문제가 반복될 수밖에 없는데요.

그렇다면 송전망을 추가로 설치할 수 없냐고 물어보실 수 있는데, 한전의 재무상태를 봤을 때 계획 이상의 추가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은 송전망을 보강할 수 없다면 전남 지역의 전기 수요 자체를 늘려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있다고 말합니다.

광주전남이 공동으로 추진했고 성사는 안 됐지만 반도체 특화단지를 유치한다거나, 또 전력사용이 많은 데이터센터를 들여 오는 게 대안이 될 수 있겠고요.

여수국가산단이나 제철소가 있는 광양 등 산업단지의 전기 공급을 재생에너지로 바꿔 나가는 것도 한 가지 방안으로 꼽힙니다.

[앵커]

또 눈에 띄었던 부분이, 덴마크에서는 태양광과 풍력으로 생산한 잉여 전력을 갖고 다양한 청정 연료도 생산다는 점이었는데요.

전남에 적용할 수 있는 사례도 있다고 했죠?

[기자]

전남은 축산업이 활발하죠.

축산 분뇨를 활용해 에너지를 만드는 바이오가스 시설은 전남이 벤치마킹하기 좋은 사례입니다.

제가 방문한 덴마크 바이오가스 시설에서는, 재생에너지 전기를 이용해서 만든 수소를 축산분뇨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메탄'이라는 물질을 생산하는데요.

전기로 만들었다고 해서 'e-메탄'이라고 불리는데, 도시가스 배관망에 연료로 공급할 수 있어서 쓰임새가 많습니다.

덴마크는 2034년까지 가스 소비량의 100%를 e-메탄을 포함한 바이오 메탄으로 대체해서 가스 분야에서도 에너지 전환을 이룰 계획인데요.

김영록 전남지사도 유럽 순방 중 바이오가스 시설을 방문해 에너지 활용 방안을 모색했다고 한 만큼 수소와 연계된 바이오가스 시설이 마련될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앵커]

말씀을 들어 보니 덴마크는 탄소 중립 기술뿐 아니라 사회적 인식도 많이 앞서 있다는 점을 확실히 느낄 수 있는데요.

재생에너지와 관련한 정책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면도 배울 점이 많겠어요.

[기자]

오늘 보도에서 덴마크 에너지청의 '원스톱샵', 그리고 협동조합 형태를 소개해 드렸는데요.

이 두 가지 말고도 주목하고 싶은 것은 덴마크의 일관된 재생에너지 정책입니다.

덴마크의 에너지 전문가들에게 들어 보니,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새로운 에너지 정책이 만들졌다고 한다면 최소 5년에서 10년 정도는 그 합의를 유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된다고 합니다.

만약 정책을 수정하려고 한다면 여야가 다시 만장일치로 의결해야 하거든요.

이 덕분에 정권이 바뀌더라도 에너지 정책의 기조와 방향이 손바닥 뒤집듯이 바뀌지 않는 것이죠.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사회적 합의뿐 아니라 정책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가 있기 때문에 덴마크가 세계 최고의 재생에너지 강국이 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이성현 기자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