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추진중인 일본 사도광산 가보니…강제동원 역사는 어디로? [창+]

입력 2024.05.25 (10:00) 수정 2024.05.25 (15: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사기획창 '아베 야망은 살아있다' 중에서]


일본 니가타현 항구에서 배를 타고 2시간 반 만에 도착한 사도섬.

<인터뷰> 미쓰노·마쓰오카/관광객
매우 조용한 마을이고 바다도 정말 예뻐서 멋진 섬이라는 느낌이 들었어요

해가 지면 화려한 조명을 덮어쓰고, 신비로운 관광지 모습으로 탈바꿈합니다.
저 달을 보며 흘렸을 조선인들 눈물은 어디에 있을까.

<인터뷰>토니·앤/영국 관광객
일본 정말 좋아요. 일본은 모두 친절하고, 깨끗하고. 최고예요.
(기자: 이곳에서 강제 노동에 대해서 들어본 적 있나요?)
아뇨. 지금 강제 노동이 이뤄지고 있나요?
(기자: 지금은 아니고, 1945년 전입니다.)
들어본 적 없어요.

사도광산에 강제 동원된 조선인은 최소 1,519명. 이들의 이름은 박물관에서 일부나마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명부를 발견하고 강제동원의 실체를 알린 이들은 사도섬 주민들입니다.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그것은 말 그대로 강제 연행에 해당하는데요. 인원수가 할당되었다는 거예요. 물론 조선총독부가 개입해 인원수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끌고 온 거죠

그러나 일본 정부는 조선인 강제동원 기간은 쏙 빼고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했고, 7월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시 의원
에도시대만 뚝 오려내 강조하고 나머지 근대유산은 세계유산으로 등재하지 않는 근본없는 방식이어서는 안 된다는 거죠

좁고, 습하고, 깜깜한 굴..

살아 돌아온 광부들도 폐가 굳어 피를 토하며 죽게 만든 이곳.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나르거나 캐는 일이 가장 위험했던 일이죠?) 그렇죠. 착암 작업에 종사한 노동자의 비중을 보면 일본인과 비교해 조선에서 온 노동자의 비중이 확실하게 높았습니다.

<인터뷰> 故김주형/ 사도광산 강제동원 피해자 (1991년 인터뷰)
거기 가면 1구, 2구가 있는데 자기 굴을 찾아가면 거기서 또 어디로 가라, 어디 가라...하여튼 제일 나쁜 데가 사도섬이었어. 꼼짝을 못했으니까 하라는 대로 하고. 섬이라 꼭 가둬놓고 배를 타고 건너올 수가 있나 뭐...

<녹취>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이곳에서 돌아가신 분 따님이 왔었어요. 저쪽으로 나가면 나오는 입구에서 무릎을 꿇고 절규했어요.
어디서 보는 게 좋을까? 이쪽이 좋은가? 그 지도가 있죠. 저기 위 벚나무가 있는 저 낭떠러지 위에요. 벚나무가 심겨 있는 곳이요

"이곳은 갱생시설이 있던 터입니다. 그리고 더 위로 올라가면 제4기숙사가 있었습니다."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그곳은 과거 한국에서 강제 동원된 노동자의 숙소로 사용되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입소했고 250~260명 정도가 생활했죠.

"제4기숙사요. 형태는 이런 모습이었어요"

표지판 하나 없는 조선인 숙소.
이대로 가면 한 맺힌 역사는 사라지고, 관광지 사도섬만 남게 됩니다.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조선인 노동자가 통행하는 유일한 길이었어요. 광산가는 길, 이 길을 걸어 올라가 광산에 도착했던 거죠 (기자: 이 길로 쭉 걸어가면 사도광산이 나오는 거죠?) 네, 맞아요 "

더 큰 문제는 사도광산이 결코 끝이 아니라는 겁니다.

<인터뷰> 강동진/경성대교수·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한국위원회 부위원장
일본이 오래전부터, 사실은 아베 정권 때부터죠. 아베 내각 때부터, 한 20여 년 전부터 새로운 세계유산. 그러니까 근대기, 메이지 유신 이후에 이제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에 그들이 이루어 냈던 근대화의 결과들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겠다는 큰 야망을 갖고 오랜 기간 준비를 했어요.
(기자: 만약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가 끝끝내 무산되더라도 그 움직임 자체는 계속 된다고 봐야겠네요?)
그럼요. 계속됩니다. 그러니까 사실은 몇백 개의 유산을 이미 다 산업 유산을 찾아서 정리를 이렇게 다 해놨어요. 그 절차에 따라
하나하나 지금 등재를 하고 있는 거고, 그다음에 또 추진을 할 거라고 예측이 됩니다. 계속할 겁니다.


관련 방송 : 2024년 5월 21일 (화) KBS 1TV, 22:00 <시사기획창> '아베 야망은 살아있다'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news.kbs.co.kr/vod/program.do?bcd=0039&ref=pMenu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b31RoX5RnfYENmnyokN8A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계유산 추진중인 일본 사도광산 가보니…강제동원 역사는 어디로? [창+]
    • 입력 2024-05-25 10:00:17
    • 수정2024-05-25 15:13:31
    심층K

[시사기획창 '아베 야망은 살아있다' 중에서]


일본 니가타현 항구에서 배를 타고 2시간 반 만에 도착한 사도섬.

