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닥다닥’ 동양하루살이떼 도심 습격…모기도 벌써 등장

입력 2024.05.23 (21:48) 수정 2024.05.23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서울 도심에 날벌레인 동양하루살이가 기승입니다.

떼를 지어 다니며 시민들을 습격해 관련 민원도 잇따르고 있는데요.

여기에 모기까지 일찍 등장하면서 방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김민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서울의 대표 번화가 성수동 거리.

가로등 아래 벌레가 한가득입니다.

큰 날개 때문에 '팅커벨'로 불리는 동양하루살이입니다.

놀란 시민들은 허공에 주먹도 날려보고, 벌레를 피해 이리저리 도망가기 바쁩니다.

[시민 : "너무 심해요 밥 먹다가 깜짝 놀랐어요. 왜 여기까지 왔는지가 궁금해요."]

이곳은 평소 동양하루살이 민원이 자주 들어오는 곳입니다.

저녁 8시가 넘자 불빛 주변으로 이렇게 동양하루살이가 떼를 지어 모이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불쾌한 상황에 주민과 상인들의 불편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이종순/인근 상인 : "평소에 진짜 눈처럼 날려요. 장사하는 데 굉장히 지장이 많아요. 손님들이 안 들어와요. 무서워가지고…."]

방역팀이 밤에는 물을 뿌려 쫓아내고, 낮에는 풀숲에 살충제를 뿌립니다.

[임태식/서울 성동구보건소 : "(동양하루살이는) 2급수에서 서식하는 곤충입니다. 인체에는 위해가 없고요. 밤에 불빛을 좋아해기 때문에, 낮에는 휴식을 취하기 때문에 숲속에 (방역작업을 합니다)."]

이런 가운데 여름 불청객 모기도 벌써 나타났습니다.

일찍 더워진 날씨 탓에 서울의 모기 활동지수는 이번 주 들어 60을 훌쩍 넘긴 '주의'단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가까이 높아졌습니다.

[이승찬/서울시 감염병관리팀장 : "봄철에 비가 좀 자주 왔잖아요. 유충들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좀 더 많아졌고요. 예년에 비해서 또 봄철 기온이 상승되다 보니까..."]

서울시와 각 자치구는 포충기를 확충하는 한편 정화조 등에서 유충 제거 작업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다닥다닥’ 동양하루살이떼 도심 습격…모기도 벌써 등장
    • 입력 2024-05-23 21:48:10
    • 수정2024-05-23 22:11:00
    뉴스 9
[앵커]

요즘 서울 도심에 날벌레인 동양하루살이가 기승입니다.

떼를 지어 다니며 시민들을 습격해 관련 민원도 잇따르고 있는데요.

여기에 모기까지 일찍 등장하면서 방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김민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서울의 대표 번화가 성수동 거리.

가로등 아래 벌레가 한가득입니다.

큰 날개 때문에 '팅커벨'로 불리는 동양하루살이입니다.

놀란 시민들은 허공에 주먹도 날려보고, 벌레를 피해 이리저리 도망가기 바쁩니다.

[시민 : "너무 심해요 밥 먹다가 깜짝 놀랐어요. 왜 여기까지 왔는지가 궁금해요."]

이곳은 평소 동양하루살이 민원이 자주 들어오는 곳입니다.

저녁 8시가 넘자 불빛 주변으로 이렇게 동양하루살이가 떼를 지어 모이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불쾌한 상황에 주민과 상인들의 불편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이종순/인근 상인 : "평소에 진짜 눈처럼 날려요. 장사하는 데 굉장히 지장이 많아요. 손님들이 안 들어와요. 무서워가지고…."]

방역팀이 밤에는 물을 뿌려 쫓아내고, 낮에는 풀숲에 살충제를 뿌립니다.

[임태식/서울 성동구보건소 : "(동양하루살이는) 2급수에서 서식하는 곤충입니다. 인체에는 위해가 없고요. 밤에 불빛을 좋아해기 때문에, 낮에는 휴식을 취하기 때문에 숲속에 (방역작업을 합니다)."]

이런 가운데 여름 불청객 모기도 벌써 나타났습니다.

일찍 더워진 날씨 탓에 서울의 모기 활동지수는 이번 주 들어 60을 훌쩍 넘긴 '주의'단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가까이 높아졌습니다.

[이승찬/서울시 감염병관리팀장 : "봄철에 비가 좀 자주 왔잖아요. 유충들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좀 더 많아졌고요. 예년에 비해서 또 봄철 기온이 상승되다 보니까..."]

서울시와 각 자치구는 포충기를 확충하는 한편 정화조 등에서 유충 제거 작업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