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선 앞두고 딥페이크 칼 뽑아…바이든 ‘가짜 목소리’에 82억 원 벌금

입력 2024.05.24 (06:05) 수정 2024.05.24 (10: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인공지능, AI를 기반으로 영상과 이미지를 합성하는 기술인 딥페이크를 악용하는 사례가 잇따르자, 미국이 칼을 빼 들었습니다.

AI 기술을 사용해 바이든 대통령의 목소리를 똑같이 모방하며 대선 예비경선 투표를 방해하려 한 정치 컨설턴트에 거액의 벌금을 부과한 겁니다.

또, 관련 업체들에 딥페이크 음란물에 대한 대책 마련도 요구했습니다.

워싱턴 조혜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지난 1월, 미국 북동부 뉴햄프셔주에서 미 대선 후보 예비선거인 프라이머리 직전 유권자들이 받은 전화입니다.

[바이든 가짜 음성 전화/지난 1월 : "11월 대선을 위해 표를 아끼세요. 이번 화요일에 하는 투표는 공화당이 도널드 트럼프를 다시 선출할 수 있도록 할 뿐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말투로 주민들에게 투표 거부를 독려했습니다.

미 연방통신위원회는 이 가짜 전화 메시지를 제작한 정치 컨설턴트 스티브 크레이머에게 600만 달러, 우리 돈 82억 상당의 벌금을 부과했습니다.

그는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바이든 대통령의 가짜 음성 전화 메시지를 만든 혐의로 검찰에도 기소됐습니다.

당시 백악관은 AI의 위험성을 언급하며 관련 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카린 장 피에르/미국 백악관 대변인/지난 1월 :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대통령은 AI 안전 연구소를 통해 상무부에 명확한 출처 표기와 콘텐츠 표준을 개발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이에 연방통신위원회는 정치 광고에 AI 기술을 사용할 경우 이를 명시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또 유명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 등의 사진 합성으로 논란이 된 딥페이크 음란물을 막기 위해 관련업계에 공문을 보냈습니다.

AI개발자와 금융기관 등에 딥페이크 음란물을 통한 수익 창출을 막고 노골적 이미지를 광고하는 사이트 결제를 제한해 달란 겁니다.

구글과 애플 등 앱 스토어 관리자에도 대책 마련을 요구했습니다.

미 당국은 업계의 책임 있는 행동을 강조하면서, 의회가 나서 이를 규제할 수 있는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이인영/그래픽:임홍근/자료조사:이세영 서호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대선 앞두고 딥페이크 칼 뽑아…바이든 ‘가짜 목소리’에 82억 원 벌금
    • 입력 2024-05-24 06:05:40
    • 수정2024-05-24 10:23:40
    뉴스광장 1부
[앵커]

인공지능, AI를 기반으로 영상과 이미지를 합성하는 기술인 딥페이크를 악용하는 사례가 잇따르자, 미국이 칼을 빼 들었습니다.

AI 기술을 사용해 바이든 대통령의 목소리를 똑같이 모방하며 대선 예비경선 투표를 방해하려 한 정치 컨설턴트에 거액의 벌금을 부과한 겁니다.

또, 관련 업체들에 딥페이크 음란물에 대한 대책 마련도 요구했습니다.

워싱턴 조혜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지난 1월, 미국 북동부 뉴햄프셔주에서 미 대선 후보 예비선거인 프라이머리 직전 유권자들이 받은 전화입니다.

[바이든 가짜 음성 전화/지난 1월 : "11월 대선을 위해 표를 아끼세요. 이번 화요일에 하는 투표는 공화당이 도널드 트럼프를 다시 선출할 수 있도록 할 뿐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말투로 주민들에게 투표 거부를 독려했습니다.

미 연방통신위원회는 이 가짜 전화 메시지를 제작한 정치 컨설턴트 스티브 크레이머에게 600만 달러, 우리 돈 82억 상당의 벌금을 부과했습니다.

그는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바이든 대통령의 가짜 음성 전화 메시지를 만든 혐의로 검찰에도 기소됐습니다.

당시 백악관은 AI의 위험성을 언급하며 관련 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카린 장 피에르/미국 백악관 대변인/지난 1월 :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대통령은 AI 안전 연구소를 통해 상무부에 명확한 출처 표기와 콘텐츠 표준을 개발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이에 연방통신위원회는 정치 광고에 AI 기술을 사용할 경우 이를 명시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또 유명 가수 테일러 스위프트 등의 사진 합성으로 논란이 된 딥페이크 음란물을 막기 위해 관련업계에 공문을 보냈습니다.

AI개발자와 금융기관 등에 딥페이크 음란물을 통한 수익 창출을 막고 노골적 이미지를 광고하는 사이트 결제를 제한해 달란 겁니다.

구글과 애플 등 앱 스토어 관리자에도 대책 마련을 요구했습니다.

미 당국은 업계의 책임 있는 행동을 강조하면서, 의회가 나서 이를 규제할 수 있는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이인영/그래픽:임홍근/자료조사:이세영 서호정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