<인터뷰> 미쓰노·마쓰오카/관광객
매우 조용한 마을이고 바다도 정말 예뻐서 멋진 섬이라는 느낌이 들었어요

해가 지면 화려한 조명을 덮어쓰고, 신비로운 관광지 모습으로 탈바꿈합니다.
저 달을 보며 흘렸을 조선인들 눈물은 어디에 있을까.

<인터뷰>토니·앤/영국 관광객
일본 정말 좋아요. 일본은 모두 친절하고, 깨끗하고. 최고예요.
(기자: 이곳에서 강제 노동에 대해서 들어본 적 있나요?)
아뇨. 지금 강제 노동이 이뤄지고 있나요?
(기자: 지금은 아니고, 1945년 전입니다.)
들어본 적 없어요.

사도광산에 강제 동원된 조선인은 최소 1,519명. 이들의 이름은 박물관에서 일부나마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명부를 발견하고 강제동원의 실체를 알린 이들은 사도섬 주민들입니다.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그것은 말 그대로 강제 연행에 해당하는데요. 인원수가 할당되었다는 거예요. 물론 조선총독부가 개입해 인원수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끌고 온 거죠

그러나 일본 정부는 조선인 강제동원 기간은 쏙 빼고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했고, 7월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시 의원
에도시대만 뚝 오려내 강조하고 나머지 근대유산은 세계유산으로 등재하지 않는 근본없는 방식이어서는 안 된다는 거죠

좁고, 습하고, 깜깜한 굴..

살아 돌아온 광부들도 폐가 굳어 피를 토하며 죽게 만든 이곳.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나르거나 캐는 일이 가장 위험했던 일이죠?) 그렇죠. 착암 작업에 종사한 노동자의 비중을 보면 일본인과 비교해 조선에서 온 노동자의 비중이 확실하게 높았습니다.

<인터뷰> 故김주형/ 사도광산 강제동원 피해자 (1991년 인터뷰)
거기 가면 1구, 2구가 있는데 자기 굴을 찾아가면 거기서 또 어디로 가라, 어디 가라...하여튼 제일 나쁜 데가 사도섬이었어. 꼼짝을 못했으니까 하라는 대로 하고. 섬이라 꼭 가둬놓고 배를 타고 건너올 수가 있나 뭐...

<녹취>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이곳에서 돌아가신 분 따님이 왔었어요. 저쪽으로 나가면 나오는 입구에서 무릎을 꿇고 절규했어요.
어디서 보는 게 좋을까? 이쪽이 좋은가? 그 지도가 있죠. 저기 위 벚나무가 있는 저 낭떠러지 위에요. 벚나무가 심겨 있는 곳이요

"이곳은 갱생시설이 있던 터입니다. 그리고 더 위로 올라가면 제4기숙사가 있었습니다."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그곳은 과거 한국에서 강제 동원된 노동자의 숙소로 사용되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입소했고 250~260명 정도가 생활했죠.

"제4기숙사요. 형태는 이런 모습이었어요"

표지판 하나 없는 조선인 숙소.
이대로 가면 한 맺힌 역사는 사라지고, 관광지 사도섬만 남게 됩니다.

<인터뷰> 고스기 구니오/ 전 사도 시의원
"조선인 노동자가 통행하는 유일한 길이었어요. 광산가는 길, 이 길을 걸어 올라가 광산에 도착했던 거죠 (기자: 이 길로 쭉 걸어가면 사도광산이 나오는 거죠?) 네, 맞아요 "

더 큰 문제는 사도광산이 결코 끝이 아니라는 겁니다.

<인터뷰> 강동진/경성대교수·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한국위원회 부위원장
일본이 오래전부터, 사실은 아베 정권 때부터죠. 아베 내각 때부터, 한 20여 년 전부터 새로운 세계유산. 그러니까 근대기, 메이지 유신 이후에 이제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에 그들이 이루어 냈던 근대화의 결과들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겠다는 큰 야망을 갖고 오랜 기간 준비를 했어요.
(기자: 만약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가 끝끝내 무산되더라도 그 움직임 자체는 계속 된다고 봐야겠네요?)
그럼요. 계속됩니다. 그러니까 사실은 몇백 개의 유산을 이미 다 산업 유산을 찾아서 정리를 이렇게 다 해놨어요. 그 절차에 따라
하나하나 지금 등재를 하고 있는 거고, 그다음에 또 추진을 할 거라고 예측이 됩니다. 계속할 겁니다.


관련 방송 : 2024년 5월 21일 (화) KBS 1TV, 22:00 <시사기획창> '아베 야망은 살아있다'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news.kbs.co.kr/vod/program.do?bcd=0039&ref=pMenu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b31RoX5RnfYENmnyokN8A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